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00:46:32

가을역적

1. 소개2. 상세

[clearfix]

1. 소개

야구 정규시즌에 호성적을 기록한 선수가 가을, 즉 포스트시즌만 되면 부진에 빠져 팀의 패배에 일조하는 선수를 일컫는 멸칭으로, 새가슴, 가을병신이라는 표현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1]

2. 상세

정규시즌에서의 활약이 포스트시즌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1승이 매우 중요하고, 우승으로 이어지는 포스트시즌에서는 치명적이다. 특히 포스트시즌은 제한된 선수들로 경기를 운용해 나가야 하기 때문에 주전급 선수들이 정규시즌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다른 선수들에 대한 부담으로 돌아오게 된다. 게다가 포스트시즌은 실험을 할 상황도 아닌 총력전이기 때문에, 정규시즌처럼 이런 선수가 부진한다고 선수를 뺄 수도 없는 상황이라 이런 선수가 있으면 더더욱 팀 입장에서는 골치가 아픈 상황이다.[2]

타자들 중에서는 홈런을 칠 수 있는 슬러거 유형에서 이런 특성을 가진 선수들이 많다. 이는 무조건 쳐서 넘겨야 한다는 심리적인 부담 때문이기도 하고, 슬러거 특성상 기복이 굉장히 긴 탓도 있다. 이런 선수들 중에서는 그 기복이 하필 가을에 와서, 타격감을 회복하기도 전에 이미 팀은 탈락해 있는 경우도 많다.[3] 그 외에도 가을야구라는 압박감에 수비 시에 실책을 하는 경우가 생기고, 정규시즌에 너무 많은 경기에 출장해 피로도가 쌓여서 가을야구에서 잘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4]

투수가 이런 현상이 생기는 대표적인 이유는, 부담감도 정규시즌에 비해 몇 배나 넘치고, 자신만의 리듬이나 루틴을 지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포스트시즌에 부담이 없는 선수가 어디 있겠냐만은, 투수의 경우 단 1실점도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5] 완벽하게 투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특히 심하다. 게다가 포스트시즌 특성상 엔트리의 모든 투수들은 사실상 언제 나가서 얼마나 던질지 예측해서 준비할 수가 없다.[6] 그래서 평소처럼 여유있게 루틴을 챙기지 못하고 불안한 상태로 투구하다 무너지는 것이다. 혹은 페넌트레이스에서 공을 너무 많이 던졌기 때문에, 포스트시즌에서는 구위나 체력 저하 등 그 부작용이 나타나서 부진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주로 이닝 이터 기질을 가진 선발 투수들이나, 필승조 보직을 맡았던 선수들한테 나타나는 현상이다.[7]

상대팀의 대응방식이 달라지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정규시즌에는 여러 팀의 수많은 선수들을 만나며, 개중에는 처음보는 신인급, 2군 콜업 선수도 있기 때문에 팀이나 구장의 분석과 운영도 이에 맞춰 비교적 폭넓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는 특정 팀의 제한된 선수만 만나게 된다. 당연히 핵심선수는 집중적으로 분석당하게 되며, 이런 특성을 노려서, 성적이 좋지 않은 선수라도 특정 팀이나 선수에 강하면 엔트리에 드는, 소위 '저격발탁'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다보니 정규시즌에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약점을 가을에 집중 공략 당하게 되는 것이다.[8][9] 그래서 정규시즌과 가을야구 상대전적이 완전 다른 경우도 많다.[10]

이것이 팀 컬러로 이어져 팀 단위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나 투수진보다는 타격 위주로 팀을 꾸리고 선발진이 부족한 팀이 전반적으로 가을역적 구단이 되는 경우가 잦다.


[1] 반대로 가을만 되면 활약하는 선수는 가을의 남자, 미스터 옥토버라고 부른다.[2] 특히 KBO 리그의 경우. 포스트시즌 대진으로 인해 총력을 다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구나 5위 '턱걸이'로 포스트시즌에 오른 팀의 경우, 와일드카드전에서부터 사생결단을 해야 하는 시스템이라 느긋할 여유가 없다. 패배시 곧바로 탈락이기 때문에 있는 전력은 죄다 긁어야 한다.[3] 대표적인 예가 오재일. 물론 슈와버처럼 정규시즌보다 더 잘치는 슬러거들도 많다.[4] 후자의 경우가 롯데 시절 자신보다 나은 포수가 없어서 많은 경기에 출장해야 했던 강민호이다.[5] 대표적으로 2024 플레이오프 3,4차전은 모두 1:0으로 끝났다. 그만큼 경기가 투수전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크기에 한 점 실점의 압박감은 페넌트 레이스 때와 차원을 달리한다.[6] 정규시즌에야 경기에 나가야 할 투수와 나가지 않는 투수를 어느 정도 구분짓기 때문에 투수들도 그에 따라서 자신의 리듬과 루틴을 맞추면 된다. 그리고 정규시즌에서는 어떤 투수가 대량실점을 한다면, 사실상 경기를 던진다 생각하고 패전조를 준비시키면 된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서는 투수가 흔들리는 기미만 보여도 바로 마운드를 교체하고, 잘 던지는 투수는 팀 상황에 따라 계속 경기에 출전한다. 사실상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든 선수들은 상시 대기하는 상태나 다름없다.[7] 다만 이 외에도 그냥 멘탈이 두부인 투수가 가을역적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그 투수 말고 쓸 대안이 없는(...) 경우라서 따로 기술하지 않았다.[8] 그렇다고 하루 아침에 스타일을 바꿀 수도 없다보니 선수와 팀입장에서는 알면서도 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성적이 더더욱 수렁에 빠지게 된다.[9] 이는 역설적이게도 미스터 옥토버가 등장하는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정규시즌 성적이 좋지 않거나 출장횟수가 적어 상대적으로 정보 분석이 부족한 선수다보니 상대가 제대로 대응을 못 하는 것.[10] 대표적인 예가 바로 두산 베어스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이다. 정규시즌 상대전적은 항상 비슷하거나 오히려 두산이 앞서는 편인데 가을만 되면 SK에게 호구를 잡힌다. 총 포스트 시즌 전적은 SK 기준 4승 0패 이며, SK의 우승 5번 중 절반이 넘는 3번을 두산이 조공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