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6 16:30:57

SCP-2565

본 문서는 SCP 재단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내용은 SCP 재단 위키에 등재된 소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CL 호환 문제로 인하여 SCP 재단 위키의 내용을 그대로 등재할 수 없으며, 추가 해석이 포함되어 번역된 사안은 작성이 가능합니다. 작성 양식은 템플릿:SCP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SCP 재단
SCP-2564
Willow Glen Community Hospital
(-)
Allison Eckhart-Allison Eckhart
Allison Eckhart
(앨리슨 에크하트)
SCP-2566
Demurrage
(-)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SCP 재단 로고.svgSCP 재단
앨리슨 에크하트 번호 앨리슨 에크하트
별명 앨리슨 에크하트(Allison Eckhart)
앨리슨 에크하트 등급 케테르(Keter)
원문 원문 / 번역
저자 taffeta

1. 개요2. 변칙성3. 참상4. 기타

1. 개요

SCP 재단의 항목. 격리 대상으로 지정되기 전 재단에서 5년간 직원으로 일했던 인물 "앨리슨 에크하트(Allison Eckhart)"를 가리킨다.

2. 변칙성

앨리슨 에크하트는 어느 날 '자동대유식 의미론적 포인터'가 되는 변칙성을 발현하였다.
그러니까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면, "앨리슨 에크하트"의 '일부' 및 '부산물'이 앨리슨 에크하트와 개념적으로 같은 존재가 되는 것이다. 물론 단순히 접촉만 해도 분자 단위에서 물질 교환이 발생하므로, 실제로는 앨리슨 에크하트와 그 부산물, 그리고 이들이 접촉한 모든 대상이 전부 앨리슨 에크하트라는 인물과 동일시되는 것.

3. 참상

문서에 서술된 바와 토론란의 원문을 비교한 바에 따르면, 이런 변칙성의 결과 다음과 같은 참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4. 기타

원문에서 언급된 비슷한 소재를 다룬 SCP로는 SCP-2719[1], SCP-1539[2]가 있다. 특히 SCP-2719는 이 SCP와 더불어 '포인터'로 묘사되는 두 개체 중 하나이다. [3]

원문 역시 SCP-2565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정이라 원문에선 Allison Eckhart라는 단어가 70번 정도 등장한다. 게슈탈트 붕괴 오기 딱 좋은 문서. 그래서 작가가 토론란에 앨리슨 에크하트를 제외한 평범한 버전도 올려놓았다.

여담으로 틀에서 이상함을 느꼈듯, SCP 재단 3번째로 일련번호가 SCP-xxxx 식이 아닌 SCP다.[4]


[1] '안쪽'. 지성이 있는 생물이 SCP-2719에게 영향을 받으면 안쪽이 되거나 안쪽으로 들어간다...라는 내용의 문서. 이해하기 힘든 SCP로는 최상위권을 달린다. 케테르 등급.[2] '의미론적 분리기'. 존재의 정체성을 떼어놓거나 서로 뒤바꿔놓는 아파트 지하 세탁실. 조명의 정체성이 연필에 달라붙어 연필이 작동하지 않는 조명 취급을 받고, 세탁기의 정체성이 재단 요원에게 달라붙어 분명 사람인데 세탁기 취급을 당해 그냥 죽어서 썩어가고 있는데도 그냥 세탁물 냄새 취급을 받고, 그 요원의 정체성은 지갑에 달라붙어 재단에선 지갑한테 생명 신호가 없다며 온갖 치료를 하고 있다. 안전 등급.[3] SCP-2565는 '자동제유식 의미론적 포인터'라고 묘사되는데, 제유법(synecdoche)이란 하위개념을 가리키기 위해 상위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월드컵에서 한국이 일본을 이겼다' 라는 문장에서 '한국'은 '대한민국 국가대표 축구팀'에 대한 제유이다. 여기서는 '앨리슨 에크하트의 체액', '앨리슨 에크하트의 체액이 혼입된 대기', '앨리슨 에크하트의 체액이 혼입된 대기를 마신 사람들' 등등 제유적으로 '앨리슨 에크하트'라고 부를 수 있는 대상들이 실제 가진 의미까지도 '앨리슨 에크하트'가 되도록 바뀐 것이다.[4] 첫번째는 SCCP-2930('크로스 시 시 시 시청'). 크로스 시에서 한 회의 기록을 언급한 전자 문서로, 기독교 관련 글을 제외한 모든 전자 문서에서 C가 2번 기록되는 현상이다. 두번째는 SCP-2864. SCP-2521은 어쨌든 그림으로나마 표시하고 있으므로 예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