薰 향풀 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미배정 | |||||||
薫 | |||||||
일본어 음독 | クン | ||||||
일본어 훈독 | かお-る, かおりぐさ, た-く | ||||||
- | |||||||
표준 중국어 | xū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薰은 '향풀 훈'이라는 한자로, 아마도 홀리 바질로 추정되는 향기나는 식물을 가리키는 한자이다. 여기에서 의미가 파생하여 향기, 연기를 뜻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태우다, (고기 따위를) 훈증하다, 훈자(薰煮: 태우고 삶다)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훈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음을 나타내는 熏(불길 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음차하여 훈육(薰鬻)의 이름자에 쓰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남자 이름에 쓰이는 글자이지만, 일본에서는 카오루라고 훈독하여 남녀 이름에 모두 쓰인다.이 글자가 어떤 풀을 가리키는지에 대하여 여러 설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홀리 바질이라고 여긴다. 사천성 등지에서 자라는 영향초(靈香草: Lysimachia foenum-graecum)라는 설도 있는데, 아닌 게 아니라 영향초 또한 훈초(薰草)라고도 불린다. 향기나는 허브란 데에서 의미가 파생하여 향기란 뜻으로도 쓰인다. 태우다, 혹은 (태워서 나는) 연기라는 뜻으로도 쓰였다.
유니코드에는 U+85B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HGF(廿竹土火)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 김경훈(金徑薰)
- 미토마 카오루(三笘 薫)
- 박훈근(朴薰槿)
- 센고쿠 카오루(仙石 薫)
- 이석훈(李碩薰)
- 이승훈(李承薰)
- 이혜훈(李惠薰)
- 정지훈(鄭智薰)
- 조훈현(曺薰鉉)
- 진교훈(陳校薰)
- 타카오카 카오루(高岡 薫)
- 하나사키 카오루코(花咲 薫子)
- 히라타 카오루(平田 薫)
- 홍계훈(洪啓薰)
- 타나마치 카오루(棚町薫)
3.3. 창작물
3.4. 기타
4. 유의자
- 芸(향풀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