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5:56:40
유희왕 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가비지 로드, 일어판명칭=ガーベージ・ロード, 영어판명칭=Garbage Lord,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2400, 효과1=10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이 카드는 패에서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유희왕 ZEXAL 69화에서 Dr. 페이커 가 츠쿠모 유마 & 카미시로 료가 & 텐조 카이토 와의 1 vs 3 듀얼에서 중 사용. 선공 첫 턴부터 가비지 오우거의 효과로 서치한 뒤, 패에 모인 3장을 각자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여 No.53 위해신 Heart-eartH 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했다. 3vs1이라는 상황을 감안하여 페이커는 12000 LP로 시작했기에 아낌없이 LP를 써버린 듯.쓰레기 란 디자인 컨셉을 가진 No.53 위해신 Heart-eartH 와의 연관성은 엿보인다. 가비지는 쓰레기란 뜻이고, 위해신의 번호 53은 쓰레기란 뜻의 '고미'의 고로아와세 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가비지 로드, 일어판명칭=ガーベージ・ロード, 영어판명칭=Garbage Lord,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2400, 효과외1=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경우\, 어둠 속성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2000 LP를 지불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LP 2000을 지불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미분류 효과, 엑시즈 소재 제약을 거는 효과 외 텍스트 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전용 서치 카드인 가비지 오우거도 있고, 어둠 속성에 공격력 0이라 서치나 샐비지도 용이하다. 턴 제한도 없이 필드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른 자체 특수 소환 효과를 가진 레벨 5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능이라 할 수 있다. LP 코스트는 초기 LP의 4분의 1을 빼먹는 셈이지만, 그 점에서도 ZW 과 상성이 좋으니 랭크 5축 덱에서 유용하게 여길 수 있다. 문제는 어둠 속성 엑시즈 소재로만 쓸 수 있다는 제약인데, 어둠 속성 랭크 5 엑시즈 몬스터는 그리 많지 않은 데다, 굳이 가비지 로드를 써서 소환하기엔 비효율적이다. 굳이 범용성 높은 것을 따지면 제거 효과가 있는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 나 2회 공격이 가능한 샤크 포트리스 정도. 그밖에는 조건부 제거 효과가 있는 No.14 욕망의 사라메야 나 공격력이 안정적이지 못해도 전체 공격 가능한 No.5 망롱룡 데스 키메라 드래곤 정도가 있다. 소황녀 퀸쿼리 도 레벨 5 전용 효과가 있으니 엑시즈 소환 후 전개를 지원해줄 수 있다. 지옥의 폭주소환 으로 이 카드를 3장 전개하면 선택지는 늘어나지만, 상대에게 의존한다는 점이나 패에 넣기 힘든 카드에 전개를 맡긴다는 점에서 불안정하다. 반면 싱크로 소환 이나 링크 소환 제약은 전혀 없다. 싱크로 소환 소재로서 레벨 5라면 쓸 방법은 많은 데다 서치 카드가 있다는 점으로 다른 레벨 5의 특수 소환 몬스터들과 차별화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있을 뿐 다른 방법에 의한 소환엔 제약이 없다. 발동을 수반하지 않는 미분류 효과에 의한 특수 소환이라 크리터 의 효과로 서치한 턴에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턴에 1번 제약이 없으니 패에 여러 장 있으면 연속 특수 소환이 가능하지만, 당연히 LP 코스트도 그만큼 깨지므로 LP가 적을 때 뽑히면 그냥 말림패 신세다. LP를 지불한다는 특성 탓인지 유희왕 마스터 듀얼 의 첫 이벤트인 엑시즈 페스티벌에서는 자살덱을 위해 이 카드가 적극적으로 쓰인 바 있다. 결국 다음 이벤트인 N/R 이벤트에서는 자살덱 방지를 위해 금지가 되고 말았다.유희왕 듀얼링크스 에서는 간단하게 2000 LP를 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LP가 일정 이상 줄어든 상태일 때 사용 가능한 스킬과 조합되고 있다. 보통 코즈믹 싸이크론 때문에 1000 LP 까는 것까지는 쉬워 LP 까기 조건이 거의 1001 이상으로 되어있는데, 가비지 로드는 그 조건을 쉽게 충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인페르니티 덱이 있다. 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 의 스킬 중 몽환의 패라는 스킬이 있는데, 발동 조건이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보다 2000 이상 낮아야 해서 가비지 로드의 특소 효과를 쓰면 한 번에 발동 조건을 채울 수가 있고, 덤으로 이 카드를 싱크로 / 링크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패가 0장이어야 전개 및 효과 발동이 되는 인페르니티 특성 상 가비지 로드가 처음에 2장 이상 패에 잡혀 버리면 곤란해지긴 하나, 몽환의 패 스킬이 패를 3장까지 덱으로 되돌리고 덱으로 되돌린 매수에 따라 다른 효과를 사용하는 방식이라 패에 추가로 잡힌 가비지 로드는 이 방법으로 쉽게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12-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JP019 | COSMO BLAZER 2013-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EN019 | COSMO BLAZER 2014-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GRT-EN055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REINFORCEMENTS 2014-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W2-EN055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ROUND 2 2013-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KR019 | 우주의 섬광
3. 관련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가비지 오우거, 일어판명칭=ガーベージ・オーガ, 영어판명칭=Garbage Ogre, 레벨=3,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800, 수비력=1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가비지 로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가비지 로드를 서치하는 기동 효과 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가비지 로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니 이 서치 효과도 그대로 몬스터 전개로 연계된다. 다크 버스트 에 대응하므로 한 번 몬스터 효과를 쓰고난 뒤에도 회수가 가능. 가비지 로드 자체는 공격력 0이라 서치는 쉽지만, 이 카드를 경유하면 묘지의 어둠 속성 몬스터 매수를 벌어들일 수 있다. 레벨 3이라 혼돈구체 의 서치에도 대응하며, 혼돈구체 와 가비지 로드로 랭크 5 엑시즈 소환도 할 수 있다. 또한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로 리크루트도 할 수 있어 한 번 엑시즈 소재로 삼은 다음 샐비지해오는 것도 가능. 혼돈구체나 데스가이드도 어둠 속성이니 서포트 카드를 공유하거나, 엑시즈 소재 제약을 풀기 쉽다는 점에서 알아둘 가치는 충분하다. 마법 카드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가비지 로드는 다른 특수 소환에 쓸 수 있기에 빠른 추가로 전개를 노린다면 덱에 넣어볼 수도 있는 카드.유희왕 ZEXAL 69화에서 Dr. 페이커 가 츠쿠모 유마 & 카미시로 료가 & 텐조 카이토 와의 1 vs 3 듀얼에서 중 사용. 첫 턴부터 효과로 가비지 로드를 서치하면서 묘지로 갔으며, 이후 No.53 위해신 Heart-eartH 효과로 묘지에서 장착되며 대신 파괴되기를 3차례나 반복했다. 여기서는 효과 발동 횟수 제한이 없었다. 수록 시리즈 2012-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JP018 | COSMO BLAZER 2013-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EN018 | COSMO BLAZER 2013-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BLZ-KR018 | 우주의 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