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2:58:53

T1/철권 8

파일:T1 로고.svg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티원
T1
창단 2024년 5월 17일
모기업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
CEO [[조 마쉬|조 마쉬
Joe Marsh
]]
COO 안웅기
Josh
약칭 T1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e4002b><colcolor=#fff>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형(프로게이머)|이주형
EDGE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Ahsan Ali|Ahsan Ali
Ahsan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파일:T1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eague-of-legends.png 파일:valorantlogo.png 파일:tekken8_logo_nonum.png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T1
T1 Esports Academy
T1
T1 VALORANT Academy
T1 T1
}}}}}}}}} ||


1. 개요2. 상세3. 역사 및 역대 시즌4. 기타

[clearfix]

1. 개요

T1 소속 대한민국철권 시리즈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T1.

2. 상세

2024년 5월 17일 Esports World Cup 2024를 위하여 창단된 팀으로, 공식 x에서도 사우디컵 기간 동안 T1의 선수로 활동한다고 명시하는 등 현 시점에서는 장기적으로 유지될 팀인지에 대해서는 불투명하다.

3. 역사 및 역대 시즌

2024년 5월 17일 창단 발표와 함께 한국에서 2024 ATL DAY 4 우승을 기록, S1에서 모든 DAY 토너먼트를 8강 이상의 성적으로 마무리 하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한 EDGE와 파키스탄의 BAAZ GAUNTLET에서 준우승을 기록한 Ahsan Ali를 영입했다.

발표 당일 EDGE의 방송에 의하면 사우디컵이 목표인 팀인 만큼 대회 지원도 현재 철권 프로팀들과는 방향이 약간 다르다는 것이 알려졌는데, 5월 24일 대부분의 프로 선수들이 참가하는 마스터 티어 TWT 대회인 콤보 브레이커에 불참하고 ATL 시즌 파이널에 참가하며, 해외 대회 중에서도 사우디컵 티켓이 주어지는 드림핵 서머, 드림핵 달라스와, 한국에서 열리는 ATL 슈퍼 토너먼트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한다. 사우디컵 티켓을 확보한 이후의 대회 지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6월 2일 열린 E스포츠 월드컵 티켓 8장이 걸린 대회인 드림핵 댈러스, ATL 슈퍼 토너먼트에 EDGE가 참가했으나 모두 진출권 획득에 실패했다.

여기에 Ashan Ali는 T1에 영입된 직후부터 대부분의 대회에 비자 문제로 오고 있지 않으며, 댈러스 직후 진출권이 걸린 대회인 ATL 슈퍼 토너먼트에서도 파키스탄 선수들이 전원 불참하게 되었다는 소식이 들리며 파키스탄 선수들의 비자 이슈에 대한 배경 지식이 전혀 없이 컨택한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받고 있다. 이후 Ashan Ali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비자 자체는 발급이 되었는데, 귀국하는 항공사가 다르기 때문에 출국하는 항공사에서 받아주지 않았다고 한다.

4. 기타

다른 팀도 아니고 네임드 e스포츠 구단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명문팀인 T1이 격투게임, 그것도 철권팀을 창단했다는 소식에 각종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사실 비단 철권뿐 아니라 T1은 TFT, 포트나이트 등 Esports World Cup을 위해 다양한 팀을 단기적으로 함께 창설한 상태다. 사우디컵은 참가한 종목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클럽 포인트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롤, 발로란트를 제외하면 현 시점에서 고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팀이 없는 T1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라도 종목을 늘릴 필요가 절실했다. 그렇기 때문에 T1이 다양한 종목의 증설에 진심으로 관심을 보인 것이 아닌 사실상 사우디컵 대비를 위해 임시적으로 창설한 팀이므로 사우디컵이 지나서까지 유지될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설령 유지하더라도 조마쉬 체제에서 현재까지 많은 팀들이 해체를 거두었기 때문에 마이너한 게임인 철권 특성상 장기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은 더더욱 낮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