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4: Foundations | |
|
스테이션 구조물 및 무역품들을 설명하는 문서
1. 생산 모듈
1.1. 정제품
2. 건설 모듈1.1.1. 에너지 셀1.1.2. 정제 금속
1.2. 첨단 기술 제품1.1.2.1. 정제 금속 공장
1.1.3. 텔라디아니움1.1.3.1. 텔라디아니움 공장
1.1.4. 실리콘 웨이퍼1.1.4.1. 실리콘 웨이퍼 공장
1.1.5. 그래핀1.1.5.1. 그래핀 공장
1.1.6. 반물질 전지1.1.6.1. 반물질 전지 공장
1.1.7. 초유체 냉각수1.1.7.1. 초유동체 냉각수 공장
1.1.8. 물1.1.8.1. 물 공장
1.2.1. 선체 부품1.2.2. 마이크로칩
1.3. 선박 기술 제품1.2.2.1. 마이크로칩 공장
1.2.3. 엔진 부품1.2.4. 고급 복합제1.2.5. 플라즈마 전도체1.2.5.1. 플라즈마 전도체 공장
1.2.6. 양자 튜브1.2.6.1. 양자 튜브 공장
1.2.7. 스캐닝 기기1.2.7.1. 스캐닝 기기 공장
1.3.1. 고급 전자부품
1.4. 농산품1.3.1.1. 고급 전자부품 공장
1.3.2. 반물질 변환기1.3.3. 클레이트로닉스1.3.4. 드론 부품1.3.4.1. 드론 부품 공장
1.3.5. 계자 코일1.3.6. 미사일 부품1.3.7. 보호막 부품1.3.8. 스마트 칩1.3.8.1. 스마트칩 공장
1.3.9. 터렛 부품1.3.9.1. 터렛 부품 공장
1.3.10. 무기 부품1.3.11. 미세 금속 격자1.3.12. 실리콘 카바이드1.3.13. 컴퓨트로닉 기질1.4.1. 밀1.4.2. 고기1.4.3. 소야 콩1.4.4. 마야 달팽이1.4.5. 선라이즈 꽃1.4.6. 늪지 식물1.4.7. 체르릿 고기1.4.8. 스크루핀 과일1.4.9. 단백질 반죽1.4.10. 플랑크톤1.4.11. 보가스1.4.12. 향신료
1.5. 식품1.6. 제약품2.1. 정비소
3. 저장 모듈4. 거주 모듈5. 방어 모듈6. 도크 모듈7. 가공 모듈8. 기타 모듈2.1.1. S/M급 정비소2.1.2. 테란 S/M급 정비소2.1.3. 보론 S/M급 정비소2.1.4. L급 정비소2.1.5. 테란 L급 정비소2.1.6. 보론 L급 정비소2.1.7. XL급 정비소2.1.8. 테란 XL급 정비소2.1.9. 보론 XL급 정비소
2.2. 제조소1. 생산 모듈
X4의 경제를 책임지는 스테이션들. 기본적으로 X4의 경제는 전시경제이며, 전쟁이 아예 사라지면 경제가 마비되어버린다. 억지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플레이어가 팩션들과 전쟁을 해야 할 수도 있다.1.1. 정제품
원자재를 가공한 것. 공동체 경제에서는 원자재를 그대로 매입하는 스테이션이 별로 없고 정제하기만 해도 단가가 두배로 뛰기 때문에 정제를 거치는것을 추천한다.1.1.1. 에너지 셀
가격 : 하한 10 크레딧 상한 20 크레딧스테이션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
모든 상품을 생산하는 스테이션은 에너지 셀을 필요로하며 이에 예외가 없다. 태양광을 충전하여 배터리형식으로 사용하며 스테이션이 지어진 위치의 태양광 강도에 따라 사이클당 생산되는 에너지 셀의 양도 증가한다. X시리즈의 1편이 시작되기도 전, 원자력발전을 이용하던 시절이 있었으나 심각한 사고가 발생 한 이후 모든 핵발전은 퇴출되고 동력원은 모두 태양광을 충전한 재활용가능 배터리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1.1.1.1. 에너지 셀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17,000MJ
최적인력: 90
터렛 한도: 4
보호막 생성기: 2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에너지 셀
순환 기간: 1m 00s
주기/h: 60
제품/h: 10,500 에너지 셀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260x 클레이트로닉스
- 520x 에너지 셀
- 951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2m 36s
1.1.1.2. 테란 에너지 셀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00,000MJ
최적인력: 45
터렛 한도: (표기 없음)
보호막 생성기: (표기 없음)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에너지 셀
순환 기간: 1m 00s
주기/h: 60
제품/h: 3,000 에너지 셀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테란
- 24x 컴퓨트로닉 기전
- 100x 에너지 셀
- 20x 실리콘 카바이드
예상 건설 시간: 2m 55s
1.1.2. 정제 금속
소행성에서 추출한 광석을 정제한 것. X4 산업의 기초로써 수요가 높으며 첫 스테이션의 상품으로 추천할만하다.1.1.2.1. 정제 금속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10,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정제 금속
사용: 90x 에너지 셀, 240x 광석
순환 기간: 2m 30s
주기/h: 24
제품/h: 2,112x 정제 금속
자원/h: 2,160x 에너지 셀, 5,760x 광석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36x 클레이트로닉스
- 73x 에너지 셀
- 135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8m 34s
1.1.3. 텔라디아니움
텔라디인들은 정제금속보다 더 효율적인 텔라디아니움이라는 물질을 개발해내었다. 정제금속과 완전히 같은 용도로 사용되나 텔라디인들만 사용하는 상품인 만큼 판매용으로는 추천도가 떨어진다. 정제금속을 사용하는 공정을 텔라디아니움으로 대체하는 스테이션모듈이 존제하며 완전히 같은 무역품을 생산하지만 텔라디아니움을 요구하는 스테이션모듈과 정제금속을 요구하는 스테이션모듈, 두 종류가 있으니 요구사항을 잘 보고 스테이션을 건설하자.1.1.3.1. 텔라디아니움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26,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0
보호막 생성기: 5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텔라디아니움
사용: 45x 에너지 셀, 280x 광석
순환 기간: 2m 00s
주기/h: 30
제품/h: 2,100x 텔라디아니움
자원/h: 1,350x 에너지 셀, 8,400x 광석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50x 클레이트로닉스
- 101x 에너지 셀
- 185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9m 14s
1.1.4. 실리콘 웨이퍼
소행성에서 추출한 실리콘을 정제한 것. 전자회로의 기초가 된다. 수요가 많으며 단가도 비싸서 실리콘웨이퍼 공장은 초반에 좋은 고정수입처가 된다.1.1.4.1. 실리콘 웨이퍼 공장
재원
최대 선체 강도: 190,000MJ
최적인력: 18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그래핀
사용: 80x 에너지 셀, 320x 메탄
순환 기간: 4m 00s
주기/h: 15
제품/h: 1,440x 그래핀
자원/h: 1,200x 에너지 셀, 4,800x 메탄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28x 클레이트로닉스
- 57x 에너지 셀
- 104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8m 02s
1.1.5. 그래핀
메탄을 정제하여 만든다. 가스 기반 정제품들은 수요가 적어 자금을 벌어들이는데에는 좋지않으나, 그래핀은 그나마 수요가 많고 단가가 높아 그럭저럭 괜찮은 벌이가 되어준다. 함선 제작에 필수적인 선체 부품의 재료라 전쟁이 많아질수록 수요가 많이 발생한다.1.1.5.1. 그래핀 공장
재원
최대 선체 강도 190,000MJ
최적 인력 180
최대 터렛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최대 선체 강도 190,000MJ
최적 인력 180
최대 터렛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 물품
제조 : 96 그래핀
순환기간 : 4m 00s
주기/h 15
제품/h 1,440 그래핀
자원/h 1,200 에너지 셀
제조 : 96 그래핀
순환기간 : 4m 00s
주기/h 15
제품/h 1,440 그래핀
자원/h 1,200 에너지 셀
4,800 메탄
제작에 필요한 자원
28 클레이트로닉스
57 에너지 셀
104 선체부품
8m 02s
1.1.6. 반물질 전지
수소를 정제하여 만든다. 클레이트로닉스와 엔진부품에만 사용된다.1.1.6.1. 반물질 전지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51,000MJ
최적인력: 18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반물질 전지
사용: 100x 에너지 셀, 320x 수소
순환 기간: 2m 00s
주기/h: 30
제품/h: 2,970x 반물질 전지
자원/h: 3,000x 에너지 셀, 9,600x 수소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69x 클레이트로닉스
- 138x 에너지 셀
- 253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9m 53s
1.1.7. 초유체 냉각수
헬륨을 정제하여 만든다. 플라즈마 전도체와 양자튜브의 재료로만 사용된다. 요구 공정은 적지만 초유체 냉각수를 응용한 무역품의 사용처가 많아서 생각보다 수요가 많이 발생하는편1.1.7.1. 초유동체 냉각수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77,000MJ
최적인력: 80
터렛 한도: 5
보호막 생성기: 2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초유동체 냉각수
사용: 60x 에너지 셀, 320x 헬륨
순환 기간: 4m 00s
주기/h: 15
제품/h: 1,425x 초유동체 냉각수
자원/h: 900x 에너지 셀, 4,800x 헬륨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25x 클레이트로닉스
- 51x 에너지 셀
- 94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7m 49s
1.1.8. 물
우주에 떠돌아다니는 얼음소행성을 정제하여 만든다. 각종 식품류의 재료이며 수상생물인 보론은 생명유지에 물이 절실하기 때문에 스테이션 건설 및 식품류처럼 사용된다.1.1.8.1. 물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203,000MJ
최적인력: 18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물
사용: 60x 에너지 셀, 320x 얼음
순환 기간: 2m 00s
주기/h: 30
제품/h: 5,790x 물
자원/h: 1,800x 에너지 셀, 9,600x 얼음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36x 클레이트로닉스
- 72x 에너지 셀
- 132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8m 33s
1.2. 첨단 기술 제품
정제품들을 가공하여 만든 1차 상품들.1.2.1. 선체 부품
함선제조의 필수적인 부품이며, 다른 여러 공정에도 사용된다. 특히 스테이션을 제작할때에도 필요하다. 특별한 관리가 없는 한, X우주는 항상 선체부품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선착장 옆의 선체부품공장은 쉽고 편하게 돈을 벌어들이는 돈복사기 역할을 한다. 단점은 스테이션 모듈 가격이 초반치고는 만만치않다는것. 7.5패치와 함께 우주의 선체부품 수요를 줄이기 위해 스테이션 건조에 필요한 재료가 변경되었다.1.2.1.1. 선체 부품 공장
재원
최대 선체 강도: 146,000MJ
최적인력: 27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선체 부품
사용: 80x 에너지 셀, 40x 그래핀, 280x 정제 금속
순환 기간: 15m 00s
주기/h: 4
제품/h: 1,176x 선체 부품
자원/h: 320x 에너지 셀, 160x 그래핀, 1,120x 정제 금속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853x 고급복합재
- 1,357x 에너지 셀
- 1,228x 플라즈마 전도체
예상 건설 시간: 14m 22s
1.2.1.2. 텔라디 선체 부품 공장
재원
최대 선체 강도: 146,000MJ
최적인력: 27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선체 부품
사용: 80x 에너지 셀, 40x 그래핀, 204x 텔라디아니움
순환 기간: 15m 00s
주기/h: 4
제품/h: 1,176x 선체 부품
자원/h: 320x 에너지 셀, 160x 그래핀, 816x 텔라디아니움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853x 고급복합재
- 1,341x 에너지 셀
- 1,228x 플라즈마 전도체
예상 건설 시간: 14m 21s
1.2.2. 마이크로칩
실리콘 웨이퍼를 가공하여 만든다. 전 우주에서 항상 부족한 자원인 고급 전자부품의 재료이며, 단가가 2배이상 껑충 뛰어오르기 때문에 벌이도 좋다.1.2.2.1. 마이크로칩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99,000MJ
최적인력: 45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마이크로칩
사용: 50x 에너지 셀, 200x 실리콘 웨이퍼
순환 기간: 10m 00s
주기/h: 6
제품/h: 432x 마이크로칩
자원/h: 300x 에너지 셀, 1,200x 실리콘 웨이퍼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758x 클레이트로닉스
- 1,516x 에너지 셀
- 2,774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4m 48s
1.2.3. 엔진 부품
반물질 전지와 정제금속으로 만들며 함선 엔진 및 추진기, 드론부품 제작에 필요하다. 함선은 추진기와 엔진이 없이는 아예 제작조차 되지않기 때문에 고정수요가 발생하는 제품이다.1.2.3.1. 엔진 부품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20,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엔진 부품
사용: 80x 반물질 전지, 60x 에너지 셀, 96x 정제 금속
순환 기간: 15m 00s
주기/h: 4
제품/h: 832x 엔진 부품
자원/h: 320x 반물질 전지, 240x 에너지 셀, 384x 정제 금속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389x 클레이트로닉스
- 779x 에너지 셀
- 1,426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26s
1.2.3.2. 텔라디 엔진 부품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20,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엔진 부품
사용: 80x 반물질 전지, 60x 에너지 셀, 70x 텔라디아니움
순환 기간: 15m 00s
주기/h: 4
제품/h: 832x 엔진 부품
자원/h: 320x 반물질 전지, 240x 에너지 셀, 280x 텔라디아니움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394x 클레이트로닉스
- 778x 에너지 셀
- 1,443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26s
1.2.4. 고급 복합제
정제금속과 그래핀으로 만든다. 일부 특수한 팩션전용무기와 플레어, 반물질 변환기 제작에 필요하다. 본래 사용처가 극히 적은 자원이었으나 7.5패치에서 선체부품공장/클레이트로닉스공장이 이 제품을 요구하게 변경되어 수요가 크게 올랐다.1.2.4.1. 고급 복합제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97,000MJ
최적인력: 31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고급 복합재
사용: 50x 에너지 셀, 80x 그래핀, 80x 정제 금속
순환 기간: 5m 00s
주기/h: 12
제품/h: 648x 고급 복합재
자원/h: 600x 에너지 셀, 960x 그래핀, 960x 정제 금속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648x 클레이트로닉스
- 1,296x 에너지 셀
- 2,373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4m 29s
1.2.4.2. 텔라디 고급 복합제 공장
1.2.5. 플라즈마 전도체
그래핀과 초유체 냉각수로 만든다. 무기 장착에 사용되는 무기부품, 보호막 장착에 사용되는 보호막 부품과 계자 코일의 재료. 전투용 함선을 대량으로 양산하기 시작하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다.1.2.5.1. 플라즈마 전도체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81,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플라즈마 전도체
사용: 60x 에너지 셀, 96x 그래핀, 140x 초유동체 냉각수
순환 기간: 15m 00s
주기/h: 4
제품/h: 176x 플라즈마 전도체
자원/h: 240x 에너지 셀, 384x 그래핀, 560x 초유동체 냉각수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473x 클레이트로닉스
- 946x 에너지 셀
- 1,732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50s
1.2.6. 양자 튜브
그래핀과 초유체 냉각수로 만든다. 터렛 제작에 사용되는 터렛 부품, 보호막 제작에 사용되는 보호막 부품과 계자코일, 무기/터렛 장착에 필요한 고급 전자부품, 스테이션 건설에 필요한 클레이트로닉스 등 전투가 격렬해질수록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제품이다.1.2.6.1. 양자 튜브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48,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8
보호막 생성기: 4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양자튜브
사용: 40x 에너지 셀, 116x 그래핀, 30x 초유동체 냉각수
순환 기간: 12m 00s
주기/h: 5
제품/h: 470x 양자튜브
자원/h: 200x 에너지 셀, 580x 그래핀, 150x 초유동체 냉각수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380x 클레이트로닉스
- 761x 에너지 셀
- 1,394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23s
1.2.7. 스캐닝 기기
정제금속과 실리콘웨이퍼를 가공하여 만든다. 자원탐사정, 인공위성, 드론부품, 터렛부품 제작에 필요하다. 원래 수요가 많이 발생하는 아이템은 아니지만 인공위성 거래 [1] 를 자주 할 생각이라면 대량으로 건설하기도 한다.[2]1.2.7.1. 스캐닝 기기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69,000MJ
최적인력: 31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스캐닝 기기
제조(1회 사이클): 36x 스캐닝 기기
사용(1사이클):
- 60x 에너지 셀
- 100x 정제금속
- 60x 실리콘 웨이퍼
순환 기간: 10m 00s
주기/h: 6
제품/h: 216x 스캐닝 기기
자원/h:
- 360x 에너지 셀
- 600x 정제금속
- 360x 실리콘 웨이퍼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629x 클레이트로닉스
- 1,259x 에너지 셀
- 2,305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4m 25s
1.3. 선박 기술 제품
정제품 및 첨단기술 제품을 가공하여 만드는 3차 가공품들. 각종 고성능 무기, 터렛, 엔진, 보호막 등 특화된 함선 파츠 제작에 소모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요는 많지만 단가상승은 크지 않고 스테이션 모듈의 가격도 비싸서 무역 없이 필요한것을 모두 만들 수 있는 단계까지 가지 않는 한, 직접 스테이션을 짓는것은 추천하지 않는다.1.3.1. 고급 전자부품
마이크로칩과 양자 튜브로 만든다. 함선에 무기와 터렛을 장착할 때 필요하다. 또한 고급 인공위성의 재료. 설명만 봐도 알겠지만 전투용 함선의 소요가 커질수록 소모량이 급격히 상승하며, 이 부품이 부족하여 전 우주가 경제 마비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매우 흔하다. 유일한 단점은 단가 상승량이 별로 크지 않다는것 정도1.3.1.1. 고급 전자부품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60,000MJ
최적인력: 540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고급 전자부품
제조(1회 사이클): 54x 고급 전자부품
사용(1사이클): 60x 에너지 셀, 44x 마이크로칩, 20x 양자튜브
순환 기간: 12m 00s
주기/h: 5
제품/h: 270x 고급 전자부품
자원/h:
- 300x 에너지 셀
- 220x 마이크로칩
- 100x 양자튜브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482x 클레이트로닉스
- 965x 에너지 셀
- 1,677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52s
1.3.2. 반물질 변환기
마이크로칩과 고급 복합제로 만든다. 각종 고성능 엔진 및 추진기, 대형 엔진 및 추진기에 사용된다. 단가상승도 크지 않고 한번에 생산되는 양도 많고 주기도 짧다. 대부분의 AI들은 함선을 생산할때 저가형 부품 위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요가 크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플레이어가 대형 및 고성능 함선을 선호한다면 안정적인 공급수단을 마련해야 한다.1.3.3. 클레이트로닉스
반물질 전지, 마이크로칩, 양자 튜브로 만든다. 공동체 스테이션 건축에 필요한 자원. 가격도 비싸고 필요한 재료도 많다. 스테이션 모듈의 가격도 초보 유저에게 부담될 정도로 비싼편. 본래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자원이었으나 새 스테이션이 건축되는 이벤트 자체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지속적인 패치로 대체 생산법이 생기면서 현 시점에서는 클레이트로닉스가 부족하여 경제가 마비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현실에서 클레이트로닉스는 흔히들 말하는 나노머신 군집이며 아직까지 불가능한 기술에 속한다.1.3.4. 드론 부품
각종 드론과 레이저타워 제작에 사용한다. 소모량이 크지않은편. 레이저타워 러쉬[3] 를 즐겨 사용할 경우 부족이 발생할 수도 있다.1.3.4.1. 드론 부품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74,000MJ
최적인력: 67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드론 부품
제조(1회 사이클): 105x 드론 부품
사용(1사이클): 60x 에너지 셀, 20x 선체 부품, 20x 엔진 부품, 40x 고급 전자부품, 80x 마이크로칩
순환 기간: 20m 00s
주기/h: 3
제품/h: 315x 드론 부품
자원/h:
- 180x 에너지 셀
- 60x 선체 부품
- 60x 엔진 부품
- 120x 고급 전자부품
- 240x 마이크로칩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1,225x 클레이트로닉스
- 2,449x 에너지 셀
- 4,483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5m 47s
1.3.5. 계자 코일
플라즈마 전도체와 양자 튜브로 만든다. 고급 및 대형 함선의 보호막 생성기에 필요한 자원. 시간당 생산량이 많아 부족한 경우는 드물지만 이것도 전쟁이 격화되기 시작하면 대량으로 수요가 발생한다.1.3.6. 미사일 부품
선체부품과 고급 복합제로 만든다. 미사일 제작에 사용한다. 재료 소모량이 극히 적은데 비해 생산량은 많다[4]. 미사일 자체가 X4 우주에서 별로 인기가 없어서 부족한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심지어 대체 제작법도 있어서 많은 유저들이 이 부품은 생략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일부 스플릿만 사용하는 특수 미사일들은 대체 제작법이 존재하지 않아 이걸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1.3.7. 보호막 부품
양자튜브와 플라즈마 전도체로 만든다. 보호막 장착에 사용한다. AI함선중에는 보호막을 장착하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수요가 많이 발생한다. 수요도 많고 요구 재료는 적고 생산량은 많아서 무역용으로 추천하는 제품1.3.8. 스마트 칩
실리콘 웨이퍼로 만든다. 드론, 유도미사일, 피아식별기뢰, 레이저타워 제작에 필요하다. 수요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생산량도 많다. 플레이어가 이런 물품들을 즐겨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무역용으로는 npc 스테이션의 기본 요구 재료와 몇몇 공장 재료로밖에 안들어간다1.3.8.1. 스마트칩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04,000MJ
최적인력: 80
터렛 한도: 8
보호막 생성기: 4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스마트 칩
사용: 50x 에너지 셀, 20x 실리콘 웨이퍼
순환 기간: 10m 00s
주기/h: 6
제품/h: 858x 스마트 칩
자원/h: 300x 에너지 셀, 120x 실리콘 웨이퍼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방법: 공용
- 126x 클레이트로닉스
- 253x 에너지 셀
- 464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1m 07s
1.3.9. 터렛 부품
양자 튜브, 스캐닝 기기, 마이크로칩으로 만든다. 각종 터렛 장착에 필요한 제품. 사이클도 길고 필요자원도 많고 수요도 정말 많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 함선의 경우, 터렛 10개 20개씩 달리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선착장보다는 조선소에서 더 수요가 많은편.1.3.9.1. 터렛 부품 공장
재원최대 선체 강도: 155,000MJ
최적인력: 225
터렛 한도: 12
보호막 생성기: 6
드론 수용량: 10
제조물: 터렛 부품
제조(1회 사이클): 170x 터렛 부품
제조: 170x 터렛 부품
사용:
60x 에너지 셀
20x 마이크로칩
20x 양자튜브
20x 스캐닝 기기
순환 기간: 30m 00s
주기/h: 2
제품/h: 340x 터렛 부품
자원/h:
120x 에너지 셀
40x 마이크로칩
40x 양자튜브
40x 스캐닝 기기
제작에 필요한 자원
건설 방법: 공용
475x 클레이트로닉스
951x 에너지 셀
1,741x 선체 부품
예상 건설 시간: 13m 50s
1.3.10. 무기 부품
플라즈마 전도체와 선체 부품으로 만든다. 각종 무기 장착과 지뢰제작에 필요하다. 당연하게도 전쟁이 많이 발생할수록 수요가 많이 생기며, 채광선의 채광레이저도 무기부품을 요구하므로 이 제품이 부족할 경우 경제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1.3.11. 미세 금속 격자
테란 산업의 핵심 중 하나. 광석과 헬륨으로 만든다. 테란 산업에서 소모량이 엄청난데 비해 1개의 스테이션이 생산하는 양이 너무 적어서 한 스테이션에 모듈을 20개~30개씩 모아서 짓는걸 추천한다.1.3.12. 실리콘 카바이드
테란 산업의 핵심 중 하나. 실리콘과 미세 금속 격자, 메탄으로 만든다. 테란 산업에서 각종 전자회로 및 건축에 사용한다. 테란 산업의 핵심 축을 담당하지만 비교적 소모량이 적은편이다.1.3.13. 컴퓨트로닉 기질
테란 산업의 핵심 중 하나. 광석, 실리콘, 수소로 만든다. 정말 엄청난 양의 자원을 요구한다 [5] 한개의 스테이션에 이 모듈을 너무 많이 장착할 경우, 전 우주의 자원을 다 빨아가는 골치덩이. 테란 함선의 가격이 비싼 이유이기도 하다. 그 대신 테란 경제하에서 소모량도 많고 단가도 매우 비싸서 초보들의 초반 자금줄이 되어준다. 설정적인 면에서 컴퓨트로닉 기질은 테란버전의 클레이트로닉스이며, 현존하는 모든 '원자'의 구조를 모방하는게 가능하다고 한다.1.4. 농산품
식품 및 의약품의 재료가 되는 제품. 대부분 물로 만든다.1.4.1. 밀
Wheat. 아르곤 농산품. 우리가 잘 아는 그 밀이다. 주로 빵으로 만들어 소비한다.1.4.2. 고기
Meat. 아르곤 농산품. 단순히 고기라고 적혀있으며 백과사전의 설명으론 합성육이라고 한다. 백과사전의 제품 아이콘 모양은 우리가 아는 소의 모양을 하고있다. X우주의 아르곤인들은 소와 비슷한 생물인 알그누라는 생물의 고기를 선호한다고 한다.1.4.3. 소야 콩
Soja Bean. 파라니드 농산품. 파라니드 식품인 소야 껍데기에 향신료로 자주 사용되고, 말려서 가루로 만들고 물에 태워 파라니드식 건강음료로 소모한다.1.4.4. 마야 달팽이
Maja Snail. 파라니드 농산품. 파라니드인들이 필요한 많은 영양소를 제공하는 생물이라고 한다.1.4.5. 선라이즈 꽃
Sunrise Flower. 텔라디 농산품. 이것의 꽃을 짜내어 만드는 쓴맛이 나는 기름을 주식으로 소모한다. 다른 생물에게는 이 맛이 끔찍하게 느껴진다고1.4.6. 늪지 식물
Swamp Plant. 텔라디 농산품. 이 물질은 대마초의 원료이다. 대마초는 불법이지만 이 물질은 의외로 불법이 아닌데, 대마초의 마약성분은 제조과정에서 생기기 때문이라고 한다.1.4.7. 체르릿 고기
Chelt Meat.[6]스플릿 농산품. 스플릿 행성의 토착 물고기이며 본성에서는 멸종위기종이지만 스플릿들은 이 생물을 우주에서 사육하여 사용한다. 농산품(가공 안된 식품)으로 분류되어있지만 식품(가공되어 바로 먹을수있는 제품)으로 기능한다.1.4.8. 스크루핀 과일
Scruffin Fruit. 스플릿 농산품. 고구마 비슷한 식물로 스플릿들이 주로 소모한다. 체르릿 고기와 같이 가공없이 바로 식품으로 소모된다.1.4.9. 단백질 반죽
Protein Paste. 테란 농산품. 동/식물성 단백질의 혼합물로 테란이 소모한다. 물에서 제배하는 다른 농산품들과 달리 이 물질은 얼음/메탄을 직접 가공하여 만든다.1.4.10. 플랑크톤
Planktn. 보론 농산품. 니샬라 행성의 늪지에서 자라던 플랑크톤이며 주로 보론식 향신료로 사용된다.[7]1.4.11. 보가스
BoGas. 보론 농산품. 진통제 및 마취제로 사용되는 기체이며 보론인들은 이것으로 식품을 만든다.1.4.12. 향신료
Spices. 진영 구별없는 농산품. 각종 식품 생산에 사용하며, 때때로 긴장완화 및 환각을 유발하는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1.5. 식품
각 종족이 밥으로 소모하는 물질. AI스테이션은 언제나 거주구역을 건설하고, 거주구역은 스테이션 거주민을 유지하기 위해 식품과 의약품을 요구한다. 따라서 항상 수요가 발생하는 제품. 대량 요구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작은 운반선, 또는 아예 정찰기로 무역하는것을 추천한다. 장착되어있는 거주구역의 종류에 따라 요구하는 식품의 종류가 다르다.1.5.1. 배급 식량
Food Rations. 아르곤 식품. 밀, 고기, 향신료로 만든다. 호모 사피엔스종을 위한 밀, 냉동건조된 고기, 양념, 비타민/광물 첨가물이다. 백과사전에는 레토르트식품처럼 묘사하고있다. 같은 사피엔스종이지만 테란은 섭취하지 못하니 주의.1.5.2. 소야 껍데기
Soja Husk. 파라니드 식품. 마야 달팽이, 소야 콩, 향신료로 만든다. 으깬 콩을 달팽이 살점과 섞은 후, 달팽이 껍데기에 담아 낸다. 파라니드인들은 좋아하지만 다른 종족은 먹을 엄두도 못낸다고 한다.1.5.3. 노스트롭 기름
Nostrop Oil. 텔라디 식품. 향신료, 선라이즈 꽃, 물로 만든다. 선라이즈 꽃잎을 짜내어 나온 기름에 물과 섞어낸것으로 텔라디인들이 선호한다.1.5.4. 보푸
Bofu. 보론 식품. 플랑크톤, 보가스로 만든다. 보론인들이 선호하며, 이것 한덩이로 1주일도 살 수 있다고 한다. 정삼각형의 생김새도 그렇고 1주일도 살수있다는 언급도 그렇고 반지이야기의 램바스가 생각난다. 보론 여왕국과 게이트 재연결이 성립된 직후, 보소타가 이 물질을 얻기 위해 플레이어의 통신을 해킹까지 한다.1.5.5. 전투 식량
Terran MRE. 테란 식품. 한국의 자가발열식 레토르트 전투식량을 보는듯한 외형을 하고 있다. 유전자적으로 같은 종족인 아르곤인은 섭취하지 않으니 주의.1.6. 제약품
식품 이외의 각종 섭취가능한 화학품들.1.6.1. 의약품
Medical Supplies. 다양한 혼합물과 치료제로 구성된 물질. 거주민이 있는 스테이션은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의약품을 요구한다. 재료가 종족별로 다 다르지만, 최종 생산품의 용도는 구별없이 모두 의약품이다.아르곤:밀, 물, 향신료
파라니드:소야 콩, 물, 향신료
텔라디:선라이즈 꽃, 물, 향신료
스플릿:스크루핀 과일, 물, 향신료
보론:플랑크톤, 물
테란:단백질 반죽
1.6.2. 위스키
Spacefuel.[8] 밀과 물, 향신료로 만드는 불법 물품이다. 취급은 반드시 적법한 주류 취급 면허를 요구하며, 플레이어에게는 이 면허가 절대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불법물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적 스테이션, 자유항구와 일반 스테이션 곳곳에 숨어있는 블랙마켓 상인이 취급한다.1.6.3. 대마초
Spaceweed.[9] 늪지식물과 향신료로 만드는 불법물품이다. 골초들이 이것을 합법화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있지만 아직까지도 불법이라고 한다. 텔라디 영역 제외 다른 영역에서 불법. 해적 스테이션, 자유항구와 일반 스테이션 곳곳에 숨어있는 블랙마켓 상인이 매입한다.1.6.4. 마야 가루
Maja Dust. 마야 달팽이와 향신료로 만드는 불법물품이다. 마야 달팽이의 껍데기를 가루내어 흡입하면 환각효과가 발생한다고 한다. 파라니드 영역에서 불법이며 해적 스테이션, 자유항구와 일반 스테이션 곳곳에 숨어있는 블랙마켓 상인이 매입한다.1.6.5. 각성제
Stimulants. 실리콘과 헬륨으로 만든다. 중추신경계와 신체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약물. 테란영역에서 불법으로 취급한다. 알아둘 점은 테란 영역에서 불법이므로 개척자 영역에서는 합법이라는 뜻. 개척자 무역스테이션에서 고정적으로 매입/판매하며 일반 스테이션 곳곳에 숨어있는 블랙 마켓 상인이 매입한다.2. 건설 모듈
함선 제작 및 정비를 위해 필요한 모듈들. 이 모듈들을 건설완료한 순간부터 플레이어는 NPC팩션의 도움 없이 함선을 자체적으로 양산할 수 있게 된다. 거주모듈이 없어도 함장은 자동으로, 그리고 랜덤으로 배정되지만 승무원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거주 모듈이 필요하다. 추가되어있는 거주 모듈의 종류에 따라 승무원의 종족이 결정된다. [10] 기본 상태에서는 함선제작시간이 대단히 오래 걸리지만, 건설드론을 추가하는것으로 건설시간을 크게 가속할 수 있다.각 모듈별 효율적인 건설드론 수
S/M 제조소와 정비소: S 제조소 1개당 5드론, M 제조소 1개당 10드론
L 제조소와 정비소:1개당 20드론
XL 제조소와 정비소:1개당 40드론
2.1. 정비소
함선 정비를 위한 스테이션 모듈들. 함선 제작능력없이 오직 부품교체와 소모품 보충만을 위한 모듈이다. 이런 종류의 스테이션이 굳이 필요한지 항상 유저들에게 논란거리가 되곤 했는데, 최신버전 기준으로는 있으면 좋고 없어도 문제는 없다로 결론난 상태이다. 정비창을 가지고있을때의 장점은, 최신버전 기준 플레이어가 이용할 수 있는 함선 제작방식이 3종류나 되는데, 조선소/선착장과 다른 제작방식을 채택하는것으로 효율적인 물류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11][12]2.1.1. S/M급 정비소
2.1.2. 테란 S/M급 정비소
2.1.3. 보론 S/M급 정비소
2.1.4. L급 정비소
2.1.5. 테란 L급 정비소
2.1.6. 보론 L급 정비소
2.1.7. XL급 정비소
2.1.8. 테란 XL급 정비소
2.1.9. 보론 XL급 정비소
2.2. 제조소
함선 제작을 위한 스테이션 모듈들. X4 스테이션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조소는 정비소가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돈을 아끼고 싶다면 정비소는 생략해도 된다.2.2.1. S/M급 제조소
2.2.2. 테란 S/M급 제조소
2.2.3. 보론 S/M급 제조소
2.2.4. L급 제조소
2.2.5. 테란 L급 제조소
2.2.6. 보론 L급 제조소
2.2.7. XL급 제조소
2.2.8. 테란 XL급 제조소
2.2.9. 보론 XL급 제조소
3. 저장 모듈
스테이션에 물품을 저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모듈이다. 무역기지나 생산스테이션은 당연히 필요하고, 방어스테이션같은 경제랑 전혀 상관없을것 같은 스테이션에도 드론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컨테이너 저장공간이 필요하다.[13] 저장 모듈마다 담을 수 있는 화물이 다르니 잘 보고 건설하자.각 종족별로 건설 테마와 재료는 다르지만 용도와 용량은 같으니 자신의 미적감각에 어울리는것을 사용하면 된다.
3.1. 광물 저장소
광석, 실리콘, 니비듐, 폐품을 저장하기 위한 모듈.3.2. 액화가스 저장소
수소, 헬륨, 메탄을 저장하기 위한 모듈.3.3. 컨테이너 저장소
원자제를 제외한 모든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모듈.4. 거주 모듈
스테이션에 거주할 거주민들을 위한 스테이션 모듈들. 기본적으로 거주 모듈이 없어도 스테이션은 100퍼센트 효율로 가동한다. 하지만 스테이션이 요구하는 숫자만큼이 거주민이 존재하는 스테이션은 입력자원보다 더 많은 출력자원이 생산된다. [14] 여러번 생산을 거쳐야 하는 공동체 공장의 경우, 스테이션 운용인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이 생산량이 복리로 점점 증가하여 같은 자원으로 훨씬 많은 상품이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스테이션 모듈마다 최대효율을 위한 운용인원이 다 다르며, 증가하는 효율도 다 다르고 추가로 식품과 의약품꺼지 공급해야하니 거주모듈까지 신경써서 건설을 시작하면 정말 머리가 터져버릴수도 있어서 많은 유저들이 자신의 스테이션은 무인으로 운영하고 있다.5. 방어 모듈
스테이션에 무장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15] 방어모듈로 도배한 방어 플랫폼은 움직이지 못하는 대신 엄청난 전투력과 가성비를 가진다. 구축함 1개 만들 가격으로 방어스테이션을 건설할 경우, 구축함 10개정도는 우습게 박살내버릴 수 있는 전투력이 나온다. 방어 스테이션에는 터렛 항목에 해당하는 무장만 장착 가능하다. 방어모듈에는 행정센터라는 모듈이 있는데, 이 모듈이 있는 중립지역은 자신의 팩션의 영역으로 편입된다. AI 방어플랫폼은 언제나 행정센터가 포함되어있으며, 한 팩션이 점령한 지역에 있는 행정모듈을 모두 파괴하면 그 섹터는 중립지대가 된다. 참고로 정비소/제조소 모듈도 지역점령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방의 조선소 지대에는 방어스테이션과 조선소/정비소/선착장을 모두 파괴해야 한다. 추가로 행정센터는 스테이션 내부에 적재된 S/M함선과 드론의 긴급출격을 위한 런치튜브를 가지고 있어서 신속한 편대 출격이 가능하다.6. 도크 모듈
함선이 착륙하기 위한 공간. 이 모듈이 없으면 함선은 해당 스테이션에 착륙할 수 없다. 당연히 거래도 봉인. 필수.7. 가공 모듈
부서진 함선을 재활용하기 위한 모듈. 원천기술을 개발한 애버리스 행성은 태양광 증폭이 1390%로 에너지가 넘쳐나는 구역이다. 그 덕분인지 해당 모듈들도 가동을 위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 셀을 요구한다. 애버리스 행성은 주기적으로 태양풍이 불어 함선과 스테이션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척 비싼 '프로텍티온'이라는 물질을 요구한다. 그래서 많은 유저들이 대체 지역을 찾는편.7.1. 폐품 처리기
부서진 함선잔해와 폐품큐브를 가져와서 폐품으로 가공하는 모듈. 폐품은 광물 자원으로 분료되므로 이 모듈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광물 저장소가 필요하다.7.2. 폐품 재활용기
폐품으로 선체부품과 클레이트로닉스를 만든다. X4의 선체부품 부족, 클레이트로닉스 부족을 해소해준 고마운 모듈.7.3. 테란 폐품 재활용기
폐품 재처리 기술을 받아들인 세가리스의 개척자들은 폐품에서 자신들에게 더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도록 모듈을 개조했다. 이 모듈들은 컴퓨트로닉 기질과 실리콘 카바이드를 생산한다.8. 기타 모듈
각 모듈별 연결부를 지탱하는 모듈. 스테이션 모듈들은 사실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아도 작동에 문제가 없으므로 미적인 기능밖에 없는 모듈이다.[1] 정비도크에서 고급 인공위성을 구입하여 선착장/조선소에 판매. X4의 스테이션들은 가격을 동결시키지 않는한 저장된 창고의 물품 숫자에 비례하여 가격이 자동 책정되며, 선착장/조선소는 언제나 함선을 제작하고 있어 창고가 비어있지만 정비도크는 한산하여 창고가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차익을 얻는 것.[2] 인공위성 거래는 초반 자금 마련을 위해 추천하지만 후반에도 주기적으로 하는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고급 인공위성의 재료로 전 우주에서 공급부족에 시달리는 고급 전자제품이 들어가기 때문[3] 게이트 입구를 레이저타워 도배로 틀어막거나 선공하지않지만 적대적인 상태의 스테이션이나 대형함선 옆에 잔뜩 도배해서 공격하는 것[4] 15분당 1회 사이클이며 한 사이클당 선체부품 2개, 고급복합제 2개를 소모하여 281유닛을 생산한다.[5] 10분에 1사이클이며 사이클당 3천 광석/실리콘, 2천 수소를 요구한다.[6] 영문 철자를 보면 알겠지만 실제 이름은 '첼트 고기'이다. 체르릿은 오타.[7] X3에서 등장했던 스톳이라는 향신료.[8] 영문이름은 술이라고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 '우주 연료'라고 완곡하게 말하고있다. 스님들이 술을 '곡차'라고 부르는것과 같은 이치[9] Weed는 대마초의 은어.[10] 선착장에 아르곤 거주모듈만 건설되어있다면 승무원은 모두 아르곤인만 나온다.[11] 예를들어, 아르곤 대공포 터렛과 플라즈마 터렛, 아르곤 엔진을 테란 함선에 장착하고 싶을 경우, 조선소만 있을때에는 테란 부품 3종에 터렛부품과 고급 전자부품, 반물질 변환기와 엔진부품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정비창을 따로 건설하여 재활용 건설방식을 채택하여 함선 몸체만 조선소에서 제작하고 정비창에서 클레이트로닉스와 선체부품으로 효율좋게 함선 피팅이 가능해진다.[12] 물론 자신이 1개 팩션의 함선과 부품만 사용한다면 이런 수고는 아예 하지 않아도 된다.[13] 커다란 저장모듈을 달아서 돈 낭비할 필요 없이 가장 작은 저장모듈을 추가로 달아주면 된다.[14] 예를들어, 거주민이 없는 상태에서 시간당 5760 광석으로 2112 정제금속을 생산하는 정제금속 공장의 경우, 최적의 스테이션 운용인원 225명을 보충해주면 5760의 광석으로 3020의 정제금속을 생산한다.[15] 사실 방어모듈이 없어도 많은 스테이션들은 방어용 터렛을 조금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방어용 터렛의 가격이 만만치않아서 생략하는편. AI는 언제나 생산모듈에 방어터렛을 잔뜩 달아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