광주광역시 제17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동구·남구 을| 동 ]] | [[동구·남구 갑| 남 ]] | 서 갑 | 서 을 |
양형일 | 지병문 | 염동연 | 정동채 | |
북 갑 | 북 을 | 광산 | ||
강기정 | 김태홍 | 김동철 | ||
◀ 제16대 제18대 ▶ | }}} }}}}}}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광산구 광산구 일원 光山區 Gwangsan-gu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91,435명 (2004) | |||||
상위 행정구역 | 광주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88년 | |||||
이전 선거구 | 금성시·광산군·나주군 (전남 제6선거구) | |||||
폐지년도 | 2008년 | |||||
이후 선거구 | 광산구 갑, 광산구 을 | |||||
국회의원 | [[통합민주당(2008년)|]] | 김동철 |
[clearfix]
1. 개요
1988년 송정시 및 광산군의 광주직할시 편입으로 인한 광산구의 출범과 소선거구제 개편으로 인해 탄생한 지역구.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광산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사라졌다.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3대 | 조홍규 | [[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14대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 전갑길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17대 | 김동철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광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재완(金在浣) | 10,538 | 2위 |
| 16.17% | 낙선 | |
2 | 조홍규(趙洪奎) | 53,705 | 1위 |
[[평화민주당|]] | 82.43% | 당선 | |
3 | 정원섭(鄭源燮) | 902 | 3위 |
[[신민주공화당|]] | 1.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1,418 | 투표율 80.91% |
투표 수 | 65,875 | ||
무효표 수 | 730 |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광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용호(金容浩) | 5,616 | 4위 |
[[민주자유당|]] | 7.31% | 낙선 | |
2 | 조홍규(趙洪奎) | 44,685 | 1위 |
| 58.16% | 당선 | |
3 | 김면중(金冕中) | 8,527 | 3위 |
[[통일국민당|]] | 11.09% | 낙선 | |
4 | 조진태(趙辰太) | 1,416 | 5위 |
| 1.84% | 낙선 | |
5 | 손종규(孫鍾奎) | 1,043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5% | 낙선 | |
6 | 이식재(李植宰) | 15,53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2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3,727 | 투표율 74.90% |
투표 수 | 77,687 | ||
무효표 수 | 862 |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광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용호(金容浩) | 5,783 | 3위 |
[[신한국당|]] | 7.46% | 낙선 | |
2 | 조홍규(趙洪奎) | 55,650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71.84% | 당선 | |
3 | 이승준(李昇俊) | 1,069 | 5위 |
| 1.38% | 낙선 | |
4 | 정원섭(鄭源燮) | 689 | 6위 |
[[자유민주연합|]] | 0.88% | 낙선 | |
5 | 김동철(金東喆) | 10,80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95% | 낙선 | |
6 | 김면중(金冕中) | 3,45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866 | 투표율 65.89% |
투표 수 | 78,980 | ||
무효표 수 | 1,525 |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광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면중(金冕中) | 2,410 | 3위 |
| 2.72% | 낙선 | |
2 | 전갑길(全甲吉) | 63,598 | 1위 |
[[새천년민주당|]] | 71.88% | 당선 | |
4 | 나병식(羅炳湜) | 22,462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0,147 | 투표율 56.00% |
투표 수 | 89,682 | ||
무효표 수 | 1,212 |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광산구 광산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전갑길(全甲吉) | 35,852 | 2위 |
[[새천년민주당|]] | 31.43% | 낙선 | |
3 | 김동철(金東喆) | 66,130 | 1위 |
[[열린우리당|]] | 57.98% | 당선 | |
4 | 국강현(鞠康鉉) | 9,194 | 3위 |
[[민주노동당|]] | 8.06% | 낙선 | |
5 | 기세익(奇世翊) | 2,87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1,435 | 투표율 60.16% |
투표 수 | 115,167 | ||
무효표 수 | 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