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folding [ 전 멤버 ]
{{{#!folding [ 한국 음반 ]
- [ 해외 음반 ]
- ||<tablewidth=100%><width=1000><bgcolor=#fbe8d0> ||
- [ 일본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 ||<width=2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a694e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margin: 5px 0px; border: 1px solid #fff"
- [ 참여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2024. 07. 29. | → | 에필로그 EP RIIZING : Epilogue 2024. 09. 04. | → |
RIIZING : Epilogue Epilogue EP | ||
| ||
<colbgcolor=#d79f70><colcolor=#000> 발매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2024년 9월 4일[디지털] |
2024년 9월 19일[CD] | ||
가수 | RIIZE | |
기획사 | SM엔터테인먼트 | |
제작 부서 | 위저드 프로덕션 | |
유통사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곡 수 | 9곡 | |
재생시간 | 27:18 | |
추가 수록곡 | [[RIIZING : Epilogue#Combo| ]] | |
타이틀곡 | [[RIIZING#Boom Boom Bass| ]] |
[clearfix]
1. 개요
2024년 9월 4일에 발매한 RIIZE의 EP. 같은 해 6월 17일에 발매한 미니 1집 'RIIZING'의 에필로그 버전 리패키지이자, 데뷔 1주년을 기념하는 음반이다. 청춘의 고통과 성장통을 주제로 데뷔 이후 약 1년 간 달려온 라이즈의 성장기 중 한 챕터를 마무리한다.2. EP 소개
Epilogue E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EP 소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 ‘허슬’하게 달려온 RIIZE, 데뷔 1주년 기념 음악 선물! |
3. 프로모션
RIIZING : Epilogue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날짜 | 시간 | 내용 | 링크 |
09.00 | 00:00 | |
4. 수록곡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RIIZING : Epilogue Epilogue EP | ||||
2024. 09. 04. (수) 00:00 발매 | ||||
<rowcolor=#000>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01 | Combo 추가 수록 | KENZIE | KENZIE, Ronny Svendsen, Adrian Thesen, Anne Judith Wik, Bobii Lewis | KENZIE, Ronny Svendsen, Pizzapunk |
02 | Boom Boom Bass | 길정진 (Jamfactory), 차메인 (ChaMane) | Peter Wallevik, Daniel Davidsen, Ben Samama, David Arkwright | PhD |
03 | Siren | 방혜현 (Jamfactory) | Benjamin 55, Young Chance, Xydo | Benjamin 55 |
04 | Impossible | 황유빈 (XYXX) | David Wilson, James Abrahart, Dewain Whitmore Jr. | dwilly |
05 | 9 Days | 방혜현 (Jamfactory) | August Rigo, Nick Kandler, Madeindvn, Jin Chan | August Rigo, Madeindvn, Jin Chan |
06 | Honestly | 박지현 (ARTiffect) | Celine Svanbäck Mortensen, Rasmus Gregersen, Daecolm Diego Holland, Mich Hansen | Rasmus Gregersen, Cutfather |
06 | One Kiss | 조윤경 | Daniel Caesar, Simon Janlöv | |
08 | Talk Saxy | danke (라라라스튜디오) | Brice Fox, Tony Ferrari, Jurek Reunamaki, samUIL (Decade +), Tay Jasper, Adrian McKinnon | Jurek, Benjammin 55 |
09 | Love 119 | 정다슬 (ARTiffect), 차메인(ChaMane), 문설리(JF), 조윤경 | Jason Hahs, Colin Magalong, David Wilson, MZMC | dwilly, MZMC |
4.1. Combo
Combo I 01 3' 39" 'Combo'는 다이내믹한 드럼과 강렬한 일렉 기타, 시원한 샤우팅 보컬이 조화를 이루는 얼터너티브 팝 록 장르의 곡으로, 서로의 세상을 뒤집고 소란을 일으키며 부수다가도 결국엔 다시 서로를 완벽하게 만드는 특별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터질 듯한 젊음의 자신감을 느낄 수 있다. |
|
4.1.1. 스페셜 비디오
Combo Special Video |
5. 음반 사양
TRAVEL BAG Ver. [LIMITED EDITIO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FILM Ve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PHOTO BOOK Ve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ASSETTE TAPE Ve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6. 콘셉트 티저
6.1. 이미지
EPILOGUE STORY #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EPILOGUE STORY #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쇼타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은석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성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원빈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소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앤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EPILOGUE STORY #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쇼타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은석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성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원빈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소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앤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EPILOGUE STORY #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
6.2. 비디오
RIIZING : Epilogue Trailer |
7. 평가
라이즈가 재정의하는 것은 케이팝 특유의 미학인 ‘과잉’이다. ‘Boom Boom Bass’와 리패키지곡 ‘Combo’는 현란한 맥시멀리즘과는 확연히 거리를 두는 담백하고 깔끔한 셋업으로 만들어져 팝적인 유려함과 세련을 추구하면서도, 곡의 구조나 정서 표현, 디테일에서 조금씩 과잉의 맛을 놓치지 않는다. 덜어냄과 꽉 채움, 넘쳐남의 사이에서 각 선택지의 장점들만을 잘 뽑아낸다. 이를 통해 보다 분방하게 장르를 혼종하고 또한 한층 더 싱그러운 청춘의 상을 드러내는 데 성공한다. 데뷔 초반의 곡들마저 이 미니앨범의 수록곡이 됨으로써 의구심을 확신으로 바꾸게 한다. 케이팝 방법론의 승리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말조차 무용하게 할 정도의 웰메이드 케이팝 음반으로서의 온전한 매력을 담아내고 있다. {{{-2 2025년 제22회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미묘 - 올해의 음반 후보로 RIIZING : Epilogue를 선정하며 내린 평가 |
8. 성적
8.1. 음원
〈Combo〉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 ||
<rowcolor=#000> 음원 서비스 | 차트 종류 | 순위 |
| HOT100 (30일) | 17위 |
HOT100 (100일) | 28위 | |
일간 차트 | 194위 | |
| 실시간 차트 | 68위 |
| Korea Top Song Daily | 41위 |
| Top 100: 대한민국 | 38위 |
8.2. 음반
8.2.1. 초동 판매량
〈RIIZING : Epilogue〉 초동 판매량 | |||
<rowcolor=#000> 날짜 | 일간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비고 |
9월 19일 (1일차) | 128,0**장 | 음반 발매 | |
9월 20일 (2일차) | 10,6**장 | 138,6**장 | |
9월 21일 (3일차) | 12,1**장 | 150,7**장 | |
9월 22일 (4일차) | 10,8**장 | 161,5**장 | |
9월 23일 (5일차) | 4,3**장 | 165,9**장 | |
9월 24일 (6일차) | 1,3**장 | 167,2**장 | |
9월 25일 (7일차) | 106,4**장 | 273,6**장 | |
초동 판매량 | 273,6**장 | ||
* 순위 및 기록은 집계일 기준 |
- 기존 음반이 약 125만장 이상 초동 판매되었고, 해당 음반은 데뷔 1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발매한 에필로그 음반이기에 초동 집계량은 별 의미가 없다. 홍보없이 발매했으나 이정도 판매량도 대단한 수준. 또한 10주년 기념 앨범을 재발매한 직속 선배 레드벨벳 역시 초동 집계 자체를 하지 않았다.
9. 여담
- 데뷔 최초로 음원·음반 발매 전후 음악방송 활동이 없다.
- 데뷔 싱글 Get A Guitar와 수미상관에 빗대어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일치하는 점이 많다.
- 1번 트랙은 KENZIE가 단독 작사한 곡이자 작곡, 편곡 모두 제1작곡·편곡가로 참여하였다.
- 1번 트랙의 작곡·편곡에 참여한 프로듀서 라인업은 동일하다.
- 타이틀곡은 작곡·편곡에 참여한 프로듀서 라인업이 동일하다.
- 1번 트랙은 따로 발매되었다.
- 타이틀곡에는 원빈, 앤톤의 페어파트가 존재한다.
- 타이틀곡은 기타족 악기 분류에 속하는 악기들을 소재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