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경상국립대학교/학부/법과대학|{{{#!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학 정보 | |||
역사 | 상징 | 동문 | 학부 | |
대학 생활 | ||||
부속 시설 | 대학 협정 | 학내 문화 | 사건 사고 | |
캠퍼스 | ||||
가좌캠퍼스 | 칠암캠퍼스 | 통영캠퍼스 | 창원산학캠퍼스 | |
대학병원 | ||||
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98d8,#0098d8><tablebgcolor=#0098d8,#0098d8> | [[경상국립대학교/학부|경상국립대학교 단과대학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해양과학대학 | 공과대학 | }}} |
1. 개요
College of Law경상국립대학교의 법과대학. 경상국립대학교는 전국 10개의 지방거점국립대학 중 유일하게 법학전문대학원 유치하는데 실패하여 학부 법과대학이 여전히 남아 있다. 경상국립대학교가 탈락함으로서 경상남도 소재 법학전문대학원은 없으며, 같은 동남권인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부산대학교와 동아대학교에 법조인 양성을 의존한다. 다만, 사법시험 합격자 수가 역대 6-7위인 부산대학교와 경상국립대학교는 그 실적이 비교가 불가능한 점, 부산광역시가 과거 경상남도청의 소재지이자 최대 도시였고 아직까지 그 영향력을 잃지 않았기에, 사실 납득가지 않는 상황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025학년도부터 조성제 법과대학장을 필두로 한 운영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기존 법학과에서 법학부로 승격되었다. 법학부로 승격됨에 따라 법학전공과 법조법학전공으로 세부전공이 나뉘었다. 법학전공은 이름 그대로 법학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법학사를 양성하는 데 그 목표가 있으며 법조법학전공은 로스쿨 진학을 목표로 하여 우수한 법학도를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법학부
법학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79 | 경상대학교 법경대학 법학과 | |
1986 | 경상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 ||
2021 | 경상국립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 }}} | |
2025 | 경상국립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부 (법학전공, 법조법학전공) |
2011~2013년동안 조사결과 법원, 검찰직 합격자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배출해냈다. 실제로 경남쪽 특히 창원지방법원과 창원지방검찰청으로 가면 다수의 경상대 출신 법원,검찰직 공무원들이 현직에 종사하고 있다.
법원직 전국 차석을 경상대 법과대학 학생이 가져갈 만큼 양적인 측면 외에 질적인 측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추가적으로 경남 경찰 쪽도 다수가 경상대 출신이며 실제로 경남 지역 경찰서장 중 경상대 출신들이 많다. 법무사협회장도 본교 출신이 맡고 있을만큼 의외로 경상대 출신들이 다양한 분야로 법조계에 종사 중이다.
이름이 알려진 출신 인물로는 김재경 전 국회의원, 전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이었던 김태우 전 검찰수사관이 있다.
링크 참조 : 법원·검찰직 공무원 배출 전국 1위
3. 법학부 학회
법학연구회 | |
학회장: 이지민 | |
주요활동: 형사모의재판, 세미나 |
라온 | |
학회장: 구민서 | |
주요활동: 라온일기(극), 라온하제(토론활동) |
랑 | |
학회장: 김휘은 | |
주요활동: 스터디, 카운슬링 |
여백 | |
학회장: 신효민 | |
주요활동: YB탐방, YB법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