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22:27:35

San Francisco(노래)

파일:coverthing.jpg
{{{#81626E 'Circle Thinking '}}}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곡명 러닝타임
1 <colbgcolor=#fff,#191919> January 24th <colbgcolor=#fff,#191919><colcolor=#81626E> 02:01
2 I Fucking Hate Sports 01:53
3 San Francisco 03:50
4 One by Metallica 01:58
5 Sleep Paralysis 01:39
6 Happy Anniversary 01:34
7 You + Me = Slipknot 04:30
}}}}}}}}} ||
<colbgcolor=#0F090B><colcolor=#81626E> San Francisco
발매일
[[캐나다|]][[틀:국기|]][[틀:국기|]] 2015년 7월 31일
러닝타임 3:50
작사/작곡 I Hate Sex
아티스트 I Hate Sex
장르 스크리모, 미드웨스트 이모
수록 앨범
EP 1집
[[Circle Thinking|
Circle Thinking
]][[Circle Thinking#|
Circle Thinking
]][[Circle Thinking#s-|
Circle Thinking
]]

1. 개요2. 가사3. 해석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밴드 I Hate Sex의 EP 1집 Circle Thinking에 수록된 3번 트랙이다. 제목은 한국어로 샌프란시스코 이라는 뜻이다.

2. 가사

{{{#81626E {{{#!folding [ 가사 보기 ] San Francisco
샌프란시스코
Walked 10 miles to a hole in the ground
10마일을 걸어 땅속 구멍[1]으로 갔어
The only ghosts that I see are pieces of you still reflected in me
내가 보는 유일한 유령은 아직도 내 안에 반사된 너의 조각들이야
I hope you destroy yourself
니가 스스로를 파괴했으면 좋겠어
Drive fast into the burning bridge
불타는 다리로 빠르게 달려가
And leave me on the side of the road
날 도로 옆에 버려둬
But you'll live
하지만 넌 살거야
It will be a ritual of remembering
기억의 의식이 될 거야
Hang your family from your living room ceiling fan with your small intestine
너의 가족을 너의 소장으로 거실 천장 선풍기에 매달아놔
But they'll live and it will be
하지만 그들도 살거야
A ritual of remembering
기억하는 의식이 될거야
You said no matter how many candles I light in a black mass
너는 내가 악마의 의식에서 몇 개의 촛불을 켜든
It will never change everything that i still lack
내가 부족한 모든 것들을 바굴 순 없을거라 했지
.
.
.
.
.
.
.
.
But I'm still waiting for pieces of your ear in the mail
하지만 난 아직 네 귀 조각을 우편으로 기다리고 있어[2]
And I'm still carving "I am my own god"
그리고 난 아직 "나는 나 자신의 신이다"라고
Deeper into my forearm every day
매일 더 깊이 내 팔뚝에 새기고 있어
So what the fuck has changed?
그래서 씨발 뭐가 바뀌었는데?
Yellow paint won't save the world, my little Van Gogh
노란 페인트는 세상을 구할 수 없어, 나의 작은 반 고흐[3]
And you deserve so much happiness
넌 많은 행복을 받을 자격이 있어
You deserve so much more than this
넌 이 모든 것보다 훨씬 더 받을 자격이 있어
You deserve so much more than this
넌 이 모든 것보다 훨씬 더 받을 자격이 있어
}}}}}} ||

3. 해석

이 노래는 사랑하는 사람이 자기 파괴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도 그들을 막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화자는 그 사람이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계속 상처를 주는 걸 알면서도 스스로를 해치는 것에 대해 화가 나고 씁쓸함을 느끼나, 그래도 그 사람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며 그 자신의 가치를 알기를 바라고 있다.
And I'm still carving "I am my own god"
Deeper into my forearm every day
위 구절은 노래의 화자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는 것처럼 느끼고, ‘자신의 신’이라고 느끼기 위해 가사에서 묘사된 신체적인 자해를 통해서든, 아니면 자기 파괴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로든 자해를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출처: Genius

[1] =무덤[2] 빈센트 반 고흐는 알고 지내던 창녀에게 자신의 자른 귀를 우편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반 고흐가 더 행복해지기 위해 노란색 페인트를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 그의 의사의 의학 기록에 따르면 그는 페인트를 먹고 테레빈유를 마셔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이 노래의 맥락에서 이 구절은 자신의 자살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