熊淵灣 / Gomsoman
곰소만 |
1.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개섬[犬島]과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사이에 있는 만.2. 개설
곰소만은 서해안의 전북 부안군과 고창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만으로써, 만의 대부분에 갯벌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으며, 서해안의 만 가운데 원지형의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과거에는 대표 어항인 줄포(부안군 줄포면 줄포리)의 이름을 따서 줄포만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곰소(부안군 진서면 곰소리)가 가장 큰 어항이자 경제 활동의 중심이다.3. 명칭 유래
과거에는 대표 어항이었던 줄포의 이름을 따서 줄포만이라고 하였으나, 현재는 곰소만으로 불린다. 곰소라는 지명은 과거에 소금을 곰소라고 부른데서 유래한다는 설과 곰소 일대 해안의 형태가 곰처럼 생겼고 작은 소(沼)가 존재한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해진다.4. 자연환경
곰소만은 대체로 너비 약 7㎞, 길이 약 17㎞, 수심 10m 미만의 얕은 바다를 이루며, 대부분 갯벌로 이루어 졌다. 곰소만의 조석은 1일 2회로서, 평균 조차는 433.8㎝이며, 조류는 창조류가 111.5㎝/sec. 낙조류가 150㎝/sec로서 낙조류가 우세하다. 평균 해면은 7~8월에 최고이고 1~2월에 최저로써, 약 40㎝의 차이를 보인다.곰소만의 갯벌 퇴적물은 갯벌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모래를 중심으로 한 사질 퇴적물은 만의 남서 해안을 따라 만의 내부로 유입되고 있다. 곰소만의 갯벌은 점토질 갯벌, 혼성 갯벌, 사질 갯벌로 분류되는데, 사질 갯벌은 주로 간조시의 해수면인 저조선 부근에 분포하고, 점토질 갯벌은 만조시의 해수면인 고조선 부근에 분포하며, 그 사이에는 혼성 갯벌이 나타난다.
곰소만 내의 지형은 갯골이 평탄면 사이에 분포하는 펄갯벌(mudflat)과 평균기복이 10cm 이내인 모래갯벌(sandflat)과 복합갯벌로 이루어져 있다.
5. 형성 및 변천
해수면이 현재보다 약 120m 이상 낮았던 약 1만년 전의 지난 빙기 동안에 곰소만은 남쪽의 고창군에서 흘러오는 주진천에 갈곡천이 합류하는 동서 방향의 좁은 골짜기를 이루었을 것이다. 그러나 1만년 전 이후부터 해수면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했고, 약 5~6천년 전에는 현재와 거의 유사한 고도에서 해수면이 정체되면서, 주진천의 골짜기에 바닷물이 들어와 현재와 같은 만의 형태를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급격한 해수면 상승 시기에 하천의 유수와 바다의 파랑 및 조석 작용에 의해 침식 작용이 활발해지면서 만을 빠져나갔던 퇴적물들은 약 5~6천년 전부터 곰소만 내에 퇴적되기 시작하였고, 해수면이 현재의 고도에 거의 안정되면서 완만한 지형 기복과 경사를 가진 곰소만은 서해안의 큰 조차와 주변으로부터 다량의 퇴적물 공급으로 인해 현재와 같은 넓은 갯벌이 형성되었다.
만 내에는 죽도(竹島)ㆍ대죽도(大竹島) 등 작은 섬들이 있다. 이곳의 중심어항이던 줄포(茁浦)는 뻘의 퇴적으로 수심이 얕아지면서 항구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1938년 이웃한 곰소항[熊淵港]에 그 지위를 넘겨주었다. 곰소항은 진서리 앞바다의 곰섬을 중심으로 범섬[虎島]과 까치섬[鵲島]을 잇는 제방을 쌓아 만든 항만이다.
곰소항은 전북에서 군산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어항으로 갈치ㆍ조기ㆍ오징어ㆍ새우ㆍ꽃게 잡이의 중심지였으나, 근래에는 갯벌의 퇴적으로 인한 성장과 연안 수산자원의 고갈로 점차 쇠퇴하고 있어 점차 곰소만 입구에 위치한 격포(格浦)로 어업의 중심지가 이동하고 있다.
6. 현황
곰소만은 조선시대부터 어업과 염전이 성하였다. 곰소만의 안쪽 깊숙이 위치한 대표적인 어항인 줄포는 해방 이후에도 조기잡이의 어항으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갯벌의 매립으로 어선의 출입이 어려워지면서, 곰소만의 북쪽 해안에 위치한 곰소가 성장하여 현재는 곰소만을 대표하는 어항이 되었다.곰소만의 해안에는 과거에 염전이 많았으나,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사양길을 걸어 염전이 많이 줄어들었다. 최근에는 곰소를 중심으로 젓갈 생산과 판매가 활발해지면서, 젓갈 생산에 필요한 소금이 주변 염전에서 생산되고 있다. 현재 곰소의 어항 주변에는 젓갈 시장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
곰소만은 갯벌의 간척률이 약 21%로 우리나라 서해안의 다른 만들에 비해 낮은 편으로써, 서해안의 함평만, 가로림만과 함께 해안과 갯벌의 지형이 대체로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는 편이라서 환경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만을 에워싸고 있는 변산반도(邊山半島)와 고창의 선운산지(禪雲山地)는 백악기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고, 경승지가 많기 때문에 해안을 끼고 굽이굽이 돌아가는 해안도로를 따라 경관을 감상하기가 좋다. 특히 줄포만의 북쪽 해안은 변산반도 국립공원과 인접한 곳이 많다.
동진강 하구와 곰소만을 포함하는 갯벌지대는 20세기 초 이래의 대규모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줄어들고 있어, 인공적인 해안선 변화가 매우 심하다. 특히 세계최대의 새만금간척이 완공되면 곰소만의 퇴적환경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21년 9월에 국가 중요어업유산으로 선정 되었고 2023년 4월 최근 부안군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도전에 나서게 되었다.
7. 기타
- 내륙지역인 정읍시는 행정구역이 서해에 바로 인접되지 못했지만 바다와 가까운 동해안의 함경남도 고원군과 홋카이도 삿포로시처럼 곰소만(또는 줄포만)에서 고부면 백운리간 거리는 약:5㎞로 전국 내륙 기초지방정부에서 해변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다.
정읍지역 삼국시대 서기 300년경 전북 지역 해안선[1]과 현재 2015년의 해안선. 자연적인 퇴적 작용과 간척사업을 통해 호남평야가 만들어 졌다. - 관광지로는 부안군의 국립변산자연휴양림[2]과 부안 줄포만 노을빚정원[3], 변산 도청리쉼터, 운호마을파크골프장, 고창군의 서해안바람공원[4]와 동호해수욕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