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24:17

né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nee'''{{{#!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Perfume의 싱글}}}에 대한 내용은 [[ねぇ]]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ねぇ#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ねぇ#|]]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보컬로이드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있잖아.」]]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있잖아.」#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있잖아.」#|]]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일본의 록밴드}}}에 대한 내용은 [[NEE]]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NEE#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NEE#|]]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Perfume의 싱글: }}}[[ねぇ]]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ねぇ#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ねぇ#|]]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보컬로이드의 노래: }}}[[「있잖아.」]]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있잖아.」#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있잖아.」#|]]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일본의 록밴드: }}}[[NEE]]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NEE#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NEE#|]]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여담4. 대한민국에서

1. 개요

영어프랑스어에서 여성의 결혼성씨(maiden name)를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단어.

2. 상세

'태어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단어 naître의 여성형 단수 과거 분사 née에서 유래했으며, 영어 발음은 [ˈneɪ], 프랑스어 발음은 [ne]이다. 미국과 캐나다, 다수 유럽의 부부동성제 국가에서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Jane Smith née Jackson이라면 현재 성(= 남편의 성)은 Smith, 결혼하기 전의 성은 Jackson이라는 뜻이다. Jane Smith, née Jackson과 같이 née의 앞에 comma를 넣기도 하고, Jane Smith (née Jackson)과 같이 née와 결혼 전 성씨를 괄호 안에 넣기도 한다.

남편이 아내의 성을 따르는 데릴사위의 경우 남편의 결혼 전 성은 남성형으로 né라고 한다.

3. 여담

간혹 née의 뜻을 모르고 née까지 이름의 일부로 생각해서 Jane Smith née Jackson을 '제인 스미스 네이 잭슨'과 같이 옮겨 버리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née는 보통 영어권이나 프랑스어권에서만 쓰지만, 일본계 여성 이름에도 사용은 가능할 것이다.

4. 대한민국에서

1970년대~1980년대에 발급된 대한민국 여권에는 née라는 별도의 칸이 존재했다. 당시에는 결혼한 여성의 여권을 발급할 때 surname 칸에 아예 해당 여성의 로마자 성씨 대신 남편의 로마자 성씨를 대신 적어 주었고, 해당 여성의 로마자 성씨는 née 칸에 적었다. 실제로 1972년에 발급된 육영수의 여권에는 surname 칸에 PARK이, née 칸에 YOOK이 적혀 있다. # 발급되는 한국 여권에는 여권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배우자의 성씨를 "spouse of (배우자 성씨)" 형태로 병기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선 한국인 아내와 딸만 여행하는데 한국식으로 두 사람의 성씨가 달라서 미국 국토안보부 직원에게 잡혀 조사받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