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참여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nopad> 파일:Polaroid(tripleS).jpg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Polaroid(tripleS)|Polaroid tripleS / OST
2024. 11. 15.]][[Dreaming(tripleS)|Dreaming tripleS / OST
2024. 11. 26.]]
1. 개요
Gravity는 대한민국의 걸그룹 tripleS의 활동에 관여하는 팬 투표이다. 해당 문서는 tripleS의 역대 Gravity를 정리한 문서이다.2. Grand Gravity
===# 첫번째 Grand Gravity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Time Table ||
}}}}}}
{{{#!wiki style="min-height: 50px" {{{#!folding [ Time Table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000><rowcolor=#ffdd00><width=14%> 날짜 ||<width=14%> 시간 || 내용 ||<width=12%> 링크 ||
<rowcolor=#ffdd00> 날짜 / 시간 내용 2022. 09. 21. 22:00
~
2022. 09. 22. 20:00[[윤서연| 윤서연]] ↔ [[김나경|김나경]]2022. 09. 22. 22:00
~
2022. 09. 23. 20:00[[정혜린(tripleS)| 정혜린]] ↔ [[김수민(tripleS)|김수민]]2022. 09. 23. 22:00
~
2022. 09. 24. 20:00[[김채연| 김채연]] ↔ [[공유빈|공유빈]]2022. 09. 24. 22:00
~
2022. 09. 25. 20:00[[이지우(tripleS)| 이지우]] ↔ [[김유연|김유연]]
Grand Gravity Table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Grand Gravity Table 서연 ↔ 나경.jpg | 파일:Grand Gravity Table 혜린 ↔ 수민.jpg |
[[윤서연| 윤서연 ]] ↔ [[김나경|김나경 ]]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 [[김수민(tripleS)|김수민 ]] | |
파일:Grand Gravity Table 채연 ↔ 유빈.jpg | 파일:Grand Gravity Table 지우 ↔ 유연.jpg | |
[[김채연| 김채연 ]] ↔ [[공유빈|공유빈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김유연|김유연 ]] | }}}}}}}}} |
- S1 ~ S8 총 8인이 4명씩 두 개의 DIMENSION[1]을 이룬다.
- 2022년 9월 21일 ~ 9월 25일, 팬들은 4일에 걸쳐서 매일[2] 두 명의 S에 대한 선택지를 받았으며, 선택지는 Gravity가 열리기 5일 전에 SIGNAL을 통해 공개되었다.[3]
- "스위치" 버튼을 이용해 두 명의 S를 어느 팀으로 보낼지 정할 수 있다. "스위치"만 가능하기 때문에 두 명은 무조건 다른 팀으로 배정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Acid Angel from Asia | ↔ | +(KR)ystal Eyes | 득표율 |
[[김나경| 김나경 ]] | ↔ | [[윤서연| 윤서연 ]] | 59.0%(1,399/2,371) |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 62.8%(1,251/1,992) | |
[[공유빈| 공유빈 ]] | ↔ | [[김채연| 김채연 ]] | 53.3%(1,252/2,351) | |
[[김유연| 김유연 ]] |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55.6%(2,247/4,044) | }}}}}}}}} |
===# 두 개의 큰 파도 #===
- S1 ~ S16 총 16인이 8인씩 두 개의 디멘션[4]을 이룬다.
- S15와 S16은 합류할 디멘션이 미리 정해져 있다.[5]
- 2023년 4월 21일 ~ 4월 28일 총 7번에 걸쳐 S1 ~ S14를 디멘션에 배정하는 그래비티가 열렸다.
- 4월 29일 18시 ~ 5월 1일 18시 두 디멘션 중 먼저 활동할 디멘션을 정하는 그래비티가 열렸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득표율 | |
<rowcolor=#fff> EVOLution | LOVElution | |
[[김유연| 김유연 ]]35.4% (9,414/26,602) | [[공유빈| 공유빈 ]]27.4% (7,290/26,602) | |
[[김채연| 김채연 ]]33.7% (7,642/22,653) | [[윤서연| 윤서연 ]]38.1% (8,638/22,653) | |
[[김나경| 김나경 ]]64.7% (6,910/10,672) | [[카에데(tripleS)| 카에데 ]]55.9% (5,967/10,672)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65.7% (9,192/13,993) | [[서다현| 서다현 ]]68.7% (9,615/13,993)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47.9% (10,188/21,257) | [[박소현(tripleS)| 박소현 ]]44.6% (9,488/21,257)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35.8% (6,696/18,683) | [[정혜린(tripleS)| 정혜린 ]]48.3% (9,020/18,683) | |
[[곽연지| 곽연지 ]]66.9% (4,576/6,836) | [[니엔(tripleS)| 니엔 ]]66.9% (4,576/6,836) | |
[[마유(tripleS)| 마유 ]] | [[신위(tripleS)| 신위 ]] |
<rowcolor=#fff> 활동 순서 | ||
EVOLution 40.2% (7,547/18,768) | LOVElution 59.8% (11,221/18,768) | }}}}}}}}} |
===# Grand Gravity : Ballad Dimension #===
- 발라드 디멘션에 참여할 S를 정하기 위한 그래비티이다.
- 그래비티 당시에는 디지털 싱글 앨범만을 계획하고 있으며 음악방송 활동 계획도 없다고 밝혔으나, 앨범 준비 과정에서 계획이 변경되어 실물 QR 앨범 발매와 1주일의 짧은 음악방송 활동을 하였다.
- 총 5인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디멘션이 열린다.[9]
- S10 서다현은 그래비티 진행 전부터 미리 합류가 결정되어진 S로, 다현을 제외한 15명의 S들이 그래비티에 참여하여 이들 중 4명이 발라드 디멘션에 합류하게 된다.
- S10을 제외한 15명의 S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7개의 조합이 존재하며, 각 조합은 모두 4인조이다.
- 그래비티가 열리기 하루 전인 11월 21일 오후 10시 해당 그래비티에 사용될 7개의 조합을 추첨하는 유튜브 LIVE 방송이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Combination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조합 | 참여 인원 |
Combination A | [[김나경| 김나경 ]] [[카에데(tripleS)|카에데 ]] [[곽연지|곽연지 ]] [[마유(tripleS)|마유 ]] | |
Combination B | [[윤서연| 윤서연 ]] [[김유연|김유연 ]] [[공유빈|공유빈 ]] [[박소현(tripleS)|박소현 ]] | |
Combination C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김수민(tripleS)|김수민 ]] [[코토네(tripleS)|코토네 ]] [[신위(tripleS)|신위 ]] | |
Combination D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김채연|김채연 ]] [[카에데(tripleS)|카에데 ]] [[니엔(tripleS)|니엔 ]] | |
Combination E | [[윤서연| 윤서연 ]] [[정혜린(tripleS)|정혜린 ]] [[김채연|김채연 ]] [[신위(tripleS)|신위 ]] | |
Combination F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곽연지|곽연지 ]] [[니엔(tripleS)|니엔 ]] [[마유(tripleS)|마유 ]] | |
Combination G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김나경|김나경 ]] [[공유빈|공유빈 ]] [[코토네(tripleS)|코토네 ]] | }}}}}}}}} |
- 2023년 11월 22일 오전 10시 ~ 11월 24일 오전 10시 총 48시간 동안 조합을 선택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으며, 이후 24일 12시 해당 그래비티의 결과가 공개되었다.
Grand Gravity Result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수 |
Combination D | 52,892 (40.0%) | |
Combination A | 32,030 (24.2%) | |
Combination B | 27,405 (20.7%) | |
Combination F | 7,607 (5.8%) | |
Combination G | 5,083 (3.8%) | |
Combination E | 4,179 (3.2%) | |
Combination C | 3,020 (2.3%) | |
<rowcolor=#fff> 총합 | 132,216 | }}}}}}}}} |
<rowcolor=#ff7477> 최종 합류 S | ||||
[[서다현| 서다현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김채연| 김채연 ]] | [[카에데(tripleS)| 카에데 ]] | [[니엔(tripleS)| 니엔 ]] |
- Gravity 결과, 위 5명의 멤버들로 발라드 디멘션이 만들어졌다.
===# Grand Gravity : ASSEMBLE24 Title Track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Time Table ||
{{{#!wiki style="min-height: 50px" {{{#!folding [ Time Table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ff7477> 날짜 / 시간 | 내용 |
02. 15. 11:00 ~ 02. 17. 08:00 | Day 1 (Song A vs Song B vs Song C vs Song D) | |||
02. 17. 11:00 ~ 02. 19. 08:00 | Day 2 (Song E vs Song F vs Song G vs Song H) | |||
02. 19. 11:00 ~ 02. 20. 11:00 | Finals (Song A vs Song F) | }}}}}}}}} |
Grand Gravity 미리듣기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y 1 | |||
Day 2 | ||||
Final | ||||
}}}}}}}}} |
- tripleS의 2024년 완전체 앨범인 ASSEMBLE24의 타이틀곡을 정하는 Gravity로, 2024년 2월 15일 ~ 2월 20일 진행되었다.
- 후보는 총 8곡으로, 4곡씩 각각 이틀 동안 그래비티를 한 뒤, 두 그래비티의 1위 곡끼리 마지막 1:1 투표를 하여 최종 결정한다.
- Gravity 직전인 2월 4일에 진행한 콘서트 Authentic 후반 포토 타임 직후에 Gravity 진행을 알리는 영상이 깜짝 공개되었다.
- 본래 Grand Gravity는 유닛을 정하는 그래비티이고, 타이틀곡을 선정하는 것은 Event Gravity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Grand Gravity 타이틀을 달고 진행되었다.
소속사 대표의 자취를 봤을때 아무 기준이 없을 확률이 매우 높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Day 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Girls Never Die | 49,204 (56.0%) | |||
Non Scale | 18,909 (21.5%) | |||
Bionic Power | 14,845 (16.9%) | |||
Midnight Flower | 4,953 (5.6%) | |||
<rowcolor=#fff> 총합 | 87,911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Day 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Too Hot | 13,173 (31.5%) | |||
Recover It Now | 12,537 (30.0%) | |||
Seoul Vice | 9,586 (22.9%) | |||
Atmosphere | 6,479 (15.5%) | |||
<rowcolor=#fff> 총합 | 41,775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Final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Girls Never Die 82.9% (80.857/97,535) | Too Hot 17.1% (16,678/97,535) | }}}}}}}}} | }}}}}}}}} |
- 결과에 따라 Girls Never Die가 2024년 완전체 앨범 ASSEMBLE24의 타이틀곡이 되었다.
- Finals에서 Girls Never Die가 득표율 82.9%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최종 결정되었으며, 이 수치는 앞으로의 Gravity에서도 깨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후보곡 발매 현황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곡 | 발매 제목 | 수록 앨범 |
Girls Never Die | Girls Never Die | ASSEMBLE24 | |
Midnight Flower | Midnight Flower | ASSEMBLE24 | |
Bionic Power | Bionic Power | Performante | |
Non Scale | Non Scale | ASSEMBLE24 | |
Atmosphere | Atmosphere | Performante[10] | |
Too Hot | |||
Recover It Now | 24 | ASSEMBLE24 | |
Seoul Vice | }}}}}}}}} |
- 댄스 디멘션 Visionary Vision에 참여할 S를 결정하는 그래비티이다.
- 총 12인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디멘션이 열리며, 이전과는 달리 그래비티가 진행되는 단계별로 참여할 S를 결정하는 기준이 다르다.
- 디멘션이 발표된 다음날인 6월 14일 11시 ~ 6월 15일 8시에 유닛의 리더를 결정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다. 해당 그래비티를 통해 선발된 1인은 자동적으로 유닛에 합류하며[11], 공식적인 리더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Leader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정혜린 | 88,102 (47.8%)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나경 | 50,901 (27.6%) | |
코토네 | 9,001 (4.9%) | ||
박소현 | 6,629 (3.6%) | ||
카에데 | 4,060 (2.2%) | ||
김유연 | 3,848 (2.1%) | ||
윤서연 | 3,379 (1.8%) | ||
공유빈 | 3,136 (1.7%) | ||
니엔 | 2,474 (1.3%) | ||
신위 | 1,849 (1.0%) | ||
지연 | 1,799 (1.0%) | ||
린 | 1,614 (0.9%) | ||
이지우 | 1,541 (0.8%) | ||
설린 | 1,035 (0.6%) | ||
김채연 | 728 (0.4%) | ||
마유 | 704 (0.4%) | ||
서다현 | 657 (0.4%) | ||
서아 | 649 (0.4%) | ||
정하연 | 544 (0.3%) | ||
김채원 | 507 (0.3%) | ||
김수민 | 423 (0.2%) | ||
곽연지 | 407 (0.2%) | ||
박시온 | 293 (0.2%) | ||
주빈 | 141 (0.1%) | }}}}}}}}} | |
<rowcolor=#fff> 총합 | 184,423 | ||
<rowcolor=#b301fe> 합류 S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 }}}}}}}}} |
- 6월 15일 11시 ~ 6월 16일 8시에,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상위 4명이 유닛에 합류하게 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Day1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카에데 | 35,963 (19.9%) | ||||
박소현 | 30,192 (16.7%) | ||||
곽연지 | 25,536 (14.1%) | ||||
코토네 | 17,668 (9.8%)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나경 | 16,576 (9.2%) | |||
니엔 | 13,335 (7.4%) | ||||
지연 | 6,428 (3.6%) | ||||
이지우 | 5,272 (2.9%) | ||||
마유 | 4,043 (2.2%) | ||||
신위 | 3,700 (2.0%) | ||||
설린 | 3,408 (1.9%) | ||||
정하연 | 2,852 (1.6%) | ||||
김유연 | 2,788 (1.5%) | ||||
김채원 | 2,492 (1.4%) | ||||
윤서연 | 2,307 (1.3%) | ||||
김채연 | 1,816 (1.0%) | ||||
김수민 | 1,556 (0.9%) | ||||
박시온 | 1,467 (0.8%) | ||||
서아 | 1,360 (0.8%) | ||||
주빈 | 1,127 (0.6%) | ||||
서다현 | 708 (0.4%) | }}}}}}}}} | |||
<rowcolor=#fff> 총합 | 180,595 | ||||
<rowcolor=#b301fe> 합류 S | |||||
[[카에데(tripleS)| 카에데 ]] | [[박소현(tripleS)| 박소현 ]] | [[곽연지| 곽연지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 |
- 앞선 그래비티가 끝난 후, '리더의 선택'[12]을 통해 유닛에 참여할 1명의 S를 결정하였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Leader Pick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rowcolor=#b301fe> 합류 S | [[김나경| 김나경 ]] | }}}}}}}}} |
- 6월 17일 11시 ~ 6월 18일 8시에 유닛에 참여할 마지막 4명의[13] S를 결정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Day2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김유연 | 42,535 (13.1%) | ||||
니엔 | 40,262 (12.4%) | ||||
신위 | 36,996 (11.4%) | ||||
지연 | 36,642 (11.3%)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지우 | 31,901 (9.9%) | |||
정하연 | 29,833 (9.2%) | ||||
설린 | 29,111 (9.0%) | ||||
주빈 | 28,714 (8.9%) | ||||
김채연 | 13,288 (4.1%) | ||||
김채원 | 11,600 (3.6%) | ||||
김수민 | 7,352 (2.3%) | ||||
마유 | 5,923 (1.8%) | ||||
박시온 | 3,142 (1.0%) | ||||
서다현 | 2,585 (0.8%) | ||||
서아 | 2,170 (0.7%) | ||||
윤서연 | 1,622 (0.5%) | }}}}}}}}} | |||
<rowcolor=#fff> 총합 | 323,676 | ||||
<rowcolor=#b301fe> 합류 S | |||||
[[김유연| 김유연 ]] | [[니엔(tripleS)| 니엔 ]] | [[신위(tripleS)| 신위 ]] | [[지연(tripleS)| 지연 ]]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b301fe> 최종 합류 S | |||||
[[공유빈| 공유빈 ]] | [[린(tripleS)| 린 ]]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 [[김유연| 김유연 ]] | [[김나경| 김나경 ]] | [[카에데(tripleS)| 카에데 ]]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곽연지| 곽연지 ]] | [[니엔(tripleS)| 니엔 ]] | [[박소현(tripleS)| 박소현 ]] | [[신위(tripleS)| 신위 ]] | [[지연(tripleS)| 지연 ]] |
===# Grand Gravity : Japan Dimension #===
- 일본 활동을 위한 Japan Dimension[14]에 참여할 S를 결정하는 그래비티이다.
- 총 8인조로 이루어진 디멘션이 열리며, 해당 그래비티를 통해 생성된 디멘션은 약 1년간 유지된다.[15]
- 7월 18일 21시 30분에 MODHAUS Pick 2인이 공개되었다.
MODHAUS Pick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rowcolor=#b301fe> 합류 S | ||
[[마유(tripleS)| 마유 ]] | [[박시온(tripleS)| 박시온 ]] | }}}}}}}}} |
- 7월 20일 10시 ~ 8월 20일 21시 한 달의 기간동안 일본 OTT 특설 페이지 투표를 통해 디멘션에 참여할 두명의 S를 투표하였다.
Lemino Pick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rowcolor=#b301fe> 합류 S | ||
[[김유연| 김유연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 |
- 8월 26일 11시 ~ 8월 27일 8시, 디멘션에 참여할 두명의 S를 선발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Day 1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김수민 | 119,727 (25.1%) | ||
김채연 | 108,877 (22.8%)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에데 | 101,804 (21.3%) | |
서다현 | 27,668 (5.8%) | ||
김채원 | 19,497 (4.1%) | ||
윤서연 | 17,203 (3.6%) | ||
린 | 17,070 (3.6%) | ||
정하연 | 12,956 (2.7%) | ||
서아 | 10,202 (2.1%) | ||
주빈 | 7,334 (1.5%) | ||
설린 | 6,370 (1.3%) | ||
김나경 | 5,794 (1.2%) | ||
이지우 | 4,588 (1.0%) | ||
곽연지 | 3,944 (0.8%) | ||
박소현 | 3,443 (0.7%) | ||
공유빈 | 3,254 (0.7%) | ||
지연 | 2,508 (0.5%) | ||
니엔 | 1,909 (0.4%) | ||
신위 | 1,898 (0.4%) | ||
정혜린 | 1,836 (0.4%) | }}}}}}}}} | |
<rowcolor=#fff> 총합 | 477,882 | ||
<rowcolor=#b301fe> 합류 S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 [[김채연| 김채연 ]] | }}}}}}}}} |
- 8월 27일 11시 ~ 8월 28일 8시 마지막 2명의 S를 선발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Day 2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이지우 | 125,326 (25.5%) | ||
김채원 | 108,522 (22.1%)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아 | 90,038 (18.4%) | |
윤서연 | 77,810 (15.9%) | ||
카에데 | 21,351 (4.4%) | ||
린 | 18,758 (3.8%) | ||
주빈 | 18,695 (3.8%) | ||
정하연 | 6,702 (1.4%) | ||
설린 | 6,398 (1.3%) | ||
곽연지 | 5,214 (1.1%) | ||
김나경 | 3,639 (0.7%) | ||
서다현 | 2,542 (0.5%) | ||
공유빈 | 1,488 (0.3%) | ||
지연 | 1,282 (0.3%) | ||
박소현 | 823 (0.2%) | ||
정혜린 | 716 (0.1%) | ||
니엔 | 687 (0.1%) | ||
신위 | 547 (0.1%) | }}}}}}}}} | |
<rowcolor=#fff> 총합 | 490,538 | ||
<rowcolor=#b301fe> 합류 S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김채원(tripleS)| 김채원 ]]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b301fe> 최종 합류 S | |||||
[[마유(tripleS)| 마유 ]] | [[박시온(tripleS)| 박시온 ]] | [[김유연| 김유연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김채연| 김채연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 [[김채원(tripleS)| 김채원 ]] | }}}}}}}}} |
- Gravity 결과, 위 8명의 멤버들로 일본 디멘션이 만들어졌다.
===# Grand Gravity : ASSEMBLE25 Title Track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Time Table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날짜 / 시간 | 내용 |
01. 24. 11:00 ~ 01. 25. 09:00 | Day 1 (8강) (Song A vs Song B) | |
01. 25. 11:00 ~ 01. 26. 09:00 | Day 2 (8강) (Song C vs Song D) | |
01. 26. 11:00 ~ 01. 27. 09:00 | Day 3 (8강) (Song E vs Song F) | |
01. 27. 11:00 ~ 01. 28. 09:00 | Day 4 (8강) (Song G vs Song H) | |
01. 28. 11:00 ~ 01. 29. 09:00 | Day 5 (준결승) (Song A vs Song C) | |
01. 29. 11:00 ~ 01. 30. 09:00 | Day 6 (준결승) (Song E vs Song G) | |
01. 30. 11:00 ~ 01. 31. 09:00 | Day 7 (결승) (Song A vs Song G) | |
01. 31. 11:00 ~ 02. 01. 09:00 | Day 8 (ASSEMBLE25 Track) | }}}}}}}}} |
Grand Gravity 미리듣기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y 1 | |
Day 2 | ||
Day 3 | ||
Day 4 | ||
Day 5 | ||
Day 6 | ||
Day 7 | ||
Day 8 | ||
- 토너먼트 형식으로 8개의 곡 중 ASSEMBLE25의 타이틀 곡을 정하는 그래비티가 2025년 1월 24일 11시 ~ 1월 31일 9시에 진행된다.
- 2025년 1월 31일 11시 ~ 2월 1일 9시, 타이틀곡이 되지 못한 곡 중 ASSEMBLE25에 수록될 한 곡을 정하는 그래비티가 진행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 Grand Gravity Result ||
}}}}}}}}} ||
}}}}}}}}} ||
그래비티 결과, Stranger Things가 ASSEMBLE25의 타이틀곡이 되었으며, Diablo가 수록되었다.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타이틀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8강 | |
Stranger Things 60.1% (40,100/66,730) | Worldwide Women 39.9% (26,630/66,730) | |
Unlimiter 57.3% (17,284/30,116) | iRony iCon 42.6% (12,832/30,116) | |
Lit Pop 50.5% (21,800/43,161) | Girls BE 49.5% (21,361/43,161) | |
Diablo 52.5% (26,447/50,397) | Light Up 47.5% (23,950/50,397) | |
<rowcolor=#33ecfd> 준결승 | ||
Stranger Things 63.5% (33,604/52,896) | Unlimiter 36.5% (19,292/52,896) | |
Lit Pop 37.8% (20,043/52,966) | Diablo 62.2% (32,923/52,966) | |
<rowcolor=#33ecfd> 결승 | ||
Stranger Things 52.0% (111,784/214,958) | Diablo 48.0% (103,174/214,958)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수록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Diablo | 22,692 (31.5%) | |
Lit Pop | 20,436 (28.4%) | |
Worldwide Women | 11,227 (15.6%) | |
Light Up | 6,792 (9.4%) | |
Girls BE | 5,993 (8.3%) | |
Unlimiter | 3,847 (5.3%) | |
iRony iCon | 1,017 (1.4%) | |
<rowcolor=#fff> 총합 | 72,004 |
후보곡 발매 현황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후보곡 | 발매 제목 | 수록 앨범 |
Stranger Things | 발매 예정 | ASSEMBLE25 | |
Worldwide Women | 미발매 | ||
Unlimiter | 미발매 | ||
iRony iCon | 미발매 | ||
Lit Pop | 미발매 | ||
Girls BE | 미발매 | ||
Diablo | 발매 예정 | ASSEMBLE25 | |
Light Up | 미발매 |
3. Event Gravity
===# tripleS 10인조 앨범 타이틀곡 정하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Time Table ||
}}}}}}
{{{#!wiki style="min-height: 50px" {{{#!folding [ Time Table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000><rowcolor=#ffdd00> 날짜 / 시간 || 내용 ||
12. 01. 18:00
~
12. 02. 16:008강 Day 1
(Song A vs Song B)12. 02. 18:00
~
12. 03. 16:008강 Day 2
(Song C vs Song D)12. 03. 18:00
~
12. 04. 16:008강 Day 3
(Song E vs Song F)12. 04. 18:00
~
12. 05. 16:008강 Day 4
(Song G vs Song H)12. 05. 18:00
~
12. 06. 16:00준결승 첫 번째
(Song B vs Song C)12. 06. 18:00
~
12. 07. 16:00준결승 두 번째
(Song F vs Song G)12. 07. 18:00
~
12. 08. 16:00결승
(Song B vs Song F)
Event Gravity 미리듣기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2022년 12월 1일 ~ 12월 8일, 토너먼트 형식으로 8개의 곡 중 타이틀 곡을 정하였다.
- 매일[16] 두 곡의 선택지가 주어지기 때문에 총 7일에 걸쳐서 진행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결과에 따라 Song B가 2023년 완전체 앨범 ASSEMBLE의 타이틀곡이 되었다.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d00> 8강 | |
Song A 47.4% (3,219/6,793) | Song B 52.6% (3,574/6,793) | |
Song C 56.5% (2,898/5,128) | Song D 43.5% (2,230/5,128) | |
Song E 39.5% (2,034/5,151) | Song F 60.5% (3,117/5,151) | |
Song G 51.5% (4,597/8,920) | Song H 48.5% (4,323/8,920) | |
<rowcolor=#ffdd00> 준결승 | ||
Song B 52.4% (3,173/6,057) | Song C 48.5% (2,884/6,057) | |
Song F 53.1% (3,859/7,264) | Song G 46.9% (3,405/7,264) | |
<rowcolor=#ffdd00> 결승 | ||
Song B 50.9% (9,178/18,027) | Song F 49.1% (8,849/18,027) |
후보곡 발매 현황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d00> 후보곡 | 발매 제목 | 수록 앨범 |
Song A | Rhodanthe | ⟡ | |
Song B | Rising | ASSEMBLE | |
Song C | New Look | ||
Song D | 미발매 | ||
Song E | Beam | ASSEMBLE | |
Song F | Invincible | ⟡ | |
Song G | Addiction | K (ARTMS 희진) | |
Song H | 미발매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Time Table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Time Table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Event Gravity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후보 | 의미 | Pick |
AxiS | tripleS를 지켜주는 중심축 | 이지우, 카에데 | |
Byte | 세 개의 S, 세 개의 Byte | 김유연, 코토네, 곽연지 | |
CosmoSSS | 더 넓어질 tripleS의 우주 | 김나경, 서다현 | |
everS | 영원히 S들과 함께할 우리 | 윤서연, 공유빈 | |
Link | 절대 끊기지 않을 우리들의 연결고리 | 정혜린, 김수민 | |
SwiSSe | 시작부터 함께 만든 우리들만의 Meme | 김채연, 니엔 | |
WAV | SSS를 연결하면 물결이 되듯, 팬들의 파도로 더 큰 세상으로 향해 | 정병기 | }}}}}}}}} |
- 팬덤명을 정하는 그래비티로, 2023년 4월 8일 18시 ~ 10일 18시에 진행되었다.
- 디스코드를 통해 공모받은 팬덤명 중 tripleS 멤버들이 6개를 선택하고, 정병기 대표가 1개를 제안[17]해 총 7개가 그래비티 후보로 올라왔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후보 | 득표수 |
WAV | 43,962 (43.1%) | |
everS | 25,631 (25.2%) | |
SwiSSe | 17,358 (17.0%) | |
Byte | 5,626 (5.5%) | |
CosmoSSS | 4,141 (4.1%) | |
AxiS | 3,214 (3.2%) | |
Link | 1,977 (1.9%) | |
<rowcolor=#00ff00> 총합 | 101,909 | }}}}}}}}} |
투표 결과 WAV가 팬덤명으로 확정되었다.[18]
===# WAV가 꾸미는 LOVElution 쇼케이스 #===
- LOVElution의 쇼케이스에서 선보일 무대 두 개를 정하는 그래비티로, 2023년 8월 1일 20시 ~ 8월 4일 20시까지 진행되었다.
- 후보는 LOVElution ver. 무대 6개[19]와 멤버 두 명이 꾸미는 Special Stage 4개[20]가 있다.
- 그래비티로 결정된 두 개의 무대는 tripleS 공식 유튜브에도 영상이 업로드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후보 | 득표수 |
Atmosphere | 12,808 (23.2%) | |
서연 + 소현 | 9,219 (16.7%) | |
니엔 + 신위 | 9,050 (16.4%) | |
New Look | 7,627 (13.8%) | |
혜린 + 유빈 | 6,026 (10.9%) | |
Dimension | 3,558 (6.4%) | |
카에데 + 다현 | 3,009 (5.4%) | |
Colorful | 1,785 (3.2%) | |
Rolex | 1,434 (2.6%) | |
Touch+ | 721 (1.3%) | |
<rowcolor=#00ff00> 총합 | 55,237 | }}}}}}}}} |
<rowcolor=#00ff00> Atmosphere Full ver. | 서연 + 소현 Into Danger |
===# tripleS 16인 버전 안무 영상 노래 결정하기 #===
- 16인 버전 안무 영상을 찍을 곡을 정하는 그래비티로, 2023년 9월 4일 20시 ~ 9월 6일 20시까지 진행되었다.
- 후보는 Generation, Rolex, Rising, Colorful, New Look, Cherry Talk, Cherry Gene, Girls' Capitalism, Speed Love이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후보 | 득표수 |
New Look | 17,627 (30.6%) | |
Rising | 14,814 (25.7%) | |
Speed Love | 14,681 (25.4%) | |
Generation | 3,213 (5.6%) | |
Girls' Capitalism | 3,104 (5.4%) | |
Colorful | 2,750 (4.8%) | |
Cherry Gene | 707 (1.2%) | |
Rolex | 612 (1.1%) | |
Cherry Talk | 185 (0.3%) | |
<rowcolor=#00ff00> 총합 | 57,693 | }}}}}}}}} |
New Look이 최종 우승하여 16인 버전 안무 영상로 공개되었다. 이후 2023 MAMA Awards Best New Female Artist를 통해 Rising 16인 버전 안무 영상이 공개되었다.
Event Gravity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Time Table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날짜 / 시간 | 내용 |
09. 12. 20:00 ~ 09. 13. 18:00 | 준결승 첫 번째 (School Sqaud vs Prism) | |
09. 13. 20:00 ~ 09. 14. 18:00 | 준결승 두 번째 (Engineered vs Dreamy) | |
09. 14. 20:00 ~ 09. 15. 18:00 | 결승 (School Squad vs Engineered)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ff00> 준결승 | |
School Sqaud 56.0% (7,440/13,292) | Prism 44.0% (5,852/13,292) | |
Engineered 57.6% (9,122/15,842) | Dreamy 42.4% (6,720/15,842) | |
<rowcolor=#00ff00> 결승 | ||
School Squad 39.7% (7,020/17,673) | Engineered 60.3% (10,653/17,673) | }}}}}}}}} |
Engineered 컨셉이 최종 우승하여 개인 컨셉 포토로 공개되었다. 이후 단체 컨셉 포토를 통해 School Squad 컨셉이 일부 공개되었다.
===# 16인 리얼리티 기획 정하기 #===
Event Gravity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7477> 후보 | 설명 |
소녀 빅매치 | tripleS 16인 VS 특별한 재능을 가진 여고생들의 대결. 걸어가면서 화장하는 여고생, 오락실 농구 게임 달인 여고생 등 대한민국에는 특별한 재능을 가진 K-여고생들이 많다. 어떤 대결이 주어지더라도 tripleS 멤버들이 힘을 합쳐 능력의 K-여고생들을 이겨야하는 리얼 배틀 콘텐츠. | |
CLASS UP | tripleS 16인의 멤버들이 트리플 여고에 입학한다. 트리플 여고에는 단 두개만의 클래스가 존재한다는데⋯ 먹는 것부터 자는 곳까지 최고급으로 세팅된 S클래스와, 반면에 아무 것도 없는 빈곤한 C클래스. S클래스로 가기 위해 펼치는 트리플에스의 치열하고 유쾌한 게임 쇼 | |
Strong Girl : 배지 전쟁 | tripleS 멤버들이 걸스카우트 대원이 되어 1박 2일 생존 서바이벌에 참가! 체력 단련부터 담력 훈련까지 다양한 미션이 준비되어 있는데⋯ 미션을 통과할 때마다 배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은 배지를 모은 멤버에게는 큰 상이 주어진다. 배지를 손에 넣기 위한 200% 매운맛 서바이벌 | }}}}}}}}} |
- tripleS의 16인 완전체 리얼리티의 컨셉을 정하는 Gravity이다.
- 2023년 10월 18일 18시 ~ 10월 20일 18시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Strong Girl : 배지 전쟁 | 22,025 (55.2%) | |
CLASS UP | 13,460 (33.7%) | |
소녀 빅매치 | 4,451 (11.1%) | |
<rowcolor=#ff7477> 총합 | 39,936 | }}}}}}}}} |
Strong Girl : 배지 전쟁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얼굴이 재밌어요,,근데 예능 달란트도 받아버린 배지에 눈 돌아간 소녀들 | 삽질하다 진짜 싸운 아이돌 |
<rowcolor=#ff7477> 네가 ‘중도 포기할래’ 한 마디 했잖아? 그럼 이딴 결말 안 나왔어 | 서바이벌에 반전이 빠지면 안 되지 | |
}}}}}}}}} |
Event Gravity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의미 | Pick |
Aria | 이탈리아어로 노래/멜로디를 의미 | 카에데 | |
Camellia | 사랑과 헌신이라는 꽃말을 가진 겨울꽃 | 김채연, 카에데 | |
Cherish memory | 서다현 | ||
FLORA | 다섯 멤버의 보컬 능력을 아름다운 꽃다발과 같이 선보인다는 의미 | 서다현 | |
FlowniceS | 다채로운 매력과 목소리를 가진 5명의 멤버가 팬들을 위한 선물 같은 노래를 부른다는 의미 | 이지우 | |
Snow Angel | 순수함과 우아함을 표현 | 김채연 | |
SolS | 5명이 영혼을 담아 노래한다는 의미 | 니엔 | |
Sound of S | 다섯 S의 보컬 조화 | 니엔 | |
Sweeter | 부드럽고 달콤한 목소리로 노래하는 소녀들 | 이지우 | }}}}}}}}} |
- 발라드 디멘션의 이름을 정하는 Gravity이다.
- 2023년 11월 28일 11시 ~ 11월 30일 11시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Aria | 10,261 (26.7%) | |
Snow Angel | 6,035 (15.7%) | |
Sound of S | 5,360 (14.0%) | |
Cherish memory | 4,188 (10.9%) | |
Camellia | 3,700 (9.6%) | |
FLORA | 3,364 (8.8%) | |
SolS | 2,482 (6.5%) | |
Sweeter | 1,537 (4.0%) | |
FlowniceS | 1,438 (3.7%) | |
<rowcolor=#ff7477> 총합 | 38,365 | }}}}}}}}} |
투표 결과 Aria가 발라드 디멘션의 이름으로 결정되었다.
===# 2023 tripleS Awards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수상 부문 및 Time Table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날짜 / 시간 | 수상 부문 | 설명 |
01. 04. 11:00 ~ 01. 05. 08:00 | 예능상 | 2023년 tripleS 예능을 가장 빛낸 S | |
01. 05. 11:00 ~ 01. 06. 08:00 | 발전상 | 2023년 한 해동안 가장 발전한 S | |
01. 06. 11:00 ~ 01. 07. 08:00 | 소통상 | 2023년 소통왕 S | |
01. 07. 11:00 ~ 01. 08. 08:00 | 베스트 커플상 | 2023년을 빛낸 tripleS 최고의 단짝 | }}}}}}}}} |
수상 부문 별 후보 | ||||
{{{#!wiki style="min-height: 2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예능상 | 발전상 | 소통상 | 베스트 커플상 |
[[윤서연| 윤서연 ]] | [[윤서연| 윤서연 ]] | [[김채연| 김채연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김채연|김채연 ]] | |
[[김유연| 김유연 ]] | [[정혜린(tripleS)| 정혜린 ]] | [[김유연| 김유연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 [[곽연지|곽연지 ]] | |
[[공유빈| 공유빈 ]] | [[이지우(tripleS)| 이지우 ]] | [[서다현| 서다현 ]] | [[김나경| 김나경 ]] & [[공유빈|공유빈 ]] | |
[[카에데(tripleS)| 카에데 ]] | [[김수민(tripleS)| 김수민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카에데(tripleS)| 카에데 ]] & [[서다현|서다현 ]]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곽연지| 곽연지 ]] | [[니엔(tripleS)| 니엔 ]] | [[코토네(tripleS)| 코토네 ]] & [[곽연지|곽연지 ]] | |
[[신위(tripleS)| 신위 ]] | [[마유(tripleS)| 마유 ]] | [[박소현(tripleS)| 박소현 ]] | [[니엔(tripleS)| 니엔 ]] & [[신위(tripleS)|신위 ]] | }}}}}}}}} |
- 2023년 한 해동안 tripleS 컨텐츠에서 가장 활약한 멤버나 커플을 총 4개의 수상 부문에서 선정하는 그래비티로, 2024년 1월 4일 오전 11시 ~ 8일 오전 8시에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예능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공유빈 | 8,351 (22.3%) | ||
윤서연 | 8,226 (22.0%) | ||
코토네 | 7,477 (20.0%) | ||
신위 | 5,750 (15.4%) | ||
김유연 | 5,420 (14.5%) | ||
카에데 | 2,168 (5.8%) | ||
<rowcolor=#ff7477> 총합 | 37,392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발전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
윤서연 | 16,466 (40.1%) | ||
이지우 | 13,742 (33.5%) | ||
마유 | 3,792 (9.2%) | ||
김수민 | 2,685 (6.5%) | ||
정혜린 | 2,254 (5.5%) | ||
곽연지 | 2,114 (5.1%) | ||
<rowcolor=#ff7477> 총합 | 41,053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소통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
김유연 | 22,187 (48.8%) | ||
니엔 | 7,852 (17.3%) | ||
박소현 | 5,898 (13.0%) | ||
김채연 | 3,844 (8.5%) | ||
서다현 | 2,887 (6.3%) | ||
코토네 | 2,800 (6.2%) | ||
<rowcolor=#ff7477> 총합 | 45,468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베스트 커플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
김나경 & 공유빈 | 15,463 (32.6%) | ||
코토네 & 곽연지 | 8,378 (17.7%) | ||
카에데 & 서다현 | 7,247 (15.3%) | ||
이지우 & 김채연 | 6,757 (14.2%) | ||
김수민 & 곽연지 | 6,222 (13.1%) | ||
니엔 & 신위 | 3,375 (7.1%) | ||
<rowcolor=#ff7477> 총합 | 47,442 | }}}}}}}}} | }}}}}}}}} |
- 각 부문의 수상자에게는 수상 부문에 따라 상품이 주어졌다.[21]
시상식 및 상품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시상식 | 예능상 호캉스 |
<rowcolor=#ff7477> 발전상 힐링 SIGNAL 촬영권 | 소통상 SIGNAL LIVE 특권 | |
<rowcolor=#ff7477> 베스트 커플상 데이트 SIGNAL 촬영권 | ||
}}}}}}}}} |
Event Gravity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 | | |
lightS | heartS | WAV Bong | The Light Stick of All Possibilities | COMO Bong | }}}}}}}}} |
- 디스코드를 통해 공모받은 응원봉 디자인 아이디어 중 5개를 뽑아 2024년 2월 6일 오전 11시 ~ 8일 오전 11시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7477> 후보 | 득표율 |
heartS | 66,171 (41.4%) | |
lightS | 54,320 (34.0%) | |
WAV Bong | 25,802 (16.1%) | |
COMO Bong | 10,821 (6.8%) | |
The Light Stick of All Possibilities | 2,791 (1.7%) | |
<rowcolor=#fff> 총합 | 159,905 | }}}}}}}}} |
===# Stage Name #===
S23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7477> 한국어 | 영어 | Pick |
정해린 | Jeong HaeRin | 본명 | |
정수아 | Jeong SooAh | 부모님 | |
서아 | SeoAh | 작명소 | |
클레어 정 | Clare Jeong | 정병기 | |
정유린 | Jeong YuRin | 본인 | }}}}}}}}} |
S24 후보 목록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7477> 한국어 | 영어 | Pick |
지서연 | Ji SuhYeon | 본명 | |
유하 | YooHa | 작명소 | |
지연 | JiYeon | 본인 | |
도준 | DoJoon | 정병기 | |
연서 | YeonSuh | 부모님 | }}}}}}}}} |
- 본명이 정해린인 S23과 본명이 지서연인 S24가 각각 정혜린, 윤서연과 이름이 비슷하여 혼동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명을 짓는 Gravity를 진행한다.
- S23의 예명 Gravity는 2024년 4월 5일 오전 11시 ~ 4월 6일 오전 8시, S24의 예명 Gravity는 4월 6일 오전 11시 ~ 4월 7일 오전 8시로 각각 21시간씩 진행되었다.
- 이름의 후보로는 본명, 본인이 지은 이름,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름, 정병기 대표가 지은 이름, 작명소에서 지어준 이름으로 총 5개이며, Gravity 기간 중에는 각 이름들이 누가 지어준 이름인지 알 수 없는 블라인드 투표로 진행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S23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SeoAh | 19,481 (37.1%) | |
Jeong HaeRin | 15,390 (29.3%) | |
Jeong SooAh | 8,030 (15.3%) | |
Clare Jeong | 5,440 (10.4%) | |
Jeong YuRin | 4,153 (7.9%) | |
<rowcolor=#fff> 총합 | 52,49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S24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JiYeon | 30,900 (47.4%) | |
YeonSuh | 22,336 (34.3%) | |
Ji SuhYeon | 6,338 (9.7%) | |
YooHa | 4,529 (6.9%) | |
DoJoon | 1,079 (1.7%) | |
<rowcolor=#fff> 총합 | 65,182 |
그래비티 결과 S23의 활동명은 서아로, S24의 활동명은 지연으로 결정되었다.
===# tripleS ASSEMBLE24 Performance Video #===
- 24인 완전체 무대로 진행할 곡을 결정하는 그래비티로, 2024년 5월 16일 오전 8시 ~ 18일 오전 8시에 진행된다.
- 후보는 ASSEMBLE24 앨범 수록곡 중 인트로 곡인 S와 이미 무대가 존재하는 Girls Never Die 및 Non Scale을 제외한 가시권 (Heart Raider), Midnight Flower, White Soul Sneakers, 치유 (Chiyu), 24, 이면의 이면 (Beyond the Beyond), Dimension으로 총 7곡이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24 | 51,146 (48.3%) | |
Midnight Flower | 18,130 (17.1%) | |
White Soul Sneakers | 10,672 (10.1%) | |
Heart Raider | 10,025 (9.5%) | |
Chiyu | 6,491 (6.1%) | |
Beyond the Beyond | 4,887 (4.6%) | |
Dimension | 4,539 (4.3%) | |
<rowcolor=#fff> 총합 | 105,890 |
===# tripleS Japan Dimension Gravity Rule #===
- 일본 활동을 위한 Japan Dimension을 만들기 위한 Gravity가 열리기 전, 해당 그래비티 기간 동안 S들이 개인 의견을 표명하는 것에 대해 찬반을 결정하는 그래비티로, 2024년 7월 13일 오전 11시 ~ 14일 오전 8시에 진행되었다.
이걸 왜 하지?의견표명이라는 명분을 앞세운 꼬모 수급 그래비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2> Event Gravity Result ||
Agree 68.5% (16,222/23,672) | Disagree 31.5% (7,450/23,672) |
===# tripleS ∞! Leader Gravity #===
- tripleS의 일본 유닛인 ∞!의 리더를 뽑는 그래비티로, 2024년 9월 24일 오전 11시 ~ 26일 오전 11시에 진행되었다.
- 그래비티로 뽑힌 유닛의 리더는, 데뷔 앨범에 1000개 한정으로 들어있는 Premier Class Objekt가 제작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마유 | 104,796 (63.2%) | |
코토네 | 36,115 (21.8%) | |
김유연 | 11,179 (6.7%) | |
이지우 | 4,321 (2.6%) | |
김채연 | 3,901 (2.4%) | |
김수민 | 2,207 (1.3%) | |
김채원 | 1,708 (1.0%) | |
박시온 | 1,476 (0.9%) | |
<rowcolor=#fff> 총합 | 165,703 |
===# AAA 2주년 기념! 'Rolex' Performance Video Gravity #===
- Acid Angel from Asia 데뷔 2주년을 기념하여 유닛 앨범의 수록곡 'Rolex'의 퍼포먼스 비디오를 찍을 S를 선정하는 그래비티로, 2024년 10월 28일 18시 ~ 30일 18시에 진행되었다.
- 기존 AAA였던 S들[22]은 후보에서 제외되며, 이들을 제외한 20명의 S중 그래비티를 통해 선정된 4명의 S들이 퍼포먼스 비디오를 찍는다.
- 멤버들이 fromm에서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후보가 된 S들도 Gravity가 개최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설린 | 48,625 (21.9%) | ||
정하연 | 44,864 (20.2%) | ||
윤서연 | 27,340 (12.3%) | ||
주빈 | 26,422 (11.9%)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아 | 22,833 (10.3%) | |
서다현 | 18,776 (8.5%) | ||
김채원 | 6,345 (2.9%) | ||
김수민 | 3,167 (1.4%) | ||
박소현 | 3,093 (1.4%) | ||
지연 | 2,474 (1.1%) | ||
신위 | 2,433 (1.1%) | ||
카에데 | 2,273 (1.0%) | ||
박시온 | 2,254 (1.0%) | ||
이지우 | 2,173 (1.0%) | ||
김채연 | 1,837 (0.8%) | ||
코토네 | 1,714 (0.8%) | ||
곽연지 | 1,625 (0.7%) | ||
린 | 1,470 (0.7%) | ||
니엔 | 1,431 (0.6%) | ||
마유 | 1,003 (0.5%) | }}}}}}}}} | |
<rowcolor=#fff> 총합 | 222,152 | }}}}}}}}} |
- 선정된 S들을 포함한 상위 6인은 모두 Visionary Vision과 ∞!에 포함되지 않은 S들이다.
===# 1theK GLOBAL ICON 기념 OT24 Performance Video #===
Event Gravity 후보 | ||||
{{{#!wiki style="min-height: 2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A그룹 | B그룹 | C그룹 | D그룹 |
Generation | Hit the Floor | Girls' Capitalism | Cherry Talk | |
내적 댄스 (Inner Dance) | Door | New Look | Touch | |
Rolex | Just Do It | Invincible | アンタイトル | |
Rhodanthe | 가시권 (Heart Raider) | Black Soul Dress | Moto Princess | |
찰나 (Charla) | Heavy Metal Wings | Midnight Flower | Dimension | |
Beam | 복합성 (Complexity) | 치유 (Chiyu) | White Soul Sneakers | |
이면의 이면 (Beyond the Beyond) | The Baddest | 미열 37.5 | Seoul Sonyo Sound | |
(숨겨 봐봐) Hide & Seek | Cry Baby | Speed Love | Deja-Vu | |
Oui | 연애소설 (Love Soseol) | Éclair | Choom | |
Atmosphere | 12 Rings | Vision | Bionic Power | |
<rowcolor=#33ecfd> 결승 | ||||
이면의 이면 (Beyond the Beyond) | Door | Black Soul Dress | Moto Princess |
- 멜론 뮤직 어워드 2024 1theK GLOBAL ICON 수상을 기념하여 촬영할 24인조 퍼포먼스 비디오의 곡을 정하는 그래비티로, 2024년 12월 11일 오전 11시 ~ 16일 오후 12시에 진행되었다.
- 기존 tripleS의 곡의 대부분을[23] 10개씩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4일 간 그룹별 우승 곡을 정하고, 4개의 곡으로 결승을 거쳐 최종 한 곡이 선정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A그룹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Beyond the Beyond | 23,011 (28.2%) | ||
Charla | 17,910 (21.9%) | ||
Generation | 17,902 (21.9%) | ||
Rhodanthe | 8,474 (10.4%) | ||
Atmosphere | 4,985 (6.1%) | ||
Inner Dance | 3,961 (4.9%) | ||
Beam | 2,348 (2.9%) | ||
Hide & Seek | 1,782 (2.2%) | ||
Oui | 782 (1.0%) | ||
Rolex | 492 (0.6%) | ||
<rowcolor=#fff> 총합 | 81,647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B그룹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Door | 20,239 (26.2%) | ||
Heart Raider | 13,978 (18.1%) | ||
Love Soseol | 9,035 (11.7%) | ||
Just Do IT | 7,427 (9.6%) | ||
Heavy Metal Wings | 6,931 (9.0%) | ||
Cry Baby | 6,904 (8.9%) | ||
Complexity | 4,664 (6.0%) | ||
Hit The Floor | 3,673 (4.8%) | ||
The Baddest | 2,747 (3.6%) | ||
12 Rings | 1,599 (2.1%) | ||
<rowcolor=#fff> 총합 | 77,197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C그룹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Black Soul Dress | 16,081 (26.1%) | ||
Midnight Flower | 14,465 (23.5%) | ||
Girls' Capitalism | 7,310 (11.9%) | ||
Éclair | 6,311 (10.3%) | ||
Chiyu | 5,578 (9.1%) | ||
Speed Love | 3,793 (6.2%) | ||
Vision | 2,830 (4.6%) | ||
New Look | 1,893 (3.1%) | ||
Invincible | 1,725 (2.8%) | ||
미열 37.5 | 1,575 (2.6%) | ||
<rowcolor=#fff> 총합 | 61,561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D그룹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Moto Princess | 13,878 (25.9%) | ||
Bionic Power | 12,379 (23.1%) | ||
Dimension | 6,349 (11.8%) | ||
White Soul Sneakers | 4,790 (8.9%) | ||
Seoul Sonyo Sound | 3,781 (7.0%) | ||
Cherry Talk | 3,212 (6.0%) | ||
Untitled | 2,611 (4.9%) | ||
Choom | 2,576 (4.8%) | ||
Deja-vu | 2,523 (4.7%) | ||
Touch | 1,580 (2.9%) | ||
<rowcolor=#fff> 총합 | 53,679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결승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Black Soul Dress | 57,871 (43.0%) | ||
Beyond the Beyond | 35,784 (26.6%) | ||
Door | 22,015 (16.3%) | ||
Moto Princess | 19,030 (14.1%) | ||
<rowcolor=#fff> 총합 | 134,700 | }}}}}}}}} |
===# 2024 tripleS Awards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수상 부문 및 Time Table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날짜 / 시간 | 수상 부문 | 설명 | 상품 |
01. 06. 11:00 ~ 01. 07. 09:00 | Social Sonyo | 올 한 해 SNS에 일상을 열심히 공유한 S | 최신 스마트폰 | |
01. 07. 11:00 ~ 01. 08. 09:00 | Most Improved S | 2024년 눈부시게 성장한 S | 프리미엄 스파 & 힐링 패키지 | |
01. 08. 11:00 ~ 01. 09. 09:00 | SIGNAL of the Year | 무인도에 챙겨갈 단 한 편의 SIGNAL | 추후 Gravity로 정해지는 SIGNAL 촬영권 | |
01. 09. 11:00 ~ 01. 10. 09:00 | Best Couple | 2024년 떼려야 뗼 수 없는 커플 | 1일 Couple Contents | |
01. 10. 11:00 ~ 01. 11. 09:00 | ♥ WAV | WAV가 전하는 선물 | 호캉스 |
}}}}}}}}} ||
- 2024년 한 해 동안 가장 활약한 멤버들을 뽑는 그래비티로, 2025년 1월 6일 오전 11시 ~ 11일 오전 9시에 진행된다.
- 각 부문의 수상자에게는 수상 부문에 따라 상품이 주어지며, 2023 tripleS Awards와는 다르게 상품이 그래비티 이전에 공개되었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Social Sonyo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코토네 | 24,309 (40.0%)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윤서연 | 5,418 (8.9%) | |
이지우 | 3,596 (5.9%) | ||
김유연 | 3,335 (5.5%) | ||
박소현 | 3,051 (5.0%) | ||
주빈 | 2,671 (4.4%) | ||
김채연 | 2,229 (3.7%) | ||
김나경 | 1,990 (3.3%) | ||
신위 | 1,383 (2.3%) | ||
정하연 | 1,279 (2.1%) | ||
김채원 | 1,277 (2.1%) | ||
니엔 | 1,267 (2.1%) | ||
지연 | 1,113 (1.8%) | ||
곽연지 | 1,100 (1.8%) | ||
김수민 | 1,047 (1.7%) | ||
박시온 | 927 (1.5%) | ||
공유빈 | 859 (1.4%) | ||
서다현 | 845 (1.4%) | ||
정하연 | 670 (1.1%) | ||
설린 | 634 (1.0%) | ||
마유 | 610 (1.0%) | ||
카에데 | 504 (0.8%) | ||
린 | 407 (0.7%) | ||
서아 | 302 (0.5%) |
<rowcolor=#fff> 총합 | 60,823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Most Improved 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곽연지 | 47,144 (40.4%) | ||
설린 | 39,492 (33.8%) | ||
정혜린 | 8,334 (7.1%) | ||
정하연 | 4,493 (3.8%) | ||
김수민 | 3,510 (3.0%) | ||
린 | 3,211 (2.8%) | ||
박시온 | 3,043 (2.6%) | ||
김채원 | 3,007 (2.6%) | ||
주빈 | 2,591 (2.2%) | ||
서아 | 1,913 (1.6%) | ||
<rowcolor=#fff> 총합 | 116,738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SIGNAL of the Year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241203 | 8,005 (19.6%) | ||
240723 | 7,681 (18.8%) | ||
240819 | 3,762 (9.2%) | ||
240726 | 3,405 (8.3%) | ||
240719 | 3,391 (8.3%) | ||
240525 | 3,226 (7.9%) | ||
240223 | 2,428 (5.9%) | ||
240905 | 2,131 (5.2%) | ||
240417 | 2,070 (5.1%) | ||
240709 | 1,910 (4.7%) | ||
240731 | 1,529 (3.7%) | ||
240716 | 1,400 (3.4%) | ||
<rowcolor=#fff> 총합 | 40,938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Best Couple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박소현 & 신위 | 89,092 (44.7%) | ||
윤서연 & 김유연 | 66,457 (33.4%) | ||
이지우 & 공유빈 | 21,050 (10.6%) | ||
김나경 & 린 | 4,267 (2.1%) | ||
김유연 & 마유 | 3,303 (1.7%) | ||
코토네 & 지연 | 3,276 (1.6%) | ||
니엔 & 신위 | 3,060 (1.5%) | ||
윤서연 & 김채연 | 2,778 (1.4%) | ||
카에데 & 코토네 | 2,733 (1.4%) | ||
박소현 & 서아 | 1,709 (0.9%) | ||
서다현 & 설린 | 1,365 (0.7%) | ||
<rowcolor=#fff> 총합 | 199,090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 WA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김유연 | 32,200 (20.3%)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나경 | 31,282 (19.7%) | |
박소현 | 23,678 (14.9%) | ||
윤서연 | 8,863 (5.6%) | ||
설린 | 7,114 (4.5%) | ||
공유빈 | 4,857 (3.1%) | ||
지연 | 4,255 (2.7%) | ||
김채연 | 3,998 (2.5%) | ||
정혜린 | 3,849 (2.4%) | ||
이지우 | 3,640 (2.3%) | ||
김수민 | 3,490 (2.2%) | ||
박시온 | 3,147 (2.0%) | ||
니엔 | 2,979 (1.9%) | ||
카에데 | 2,868 (1.8%) | ||
김채원 | 2,800 (1.8%) | ||
주빈 | 2,693 (1.7%) | ||
서다현 | 2,591 (1.6%) | ||
코토네 | 2,567 (1.6%) | ||
정하연 | 2,472 (1.6%) | ||
마유 | 2,127 (1.3%) | ||
서아 | 2,078 (1.3%) | ||
신위 | 1,946 (1.2%) | ||
린 | 1,813 (1.1%) | ||
곽연지 | 1,220 (0.8%) |
<rowcolor=#fff> 총합 | 158,527 | }}}}}}}}} |
시상식 및 상품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3ecfd> 시상식 | Social Sonyo 최신 스마트폰 |
<rowcolor=#33ecfd> Most Improved S 프리미엄 스파 & 힐링 패키지 | SIGNAL of the Year 추후 Gravity로 정해지는 SIGNAL 촬영권 | |
<rowcolor=#33ecfd> Best Couple 1일 Couple Contents | ♥ WAV 호캉스 | |
}}}}}}}}} |
3.1. ASSEMBLE25 Leader Event Gravity
- ASSEMBLE25 활동 기간 동안 리더를 할 멤버를 뽑는 그래비티로, 2025년 2월 12일 오전 11시 ~ 14일 오전 11시에 진행되었다.
- 선정된 멤버는 타이틀곡 뮤비의 썸네일로 나오고, 앨범에 랜덤으로 들어있는 PCO 1000장이 제작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0> Event Gravity Result ||
}}}}}}}}} ||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후보 | 득표율 | |
윤서연 | 39,481 (40.9%) | ||
{{{#!wiki style="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나경 | 17,275 (17.9%) | |
김유연 | 8,155 (8.5%) | ||
박소현 | 5,579 (5.8%) | ||
서다현 | 5,413 (5.6%) | ||
김채연 | 4,899 (5.1%) | ||
코토네 | 2,177 (2.3%) | ||
이지우 | 1,754 (1.8%) | ||
지연 | 1,719 (1.8%) | ||
서아 | 1,676 (1.7%) | ||
공유빈 | 1,425 (1.5%) | ||
카에데 | 862 (0.9%) | ||
신위 | 784 (0.8%) | ||
니엔 | 698 (0.7%) | ||
박시온 | 623 (0.6%) | ||
김채원 | 600 (0.6%) | ||
김수민 | 585 (0.6%) | ||
정하연 | 510 (0.5%) | ||
정혜린 | 438 (0.5%) | ||
린 | 389 (0.4%) | ||
주빈 | 364 (0.4%) | ||
설린 | 354 (0.4%) | ||
곽연지 | 349 (0.4%) | ||
마유 | 327 (0.3%) |
<rowcolor=#fff> 총합 | 96,436 |
[1] Acid Angel from Asia와 +(KR)ystal Eyes[2] 22시부터 다음날 20시까지 투표가 진행되며, 투표 종료 후 21시에 결과가 공개된다.[3] 즉, 선택지는 팬들이 아닌 소속사 측에 의해 정해졌다.[4] EVOLution과 LOVElution[5] 그래비티 당시 이미지에서는 EVOLution의 멤버로 S15, LOVElution의 멤버로 S16이 적혀있었으나, 데뷔 임박 시점에서야 공개되어서 그런지 먼저 활동하는 LOVElution의 새멤버 신위가 S15가 되었다.[6] 18시 ~ 다음날 16시[7] 한 명의 S가 두 디멘션 모두에서 1위를 했다면 표가 더 많은 쪽으로 합류한다.[8] 동률이 발생할 경우 그래비티 기간을 하루 연장한다.[9] 현재까지 열린 디멘션 중 최초로 모든 S가 참여하는 것이 아닌 디멘션이다.[10] 타이틀곡 선정 Gravity 이전에 10인조 완전체 데뷔 프리콘 ASSEMBLE에서 짧은 버전이 공개되었으며, 이후 LOVElution, EVOLution, 16인조, 24인조 버전의 무대가 공개되었다. 그럼에도 음원은 없었다가 VV의 수록곡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추후 다른 버전의 음원이 발매될 가능성도 높다.[11] 이미 참여가 결정된 S8 공유빈과 S17 린 또한 후보이며, 리더로 선발이 가능하다.[12] 그래비티 시작 당시 Secret Rule[13] 만약 리더 결정 그래비티에서 S8 공유빈이나 S17 린이 선택되었을 경우 5명[14] tripleS 최초의 해외 현지화 유닛이다. 그룹의 일부 멤버들로 구성된 해외 현지화 유닛이라는 점에서는 NCT의 일본 현지화 유닛인 NCT WISH와 같은 케이스로 볼 수 있다.[15] 다만 1년 내내 일본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닌,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에 참여한다. 즉, '일본 활동 앨범을 발매할 유닛'이란 의미[16] 18시 ~ 다음날 16시[17] 공모에 올라온 팬덤명 중, 'Wave'의 표기를 바꾸어 새로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 팬덤명으로 선정된 이름을 처음 공모한 팬에게 주는 선물 또한 'Wave'를 처음 제안한 사람에게 돌아갔다.[18] 이와 함께 COSMO 어플에서 사용자를 'MASTER'라고 불렀던 부분도 WAV로 변경되었다.[19] Dimension, Rolex, Atmosphere Full ver, Colorful, New Look, Touch+[20] 서연 + 소현, 혜린 + 유빈, 카에데 + 다현, 니엔 + 신위[21] 예능상 - 호캉스, 발전상 - 힐링 SIGNAL 촬영권, 소통상 - SIGNAL LIVE 특권, 베스트 커플상 - 데이트 SIGNAL 촬영권[22] S2 정혜린, S5 김유연, S7 김나경, S8 공유빈[23] 제외된 곡 : 모든 인트로&아웃트로 곡들, Dimension (AAA Ver., KRE Ver.), Cherry Gene, Rising, Colorful, 첫 이별, Girls Never Die, 24, Non Scale, ###
상기된 곡 중 Dimension은 24인조 버전이 후보가 되었다. 첫 이별과 Cherry Gene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24인조 무대를 선보인 적 있기에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단 New Look과 Atmosphere의 경우 24인조 무대가 존재하나 후보에 포함되었다.
상기된 곡 중 Dimension은 24인조 버전이 후보가 되었다. 첫 이별과 Cherry Gene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24인조 무대를 선보인 적 있기에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단 New Look과 Atmosphere의 경우 24인조 무대가 존재하나 후보에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