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니셜D의 유로비트곡}}}에 대한 내용은 [[SPACE BOY]]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PACE BOY#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PACE BOY#|]]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로켓 다이어리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Space Boy(로켓 다이어리)]]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pace Boy(로켓 다이어리)#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pace Boy(로켓 다이어리)#|]]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니셜D의 유로비트곡: }}}[[SPACE BOY]]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PACE BOY#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PACE BOY#|]]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로켓 다이어리의 노래: }}}[[Space Boy(로켓 다이어리)]]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pace Boy(로켓 다이어리)#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pace Boy(로켓 다이어리)#|]]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매일 + | 연재 종료 | 브랜드웹툰 | PLAY 툰 | |||||||||
문서가 있는 연재작 분류 | |||||||||||||
글로벌 WEBTOON 서비스 언어 | |||||||||||||
영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정체) · 일본어 태국어 · 인도네시아어 · 스페인어 · 프랑스어 · 독일어 |
보러가기
1. 개요
영어권 라인웹툰에서 연재되는 공상과학 만화다. 겨레 자주 보이는 공상과학의 탈을 쓴 판타지 보다는 좀다 현실성 있는 공상과학물이라 긍정적으로 평과되는 웹툰이다. 작가는 Stephen McCranie라고, 다른 연재처에도 연재를 한 경력이 있다고 한다.2. 줄거리
3347년 한 소행성에 개척지 출신인 16세 소녀 애이미는 아버지가 광물체취 회사에서 해고되어서 가족과 함께 지구로 이사가게 된다. 하지만 가는데 거리는 30년이라 모두 다 냉동 수면에 들어가야 한다. 친구들은 다 성인이 되고 가족 말고는 지구에 애이미는 외롭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한다.3. 세계관
굉장히 신선하다. 옛날 많이 보던 "서기 3000년대에" 묘사지만 현대와 미묘하게 차이가 있으면서도 비슷한면도 많다. 예를 들어서 작중에 스마트폰 대신 나오는 넷기어라는 장치는 현대 스마트폰에 빗대어서 쓸수 있고 대중 교통도 많이 바뀐건 없다. 가상 현실도 많이 발달한걸 보여주지만 그의 장단점을 둘다 여과없이 보여준다. 또한 의수기술도 엄청 발달된듯 한데, 작중 한 박사의 묘사로는 의조 팔다리를 쓰는 어린 아이들은 의수착용 사실을 모를정도라고 한다.또한 지명도 모두 다 현실세계 지명을 서로 섞어서 쓴다. 작중 주요 무대는 코코모시 지만 베트나메리카, 브리타리아, 니홍골, 바빌로집트 등의 국명들이 뜨는걸로 봐서 또 다른 지구라고 봐도 될 정도다.
세계관 떡밥이 무수한데, 요약하자면:
* FCP는 무슨 조직인지
* 올리버는 누구인지
* 그 300년거리에 있는 Arlo 탐사선에 무슨 일이 일어났으며 탐사선이 조사하러간 아티팩트의 정체는 무엇인지
그 셋 정도로 요약이 된다.
4. 등장인물
애이미: 주인공. 생물학적으로 16세인 소녀다. 특이하게 사람들을 보면 맛을 연상한다고 한다. 뭔가 수상한 사람이면 독이 섞인 맛이라든가. 실제로 공감각 현상의 한 부류로 볼수 있는 정도의 묘사다. 모험감이 다소 크며 소행성 출신으로써 지구의 자연에 크게 감동하는 묘사가 많다. 처음엔 중력이 약한 소행성 출신이라 운동신경은 떨어지게 묘사되지만 나중에는 생존력 최고급으로 각성한다.올리버: 남주인공. 18세 백발소년이다. 애이미가 유일하게 "맛"을 해아릴수 없는 사람이다. 그림에 소질이 있지만 학교에선 없는사람 취급한다. 뭔가 미스테리가 많은 소년이다.
제마: 소행성에서 사는 애이미의 소꿉친구. 하지만 애이미가 지구로 떠난뒤 30년동안 완전히 아줌마가 되어버렸다. 애이미가 화상통화로 가끔식 연락하면 30년 세월이 순간 사라지면서 친구가 되어준다. 하지만 애이미에겐 자신이 떠난, 그리고 다신 돌아갈수 없는 고향을 상기시키는 사람이기도 하다. 애이미 말로는 파인애플과 할라페뇨 고추가 섞인맛 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