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6:25:06

가짜 노동


1. 개요2. 사례
2.1. 대한민국
3. 해결 방안4. 관련 문서

1. 개요

가짜 노동(Pseudowork)이란 의전, 불필요한 결재, 양식 꾸밈, 서류 작업 및 회의 등의 허례허식, 허송세월, 일하는 척 등의 노동처럼 보이지만 의미 없는 행위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말한다. 데니스 뇌르마르크, 아네르스 포그 옌센이 저술한 『가짜 노동: 스스로 만드는 번아웃의 세계』에서 제안된 개념이다.

해당 출처에 따르면 가짜 노동은 쓸모가 없고 의미가 없는 노동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현대인의 대부분이 가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가짜 노동이 양산되는 원인은 돈과 권력은 모을수록 돈과 권력을 더더욱 끌어당기는 힘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이라도 규모의 경제로 없던 효율과 힘이 생겨나고, 보조금을 빨아먹는 등 비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이 생겨난다. #

다만 가짜 노동과 진짜 노동의 경계는 생각보다 불분명하다. 또한 특정 업무에 대해 이해가 미비한 사람들이 해당 업무에 대해 부적절하게 가짜 노동으로 규정짓는 경우도 존재한다. #

파킨슨의 법칙에 따르면 공무원의 수는 본질적인 업무량과 관계 없이 꾸준히 증가한다. 신입이 늘어날수록 본질적 업무와는 관계가 없는 조직 관리 업무, 즉 부하에 대해 지시하고 통제하고 업무를 보고받는 등의 업무가 늘어나 전체 업무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 사례

2.1. 대한민국

3. 해결 방안

4. 관련 문서


[출처필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