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트위치 밈}}}에 대한 내용은 [[PogChamp]]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ogChamp#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ogChamp#|]]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트위치 밈: }}}[[PogChamp]]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ogChamp#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ogChamp#|]]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Planogram.보통 POG라고 줄여서부른다.
처음에는 POG라는 단어를 들으면 P.O.G처럼 뭔가 다른 단어의 축약어인 것으로 오인하지만 사실은 그냥 Planogram이라는 단어 철자에서 P와 O와 G를 따서 만든 말이다.
흔히 유통사에서 상품진열도로 쓰인다. 사실 국내에 이것과 관련된 직접적인 일을 하는 사람은 드물다.
만약 POG가 아니라 영어권에서 쓰이는 pog라는 표현의 뜻을 찾고자 왔다면 '쩌네(awesome)' 정도의 의미에 해당된다.
2. 상세
POG를 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1. 배우기는 쉬우나 그 다음이 어렵다.
2. POG 담당자에게 "그림 그리냐"라고 하면
3. 유통회사의 매장에서 오픈 또는 리뉴얼 할 때 진열지도서(POG)가 없으면 안 된다.
POG는 단순히 상품[1]을 프로그램에서 왔다리 갔다리 하는게 아니다.
POG를 관리하는 프로그램(국내에서는 크게 Space Planning과 Spaceman이 있다)은 다음과 같은 정보로 구성 되어 있다.
1. 판매바코드[2]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이 움직인다.
2. 상품(제품)이미지.
3. 유통회사에서 사용한다면 자사의 POS(Point of Sales) 자료의 모든 섹터[3].
4. 점포별로 할당된 POG.
5. 카테고리. 예를 들어 라면이면 대분류는 라면 > 중분류는 봉지라면과 컵라면 > 소분류는 봉지라면 안에 일반라면, 짬뽕라면, 짜장라면, 카레라면, 기타라면 등으로 나눠지는 일종의 도서관 목록 체계와 유사하다.
6. 기타.
3. 직업
POG 담당자는 직접 구인은 정말 흔치 않고 보통 유통사의 경우 자사 점포(지점)에서 영업을 경험한 사람(주로 공산품/그로서리 담당자)이 본사로 발령을 받거나 인턴의 경우 본사에서 바로 채용하여 교육한다. 제조사의 경우 직접 채용이 있긴 한데 POG만 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채용하진 않는다.POG가 뭔지 아는 사람도 흔치 않을 뿐더러 우리나라의 FMCG의 유통 구조상 진열대 내에서의 위치나 머천다이징 보다는 가격이 가장 중요한 소비자의 구매 원인이므로 크게 각광 받는 직군이거나 직업(?)이거나 직무가 아니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POG 담당자가 상품을 어디에 위치 시키느냐에 따라서 제조사의 제품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
4. 기타
알려진 바로는 이마트등 HYPER(대형마트)에서는 Space Planning을 쓰고 롯데쇼핑의 슈퍼사업본부 등 SSM에서는 닐슨의 Spaceman을 쓴다.[1] 제조사에서는 흔히 제품이라 칭함[2] 흔히 얘기하는 13자리 상품바코드. POG 담당자들은 보통 88코드라고 부른다. 카더라. 이유는 판매바코드의 우리나라 국가 번호가 880이라서 우리나라 상품은 보통 880으로 시작하기 때문임.[3] 판매액, 판매량, 재고량, 발주량, 입고예정량, 일평균 판매량, 재고일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