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lbgcolor=#212021><colcolor=#4EE6E5> 울트라 프라임 아카데미 | ||||
Ultra Prime Academy | ||||
창단 | 2020년 2월 26일 | |||
해체 | 2022년 10월 19일 | |||
팀명 | GZ Academy(2019~2020) Ignition One(2020) Ignite One(2020) Ultra Prime Academy(2020~2022) | |||
모기업 | ||||
GM | 리 치옹 Chixiaotu | |||
감독 | ||||
코치 | 판치 thor | |||
약칭 | UPA | |||
| ||||
해체 당시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212021><colcolor=#4EE6E5> DAMAGE | SeoKichan | Kaneki ]] | |
TANK | XRAY | OFF | ||
SUPPORT | M1ka ]] | Kyo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팀 컬러 | ||
■ ■ ■ | }}}}}}}}}}}} |
Sport Culture(体育文化)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 | | |
광저우 롱 라이온즈 | FC 소쇼몽벨리아르 | 홍콩 이스턴 SC | 홍콩 이스턴 롱 라이온즈 | |
| | | ||
마카오 블랙 베어즈 | 광저우 차지 | Ultra Prime |
1. 개요
UP Academy |
|
#Stand Up |
광저우 차지의 아카데미 팀으로, 기존 GZ Academy의 해체 이후로 본사의 Ultra Prime 창단에 맞춰 Ultra Prime Academy로 다시 재창단 하였다.
2. 역사
2.1. 2018년
오버워치 시즌 1 후 팀에서 방출된 Fiveking이 SIO로 닉변한 뒤 입단했다.전 Meta Athena 소속이었던 SonGBoos 최성환 선수가 입단했다.
상하이 드래곤즈에서 부상으로 인해 한국에서 회복과 휴식중이던 Fearless가 회복 후 상하이 드래곤즈가 아닌 Team CC로 복귀하였다.
2.2. 2019년
2.2.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광저우 차지의 첫 아카데미 팀. 2019년 3월 창단되었으나 3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2019년 5월 30일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팀의 로고가 묘하게 특정 유행어를 연상시켰다. 동명의 아마추어 팀, 우-탱 클랜의 즈자와는 관련이 없다.
2.2.2.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The One Winner와 아카데미 계약을 맺어 T1W.GZA로 활동하였다.[1]2.3. 2020년
2.3.1.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2.3.2.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2.4. 2021년
2.4.1.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2.4.2.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2.5. 2022년
2.5.1. 2022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작년 중국 컨텐더스 내의 실력차가 커서 그런 건지 이번에는 컨텐더스 코리아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첫 경기 때 SLT를 상대로 컨텐더스 코리아에서의 첫 승리를 가져가게 되었다.3. 구성원
3.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 ||||||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팀 |
KinoMVP | 커보쉰 | | GhostMode Gaming | 2020년 2월 26일 | 2020년 5월 30일 | 은퇴 |
Pride | 덩스항 | | N/A | 2020년 6월 29일 | ||
Future | 위자하오 | | UNNAMED | 2020년 7월 6일 | LvJingEP | |
QMQ | 탕웨이 | | | 2020년 11월 21일 | 은퇴 | |
Devilswill | 왕쉬안이 | | N/A | 2020년 6월 29일 | | |
ANB | 황쯔양 | | 코치 | 2020년 8월 | 코치 | |
XRAY | 저우시얀 | | N/A | 2020년 4월 30일 | 2020년 11월 18일 | |
Jimmy | 레이위자 | | | 2020년 6월 15일 | 2020년 11월 20일 | |
Charon | 장징쿤 | | UNNAMED | 2020년 7월 1일 | 2022년 5월 31일 | |
BAJI | 린전쩌 | | N/A | 2020년 7월 10일 | 2020년 10월 17일 | 은퇴 |
Wya[T] | 치하오먀오 | | | 2020년 7월 12일 | 2020년 10월 16일 | |
Krystal[T] | 차이스룽 | | 2020년 7월 14일 | |||
MAGI | 장진석 | | | 2020년 8월 15일 | 2020년 10월 17일 | 은퇴 |
Qdiy | 김문규 | | | 2020년 11월 | 2020년 | |
baebae | 단보카이 | | N/A | 2020년 10월 17일 | 2021년 7월 13일 | |
Dontloveme | 푸위천 | | | 2021년 3월 4일 | | |
SixFeet | 샤린선 | | Cratos | 2020년 11월 28일 | 은퇴 | |
SeaWave | 차오위중 | | | 2021년 3월 4일 | 2022년 5월 31일 | |
Zhizhi | 지톈하오 | | Zenith of Optimism | 2021년 4월 | | |
BinZzz | 뤼이판 | | | 2021년 7월 13일 | | |
thor | 판치 | | | | ||
Dank | 데미안 라이딩 | | | 2021년 4월 6일 | 2021년 7월 11일 | |
MYKaylee[T] | 쩌우쯔제 | | | 2021년 7월 12일 | 2021년 10월 16일 | HLXC |
Smiley | 류예빈 | | | 2021년 7월 13일 | 2022년 8월 17일 | |
ION | 임지헌 | | | 2021년 10월 24일 | ||
cowha | 장형석 | | | 2021년 8월 21일 | | |
ZXZ | 잔샤오좡 | | | 2022년 5월 31일 | | |
Jihun[T] | 김지훈 | | | 2021년 9월 8일 | 2021년 10월 16일 | |
OFF | 이재인 | | | 2021년 9월 11일 | 2022년 10월 19일 | |
Apr1ta | 리위안징하오 | | | 2022년 5월 31일 | 2022년 8월 7일 | |
Jimmy | 레이위자 | | | |||
Kaneki | 류녠 | | 2022년 10월 19일 | |||
XRAY | 저우시얀 | | ||||
Kyo | 쿵춘팅 | | ||||
Xerneas | 리셴야오 | | (→ | 2022년 8월 7일 | | |
SeoKichan | 서기찬 | | | 2022년 8월 14일 | 2022년 10월 18일 | |
M1ka | 류지밍 | | | 2022년 10월 19일 |
3.2. 스태프 연혁
스태프 연혁 | ||||||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팀 |
ExtrA | 정자원 | 매니저 | | 2020년 2월 26일 | 2021년 6월 9일 | |
Jsong | 왕준송 | 감독 | N/A | 2021년 3월 | ||
Sky | 허쥔젠 | 코치 | | 2020년 5월 1일 | 2021년 7월 13일 | |
SAND | 함정민 | 코치 | | 2021년 7월 13일 | 2021년 12월 9일 | |
thor | 판치 | 코치 | | 2021년 7월 23일 | 은퇴 | |
thor | 판치 | 코치 | 은퇴 | 2022년 5월 31일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43484c> | 오버워치 컨텐더스 아카데미 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 | | |||
A 활동 중단 및 해체 B 아카데미 파트너십 종료 | }}}}}}}}} |
[1] GZ 아카데미는 뭇 리그 팀들의 아카데미 팀들처럼 광저우 차지와 같은 운영 주체가 운영하던 팀이고, T1W는 기존 팀이 계약을 통해 아카데미 팀이 된 것이기 때문에 둘은 엄연히 다른 팀이다. GZ 아카데미가 건재하던 시절에도 The One Winner라는 팀은 존재했고, GZ 아카데미 활동 중단 후 광저우 아카데미 팀이라는 지위와 약칭(GZA)만 The One Winner가 가져간 것.[T] 투웨이 선수[T] [T]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