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7:29:30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Sereno의 음반}}}에 대한 내용은 [[Thanks to(Sereno)]]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anks to(Sereno)#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anks to(Sereno)#|]]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블루 아카이브의 OST}}}에 대한 내용은 [[Thanks to(블루 아카이브)]]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Thanks to(블루 아카이브)#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Thanks to(블루 아카이브)#|]]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Sereno의 음반: }}}[[Thanks to(Sereno)]]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anks to(Sereno)#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anks to(Sereno)#|]]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블루 아카이브의 OST: }}}[[Thanks to(블루 아카이브)]]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Thanks to(블루 아카이브)#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Thanks to(블루 아카이브)#|]]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TISLAND 의 음반 (발매일순) 일본 싱글 컬렉션 (2013.09.18) → 한국 데뷔 6주년 기념 스페셜 미니 (2013.09.23) → 한국 미니 5집 (2013.11.18)
Thanks To 6th Anniversary Special Mini Album <colbgcolor=#000><colcolor=white> 발매일 [[대한민국|]] 2013년 9월 23일 가수 레이블 앨범코드 CMCC10160 프로듀서 한성호 곡수 5곡 재생시간 16:23 타이틀곡 Memory
1 . 개요2 . 수록곡2.1 . Memory2.2 . Falling Star2.3 . Try again2.4 . Always with you
Thanks To [ 펼치기 · 접기 ] FT 아일랜드 데뷔 6주년 기념 스페셜 미니 앨범 [THANKS TO (땡스 투)] FT아일랜드가 2013년 9월 23일 데뷔 6주년 기념 스페셜 미니 앨범 ‘THANKS TO’를 발표한다. 타이틀 곡은 이홍기가 작사 작곡한 ‘Memory(메모리)’로 FT아일랜드가 국내에서 타이틀곡 포함 전곡 자작곡 음반을 발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Memory(메모리)’와 ‘Always with you(올웨이즈 위드 유)’ 등 이홍기 자작곡 두 곡과 이재진 작사 작곡의 ‘Falling Star(폴링 스타)’, 리더 최종훈 작사 작곡의 ‘Try again(트라이 어게인)’ 까지 총 4곡이 수록된다.
한국의 남성 밴드 FT아일랜드의 한국 데뷔 6주년 기념 스페셜 미니 앨범이다. 2013년 9월 23일 발매되었다. 전곡이 멤버들의 자작곡으로 이루어진 첫 국내 앨범이다. 정규 4집이었던 FIVE TREASURE BOX 이후 1년만에 발매하는 앨범이었기에 활동에 대한 기대도 컸지만 딱 2주동안만 방송 활동을 해 팬들의 원성이 자자했다. 그래도 곡의 퀄리티가 좋아 팬들 사이에서는 손에 꼽는 명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rowcolor=white> 트랙 곡명 작곡 작사 비고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1 Memory 이홍기 / R307 이홍기 / 한성호 / R307 2 Falling Star 이재진 / Vinyl House 이재진 / 이희승 / Vinyl House 3 Try again 최종훈 최종훈 / 이희승 4 Always with you 이홍기 / 한승훈 이홍기 / 한승훈 5 Memory (Inst.) 이홍기 / R307
이홍기 작사 작곡의 타이틀곡 ‘Memory(메모리)’는 피아노 선율에 어우러진 후렴부의 강렬한 기타 사운드가 돋보이는 록 곡이다. 절제하는 연주와 완성된 사운드, 곡이 가진 에티튜드에 집중한 곡으로 가사는 떠나간 연인을 잊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남자의 심정을 담고 있다. 이홍기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가 곡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 시킨다.
[ 가사 보기 ] 「Memory」 가사
네가 생각나는 모든걸 지워도 추억이 안버려져 지금까지 우리 Drama가 끝나도 Love is painful 네가 선물한 시계가 매일 나를 깨우고 다시 또 난 잠들지 못해 Oh Baby Yeah 내겐 Love is pain 사랑에 베인 난 한발짝도 뗄 수 없지만 So 잡지도 못해 놓지도 못해 It's love 기로 길을 잃었어 사랑이 싫어 In my memory 네 목소리 지우기 In my memory 이름마저 지우기 아플 만큼은 충분히 아픈 것 같은데 매번 너를 부르다 무너져 가 해가 뜨고 지고 계절이 바뀌면 괜찮을 줄 알았어 네가 있던 자리가 깊게 패어서 아물지 않아 소파 위의 네 핀이 자꾸만 나를 찌르고 아파서 난 웃지를 못해 Oh Baby Yeah 내겐 Love is pain 사랑에 베인 난 한발짝도 뗄 수 없지만 So 잡지도 못해 놓지도 못해 It's love 기로 길을 잃었어 사랑이 싫어 In my memory 네 목소리 지우기 In my memory 이름마저 지우기 아플 만큼은 충분히 아픈 것 같은데 매번 너를 부르다 무너져 가 못해준게 많아서 못되게 군게 많아서 네게 해준대로 받나봐 미안한게 많아서 비난받을게 많아서 네게 했던 말을 못 잊나봐 In my memory 네 목소리 지우기 In my memory 이름마저 지우기 In my memory 너의 눈물 자욱이 In my mermoy 너를 안던 기억이 지울만큼은 충분히 지운것 같은데 너를 놓지 못하고 부서져 가
2.2. Falling Star 이재진 작사 작곡의 ‘Falling star(폴링 스타)’는 꿈을 꾸는 듯한 분위기의 밝은 곡으로 물 흐르듯 진행되지만 곳곳에 느껴지는 리듬들이 매력적인 이모 펑크(emo punk) 스타일의 곡이다. 밝고 희망적인 느낌이 특징이며 BPM190의 빠른 곡이다. 희망적인 꿈을 그리는 가사가 돋보이며, 어렸을 적 꾸었던 꿈을 떠올리게 한다.
[ 가사 보기 ] 「Falling Star」 가사
What What What're you dreaming Tell me 원해왔던 모든 걸 잊어왔던 모든 걸 You'll find it What What What're you dreaming Take it 되찾을 수 있을까 동화 속의 Neverland 커진 키만큼 작아졌던 꿈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기도하곤 했나 봐 어른이고 싶어서 뭐든 될 것 같아서 너무 서둘렀나 봐 행복들을 흘리고 사랑을 또 놓치면서 멈추지도 않고 앞만 보고 달렸나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You don't know that freedom (멈추지도 않고 앞만 보고 달렸나)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It's freedom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나를 잃어가나 봐 가진 건 많아져도 걱정들만 느나 봐 욕심만 커진 거야 그림 카드 한 장에 세상을 다 가진 듯이 설레이며 잠든 그날 밤은 잊었나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You don't know that freedom (설레이며 잠든 그날 밤은 잊었나)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It's freedom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What What What're you dreaming Take it 되찾을 수 있을까 동화 속의 Neverland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You don't know that freedom (멈추지도 않고 앞만 보고 달렸나)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It's freedom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Catch a falling star
2.3. Try again 최종훈 작사 작곡의 ‘Try again(트라이 어게인)’은 밴드 사운드의 파워를 느낄 수 있는 강한 록 곡으로, 진한 기타 연주가 돋보이는 멜로디컬한 곡이다. 복잡한 세상 속에서 스스로의 힘과 용기로 진실을 얘기한다는 내용의 가사로 어떤 시련이 와도 부딪쳐 이겨낼 수 있다는 의지를 노래하는 곡이다.
[ 가사 보기 ] 「Try again」 가사
동전의 양면 같은 선택 앞에 작아진 무너진 거울 속 나를 또 본다 실수가 두려워진 아이처럼 걱정이 불안이 발목을 붙잡고 섰다 눈을 크게 떠 바로 봐 거칠게 달려가 멈추지 마 숨지도 마 원하는 모든 걸 다 얻어내 Do it again Try again 어지러운 세상 그 속에 던져진 너와 나 부딪혀 이겨내 다시 일어설 수 있어 Do it again Try again 이겨내지 못할 상처는 처음부터 없었어 내 품 안에 지난 기억까지 갖고 떠난다 숨겨진 진실보다 소리만 큰 거짓이 위선이 세상에 물들고 있다 나서기 부끄러운 소년처럼 용기도 정의도 등 뒤에 숨긴 채 산다 눈을 크게 떠 바라봐 거칠게 달려가 멈추지 마 보여줘 봐 원하는 모든 걸 다 얻어내 Do it again Try again 어지러운 세상 그 속에 던져진 너와 나 부딪혀 이겨내 다시 일어설 수 있어 Do it again Try again 이겨내지 못할 상처는 처음부터 없었어 내 품 안에 지난 기억까지 갖고 떠난다 다시 Try again Do it again Try again 내가 사는 오늘 하루가 부끄럽지 않게 날 위해 선택해 나는 뭐든 할 수 있어 Do it again Try again 어지러운 세상 그 속에 던져진 너와 나 부딪혀 이겨내 다시 일어설 수 있어 Do it again Try again 이겨내지 못할 상처는 처음부터 없었어 내 품 안에 지난 기억까지 갖고 떠난다 다시 Try again
2.4. Always with you 이홍기 작사 작곡의 ‘Always with you(올웨이즈 위드 유)’는 데뷔 후 6년 동안 한결 같은 사랑을 주는 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곡이다. 팬들을 생각하며 가사를 만든 노래.
[ 가사 보기 ] 「Always with you」 가사
단 한번의 눈빛에 사랑이 보이고 단 한번의 손짓에 마음이 느껴져 Baby Oh 다가갈게요 Baby Oh 그대 안을 수 있게 그대 미소 안에서 나를 찾아보고 그대 눈물 속에서 나를 돌아보고 Baby Oh 걱정말아요 Baby Oh 항상 지켜줄게요 오랜 기다림들과 수많은 어려움 속에 함께 웃을 수 있는 사랑 또 없겠죠 모든 것을 줄 수 있어서 사랑할 수 있어서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 함께 한다면 Always with you 너무 잘 알고 있죠 그대의 마음을 나만을 기다려준 그대의 사랑을 Baby Oh 걱정말아요 Baby Oh 항상 지켜줄게요 오랜 기다림들과 수많은 어려움 속에 함께 웃을 수 있는 사랑 또 없겠죠 모든 것을 줄 수 있어서 사랑할 수 있어서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 함께 한다면 Always with you 너무 보고 싶었어 매일 그리워했어 지금 듣고 있나요 우리의 사랑을 오랜 기다림들과 수많은 어려움 속에 함께 웃을 수 있는 사랑 또 없겠죠 모든 것을 줄 수 있어서 사랑할 수 있어서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 함께 한다면 Always with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