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닛 인스트루멘탈 악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px" | | | | |
| | | | |
Happy Melty Party P*Light | RAVE INTO THE PEAKY VIBES DJ Noriken | Sparkle of Photon aran | Discordant Mermaid Massive New Krew | |
| | | | |
| | | | |
燐華 Gram | Lyrical Strike! REDALiCE | Universe Chord Getty | Lost in the Abyss DJ Myosuke | |
| ||||
| ||||
Altar of Artemis Laur |
}}}}}}}}} ||
역대 구루미쿠배 최초 공개 악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px" | 2022 | |||
| | | ||
ぐるぐるDJ TURN!! (14 Routine Remix) EXPERT 15 | Let's do the 'Big-Bang!' EG NURemix EXPERT 15 | 吾輩よ猫であれ (Kawaii×Future×Hard Mix) EXPERT 15 | ||
2023 | ||||
| | | ||
Photon Tale(DJ WILDPARTY Remix) EXPERT 15 | BOOM-BOOM SHAKE!(Aggressive Mix) EXPERT 15 | conflict feat.出雲咲姫 EXPERT 15 | ||
2024 | ||||
| | | ||
ARCANA (Sakuzyo Remix) EXPERT 15 | Maihime(kors k Remix) EXPERT 15 | 燐華 EXPERT 16 |
- 대회 당일 공개된 악곡의 출시 순 나열입니다. }}}}}}}}} ||
HARDCORE TANO*C × D4DJ 유닛 인스트 악곡 프로젝트의 마지막 악곡으로 아티스트는 Gram. 기존에 매달 1곡씩 수록되었던 유닛 인스트 곡과는 다르게 구루미쿠배 시기에 맞추기 위해 직전에 수록된 Alter of Artemis 이후 약 5개월의 공백 끝에 수록되었다.
마지막 인스트 악곡의 유닛이 燐舞曲로 결정 나면서 해당 악곡을 담당할 아티스트는 누구일까에 대한 추측이 오갔는데 평소 론도의 분위기에 맞게 과격한 전개를 보이는 RoughSketch나 Kobaryo를 예상하는 사람이 많았으나 대다수의 예상을 깨고 중2병 센스 넘치는 Gram 명의의 DJ Genki 악곡으로 등장했다. 예상치 못했으나 굉장히 센스 있는 아티스트 배치라는 평.[1] DJ Genki는 이 곡으로 최초의 15레벨 채보가 수록된 악곡이었던 사랑색 마스터 스파크에 이어 후술할 최초의 16레벨 채보가 수록된 악곡을 담당하게 되면서 구루미쿠 보스곡 아티스트의 자리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
2. D4DJ Groovy Mix
D4DJ Groovy Mix의 Lv.15 이상의 수록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px" | Lv.16+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OVE!HUG!GROOVY!! EXPERT | LOVE!HUG!GROOVY!! (KO3 Remix) EXPERT | LOVE!HUG!GROOVY!! +nova EXPERT | }}} | |||
Lv.16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なんてカラフルな世界![D4DJ Remix] EXPERT | Floating Flower(s)! (フルサイズ版) EXPERT | 燐華 EXPERT | }}} | |||
Lv.15 | |||||||
| | | | ||||
恋色マスタースパーク (DJ Genki Remix) EXPERT | Exitium EXPERT | BUCHiGiRE Berserker EXPERT | FREEDOM DiVE↓ EXPERT | ||||
| | | | ||||
Trrricksters!! EXPERT | Falsum Atlantis. EXPERT | ぐるぐるDJ TURN!! (14 Routine Remix) EXPERT | Let's do the 'Big-Bang!' EG NURemix EXPERT | ||||
| | | | ||||
吾輩よ猫であれ (Kawaii×Future×Hard Mix) EXPERT | Ouvertüre EXPERT | 夢想曲 -Träumerei- EXPERT | ARCANA EXPERT | ||||
| | | | ||||
MAX!!!! EXPERT | Re:End of a Dream EXPERT | Photon Tale(DJ WILDPARTY Remix) EXPERT | BOOM-BOOM SHAKE!(Aggressive Mix) EXPERT | ||||
| | | | ||||
conflict feat.出雲咲姫 EXPERT | SUPER EMULATOR EXPERT | Odin EXPERT | Lost in the Abyss EXPERT | ||||
| | | |||||
Altar of Artemis EXPERT | ARCANA(Sakuzyo Remix) EXPERT | Maihime(kors k Remix) EXPERT | |||||
| }}}}}}}}} |
[1] 2022년 7월 29일 14로 격상되었다.
}}}}}}}}} ||
}}}}}}}}} ||
燐華 린카{{{#!wiki style="margin:-9px -10px auto;margin-bottom:-7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8d1cc,#004c4c> BPM 256 2:49 | }}}{{{#!wiki style="margin:0px -12px -16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0e0d0,teal><tablebgcolor=#40e0d0,teal> | ||||
10+ 608 (SCR) | 12+ 840 (NTS/SCR) | 14 1269 (ALL) | 16 1872 (ALL) | }}} |
<colbgcolor=#48d1cc,#008b8b><colcolor=#000,#e5e5e5> 수록 | 2024년 10월 28일 | ||||
유닛 | | ||||
아티스트 | Gram | ||||
해금 방법 | 악곡 숍 | ||||
카테고리 | instrumental | ||||
기타 | 구루미쿠배 2024 엑시비션 매치 과제곡 정규 채보 최초이자 유일한 16(EXPERT)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고 레벨 갱신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다 노트 수 갱신 정규 채보 전 난이도 평균 노트밀도 1위 레이더 차트 그래프 수치가 최고점인 정규 채보 (EXPERT)[2] 정규 채보 최장 시간 PFC 방어 수록 당일 PFC 달성자가 가장 적은 정규 악곡 채보 (EXPERT, 1명) | ||||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 | | | | |
Lemonlime + Subatos |
2.1. 채보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고 레벨[3]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다 노트 수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고 평균 밀도[4]
정규 채보 최장 시간 PFC 방어[5]
수록 당일 최저 인원 PFC 달성[6]
상술한 기록이 보여주듯 D4DJ Groovy Mix의 수록곡에서 독보적인 기록을 쌓았다. 후술할 EXPERT 채보가 당분간 이벤트 등에 사용될 일은 없다고 공인하기도 하였으며, 그동안 이어져 왔던 보스곡 논쟁에 마침표를 찍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7]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다 노트 수
정규 채보 전 난이도 최고 평균 밀도[4]
정규 채보 최장 시간 PFC 방어[5]
수록 당일 최저 인원 PFC 달성[6]
HARD PFC(-6) 영상.
EXPERT JPFC 영상.
D4DJ Groovy Mix 최초의 정규 악곡 16레벨 채보이자 현 D4DJ Groovy Mix의 최종 보스곡.
엑시비션 매치에서 선 공개된 이 패턴은 구루미쿠배 2024 각 부분 우승자 두 명을 모두 10 미스 이상 만들었다. [8] 플레이 직후, '말이 나오지 않는다.' '이런 건 무리다.'라는 표현을 했을 정도.
전체적으로 구성은 처음부터 끝까지 쉬는 구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노트를 채워 넣으면서, 16비트를 초과하는 박자는 오로지 슬라이더만 등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BPM이 전 곡을 통틀어도 손에 꼽을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체력 부담이 엄청나고, 정확한 손이동이 요구되는 패턴이 더해져 스코어링이 상당히 어렵다. 게다가 확실한 킬링 패턴도 존재하는데, 손에 꼽는 킬링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첫 번째는 슬라이더 횡단 복합 -> 16비트 트릴이다. 슬라이더를 끝에서 끝까지 옮기고 이후에 바로 16비트 트릴을 처리해야 하는 형태로, 슬라이더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탭노트가 하나씩 끼워져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이동 반경이 제한 된다. 횡단하는 과정에서 모든 슬라이더가 보라색 노트로 되어 있어 덜밀어서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남은 슬라이더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스코어링이 힘들다.
- 두 번째는 슬라이더 원핸드와 탭노트 연타다. 극초반 패턴에 등장하는 슬라이더 복합 + 8비트 연타의 강화된 형태로, 슬라이더를 수시로 움직여주면서 탭노트를 8비트로 처리하다가 마지막 즈음에 16비트가 섞여서 등장한다. 탭노트를 처리하다 중간에 동시타가 나오는데 이 때의 구간이 슬라이더를 건들이기 쉬운 패턴이라 스코어링에 있어서도 난감한 구간이다.
- 세 번째는 후반부에 무려 128박자 동안 쉬지 않고 등장하는 후살 패턴으로, 스크래치 노트, 슬라이더, 탭노트가 8비트 연타와 16비트 트릴이 섞여서 등장한다. 디스크 노트 특성 상 스크래치 노트를 처리할 경우 백스핀이 들어가 잠시 탭과 슬라이더 노트가 멈추기 때문에 가시성이 최악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잘 보존했던 라이프를 폭삭 깎아 먹을 수 있는 구간이고, 스코어링에서 PFC가 독보적으로 늦게 나오고 이론치 역시 가장 적게 나오는 이유가 이 구간 하나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말이 필요없다.
- 네 번째는 극후반에 등장하는 5 탭노트 16비트 트릴 -> 홀잡 + 부등호 슬라이더 패턴이다. 여기까지만 봐서는 상기 언급되었던 슬라이더 횡단 복합 -> 16비트 트릴과 유사한 패턴이나, 그 직후에 탭노트가 모두 스크래치 노트로 변형되어 등장한다. 이 부분은 다지로도 처리가 가능한 디스크 특성상 직전에 사용된 탭노트보다 처리하기 더 쉬우나 슬라이더을 움직여야 할 박자가 엇박으로 내려오는 상황에서 백스핀 때문에 가시성이 떨어지므로 탈선이 나기 쉬운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기존 보스곡 라인을 모두 뛰어 넘은 것은 물론, 8분이 넘는 길이로 진 최종 보스에 올랐었던 LOVE!HUG!GROOVY!! +nova와 역대 단위인정 최정점을 상회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지어, 구루미쿠배 예선에서 이론치에 가까운 기록을 내는 역대 결선 진출자들도 해당 채보의 풀콤보를 달성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올 정도이니 클리어링, 스코어링 모두 얼마나 어려운지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2.1.1. 악곡 정복 현황
- 공개된지 2시간 54분만에 ねむいマン이 유저가 전세계 1호 PFC에 성공하였다. 역대 3번째로 긴 시간 PFC 방어를 하였으며, 이는 정규 채보 중 최장 시간 PFC 방어 기록이기도 하다.
- 45분 후, 같은 유저에 의해 EXPERT 난이도 MAX-2(1 PERFECT, 1 BAD) 인증글이 올라왔다.*
- 이튿날인 10월 29일, VineMEMZ가 전세계 2호 PFC이자, 전세계 1호 이론치에 성공하였다.[9] EASY, NORMAL, HARD의 이론치가 보고 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첫 이론치이기도 하다.[10]
[1] 다만, BMS, 게키츄마이 등 리듬 게임 콜라보의 마지막 악곡이 대부분 14+ ∼15레벨의 고렙으로 끝났다는 걸 감안하면, 이전에 15레벨 악곡 중 가장 많은 악곡을 담당했던 DJ Genki의 가능성을 예상하는 의견도 있었다.[2] 레이더 차트에서 표기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치를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차트로 정오각형을 만들 수 있는 몇 안 되는 채보다.[3] EASY 9 → 10+ NORMAL 12 → 12+ HARD 13+ → 14 EXPERT 15 → 16, 그 중 EASY, NORMAL 난이도는 이스터 에그 악곡을 포함해서 최고 난이도를 갱신[4] EASY 3.58노트/s NORMAL 4.95노트/s HARD 7.47노트/s EXPERT 11.02노트/s[5] EXPERT, 174분 | 종전 기록 92분 (アバンチューールなサマーデーーイズ)[6] EXPERT에서는 단 1명만 PFC를 달성하였다.[7] 이전까지는 달성 목표에 따라 보스곡 포디션이 바뀌었다. 전반적으로 보스곡 구성은 마스터 스파클, 슈퍼애뮬, 리엔드, 팔섬으로 평가하나, PFC로 넘어갈 경우 마스터 스파클, 슈퍼애뮬이 익시디움과 아르카나로 변경되고, 이론치로 상향 조정될 경우 리엔드 단독으로 별격 취급을 받는다. 사실 여기에 적힌 채보들이 각자 킬링 패턴이 뚜렷하다 보니 이론치를 제외하면 그 사이에서 개인차가 많이 갈려 보스곡을 정할 때마다 의견이 서로 엇갈려 나왔다.[8] 대회 모드로 진행되어 플레이 한 유저 모두 LIVE CLEAR 처리가 되었으나, D4페스를 구독하지 않고 회복스킬을 발동 시키지 않는 평상시의 경우 10 미스만 나오더라도 FAILED 처리된다.[9] 공교롭게도 PFC를 가장 빨리 친 두 유저는 구루미쿠배 Lyrical Lily 예선에서 1, 2위로 통과하여 결승에서 맞대결을 치룰 예정이었으나, 일본 체류 및 일본어 사용 문제 등으로 인해 VineMEMZ의 결승 진출권이 차순위로 밀리면서 무산되고 말았다.[10] 의외로 이틀째에 겨우 이론치가 나온 리엔드보다 빠르게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