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1:58

Pokémon UNITE/팁

파일:PokemonUNITE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5px -11px"
파일:유나이트_포인트.png Pokémon UNITE 관련 정보
시스템 시스템 · 에오스섬 · 게임모드 · 홀로웨어
포켓몬 플레이어블 포켓몬 · 야생 포켓몬
도구 지닌물건 · 배틀 아이템
기타 문제점 및 비판 · · 용어 · 출시 전 정보
}}}}}}}}}||

1. 개요
1.1. 공통
1.1.1. 게임 시작 전1.1.2. 초반 라인전1.1.3. 게임 중반1.1.4. 라스트 스퍼트
1.2. 기타

1. 개요

Pokémon UNITE를 막 시작했다면 알아두면 좋은 팁을 정리한 문서다. 이 팁들은 포켓몬 유나이트 관련된 각종 커뮤니티 등에서 많은 유저들이 늘 뉴비들, 저숙련자들에게 불만을 갖는 사항들이므로 본인이 트롤러가 되고 싶지 않다면 알고 게임하는 것이 좋다. 물론 초보자 입장에서 이해가 쉽지 않은 부분도 있겠지만, 백문이 불여일견, 몇 판 게임을 해보고 나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1.1. 공통

1.1.1. 게임 시작 전

1.1.2. 초반 라인전

1.1.3. 게임 중반

1.1.4. 라스트 스퍼트


===# 테이아창공유적 #===
====# 게임 중반 #====
====# 라스트 스퍼트 #====
===# 레모타스타디움 #===
====# 게임 중반 #========# 라스트 스퍼트 #====

1.2.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0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단, 이것은 예시일 뿐 이다. 같은 유형이라 할지라도 실제 포지션이 다른 경우가 많고, 기술을 뭐로 정하는지에 따라 포지션이 바뀌는 포켓몬도 많아서 결국엔 가능하다면 팀원의 포켓몬을 보고 정하는게 낫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건 팀원의 실력과 호흡이다.[2] 만약 포켓몬 선택창에서 이미 중앙에리어를 선점 당했다면, 성장이 절실한 포켓몬은 쓰지 않는게 낫다.[3] 높은 확률로 뉴비들은 중앙에리어를 단순히 경험치 많은 곳으로 인식하고 중앙에리어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때문에 중앙 에리어에서 파밍하던 포켓몬의 경험치를 뺏어먹기도 하는데, 심하면 트롤링 수준으로 타격이 크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4] 만약 지닌물건이 먹다남은음식(+초점렌즈) 밖에 없다면 높은 확률로 뉴비다.[5] 그리고 지닌물건은 포켓몬에 맞춰서 선택하는게 낫다. 메뉴의 지닌물건 항목에서 추천세트나 커뮤니티를 보고 참고하는게 좋고,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정도 되면 직접 실험해서 본인에게 맞는 지닌물건을 찾는것도 좋다.[6] 특히 레모타 스타디움에서는 요테리를 공격하면 랜덤하게 위/아래 방향으로 도망가는데, 이게 위/아래 라인으로 가는 포켓몬과 상당히 가까워서 게임을 잘 모르는 초보가 잡아버리거나 원딜러가 실수로 치는 경우가 많은데, 사소한 실수이지만 시스템상 경험치가 공유되어서 약간 골치 아파진다. 중앙 에리어의 야생 포켓몬을 온전히 다 잡으면 정확히 5레벨이 되는데, 한 번 이라도 다른 포켓몬이 치면 5레벨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5레벨에 진화하는 포켓몬은 타격이 큰 편.[7] 이유는 위 루트의 에픽 포켓몬보다 아래 루트의 에픽 포켓몬이 더 좋기 때문이다.[8] 성장을 너무 말렸고 레벨업을 해야 강해지는 포켓몬이라면, 그냥 야생포켓몬을 잡으며 레벨업을 하자[9] 아래 루트의 에픽 포켓몬이 더 좋기 때문이고, 위 루트의 에픽 포켓몬은 전부 골을 단숨에 넣게 해주고 보너스로 골에리어에 들어가도 회복을 못받게 만드는 포켓몬인데 7분대면 골게이지가 얼마 차지 않아서 들어가도 해택이 적고, 5명이 몰려오는 것이 아니라면, 막기도 쉽기 때문이다.[10] 혼자가면 죽을 확률이 높다.[11] 하지만, 로토무/레지에레키는 2분대가 아니라면, 어떻게든 막도록 하자. 상대편 포켓몬들이 와서 뇌절하는 것을 기절시키면 게임을 다시 역전시킬수 있다.[12] 점프 패드에서 뛸 준비를 할 때는 시야가 넓어진다.[13] 레지스틸, 레지락, 레지아이스[14] 갈가부기가 주는 경험치는 다부니 17마리가 주는 경험치와 맞먹을 정도로 많기 때문에 갈가부기를 뺏기면 레벨 차이가 많이 난다.[15] 7분 20초에 로토무만 먹고 갈가부기를 놓치게 된다면 오히려 게임이 불리하게 흘러간다. 갈가부기를 놓쳐서 성장이 지체되는데 탑 비퀸 무리마저 상대 팀이 가져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16] 1~2마리 정도는 남아서 어그로를 끄는 것도 좋다.[17] 리그 오브 레전드의 생존핑, 미아핑과 비슷한 용도라고 할 수 있다.[18] "디펜스형이 필요해!"는 더욱. 대부분 딜러를 픽하고 탱커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9] 골을 많이 넣을수록 기여도가 크게 올라가는데, 바쁘게 다니면서 kda가 높고 활약했는데도 골을 못 넣어서 기여도가 낮은 경우도 꽤나 있다. 그리고 특히 힐러 계열은 대부분 공격능력이 바닥을 치기 때문에 열심히 팀을 케어했는데도 기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20] 리플레이로 자신의 플레이를 점검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특히 아쉽게 진 판에 대한 리플레이를 보는게 상당히 도움이 된다.[21] 11레벨과 13레벨에 기술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부가 효과가 붙기 때문이다.[22] 아마추어 팀이라면 팀원 전체가 썬더 먹었다고 신나서 우리팀으로 달려오는 중이라서 상대팀 골대는 자연스레 방치될 수 밖에 없는데, 이것을 노려서 손쉽게 만회 골을 넣을 수 있다.[23] 대표적으로 이상해꽃, 뮤의 솔라빔이나 에이스번의 유나이트 기술. 사정거리도 길고 데미지도 강해서 막타 하나만 보고 픽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24] 랭커들도 대부분 이렇게 올라간 것이다.[25] 에브이는 보라색, 님피아는 분홍색, 글레이시아는 하늘색, 블래키는 검은색, 리피아는 초록색, 일격우라오스는 어두운 빨간색, 연격우라오스는 푸른색 테두리로 표시가 되어있다.[26] 이를테면 당근394, 호빵51956 같은 닉네임. 여담으로 봇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플레이어의 닉네임에 숫자만 붙인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래서인지 이런 경우(...)도 종종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