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24:25

stop-motion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반적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스톱 모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톱 모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톱 모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반적인 의미: }}}[[스톱 모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톱 모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톱 모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vivid/stasis

1. 개요


vivid/stasis의 수록곡. 작곡가는 Frums. Frums의 곡 중 처음으로 Frums 본인이 아닌 타인이 MV를 제작하였다.[1]

2. vivid/stasis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stop-motion
ORIGINAL

GIMMICK
파일:vs_stopmotion.gif
<colbgcolor=#a0a4a5><colcolor=#212529> 작곡가 Frums
BPM 72
자켓 디자이너 Stelli & Lumbud84
카테고리 Chapter 4
해금 조건 문서 참조
-
난이도 <rowcolor=#212529> Opening Middle Finale Encore
8 12 12.0 15+ 15.6 16+ 16.7
노트 수 938 1383 1817 2006
차트 디자이너 ED/EP ASSESSMENT 1028 ASSESSMENT STARGAZER ASSESSMENT UNIFORM011 ASSESSMENT


파일:vs_logo3.0.0.png
Chapter 4
last/hours

7곡 수록
Shattered Sky After Rain
exterminate() The Night of Fright
nullbreak Sternstunde
Opening Middle
Finale Encore
챕터 4의 Storyteller Challenge 악곡으로 등장했으며, 유일하게 자켓이 움직이는 곡이다.
모든 난이도의 공통점으로 스크롤 장난이 들어가 있으며, 중간에 레인마다 스크롤 속도가 달라지는 구간도 등장한다.

[ 해금 방법 / 스포일러 ]
[ 요약 ]
1. CLAUDIA -libertia- 해금
2. Betweenspace에서 모든 로그 열람
3. Layer 2에서 각 퍼즐 해결 후 스위치 작동
4. _ 플레이
5. stop-motion 완주

CLAUDIA -libertia- 해금 이후 Betweenspace의 로그를 모두 열람했다면 Betweenspace의 Layer 2에 진입할 수 있다. 이곳에서 각 구역마다 4개의 스위치를 눌러 문 개폐 스위치로 가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데, 각 구역마다 2개의 스위치는 퍼즐을 풀어야 누를 수 있다.
[ 퍼즐 해답 ]
||<|2> 왼쪽 구역 || 1 || 위의 숫자들을 영어로 변환하면 'REFLECT'가 나온다. 이에 따라 아래 문양들을 좌우로 뒤집고, 각 문양들에 숫자 밑의 화살표 방향대로 뒤집은 모양을 붙이면 'AMBIDEX'가 나온다. ||
2 문제의 숫자와 알파벳들은 16진수 수들이며, 이전까지 사용된 '빨간색은 더하기, 파란색은 빼기'의 규칙을 적용하면 '14 15 3 20 21 18 14 5'가 나온다.
영어로 변환하면 'NOCTURNE'이 나온다.
아래쪽 구역 1 이전까지 썼던 '빨간색은 더하기, 파란색은 빼기'의 규칙에 노란색이 추가로 들어가 있다.
노란색은 곱하기로 계산하면 되며, 한 열마다 계산하면 '19 8 9 11 9 20 1 19 15'가 나온다.
영어로 변환하면 'SHIKITASO'가 나온다.
2 표의 문자들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었을 때, 지금까지 푼 퍼즐들의 정답을 모두 지운다.
남는 글자들인 'HYPERMANIA'가 정답이다.
오른쪽 구역 1 'exclusive or'는 XOR 연산을 뜻한다. 맵 근처에 빨간색과 초록색 전등 8개가 숨겨져 있으며, 이를 아래 물음표에 대입해 XOR 연산을 하면 '01001001'이 나온다.
2 LOCK P는 PYROMANIA를 말하며, PYROMANIA 해금 중 들어갔던 사이트의 주소 중 ULTIMATION.html의 ULTIMATION이 정답이다.
3 오른쪽 구역에는 퍼즐로 막힌 스위치 2개 외에도 나머지 2개의 스위치 중 1개가 일반적으로는 보이지 않는데, 스위치 근처에 남겨진 표식[2]을 따라가면 그곳에 숨겨진 비밀 공간에 스위치가 있다.

모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중앙의 문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며, 중앙 문으로 들어가 스토리텔러에게 말을 걸면 스토리 진행 후 _을 플레이하게 되며, 그 뒤 스토리 진행 후 이 곡을 플레이하게 된다. 챌린지 게이지는 없으며, 클리어 후 챕터 4 엔딩과 함께 이 곡이 해금된다.

[1] 여담으로 Frums는 MV 제작을 요청할 때 표현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따로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2] 테이블 위 표식과 동일하게 생긴 모양이 있는 칸 바로 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