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1일부터 10월 13일까지 열린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4 PUBG WEEKLY SERIES: Phase 2 문서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PWS 하위 리그에 대한 내용은 PUBG LVUP SERIES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eff923><tablebgcolor=#eff923> | PUBG e스포츠 지역 리그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메이저 리그 | |||||||||||||||||||||||||||||||||||
한국 PWS | 아메리카 PAS | EMEA PEC | 중국 PCL | APAC PAQ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마이너 리그 (APAC) | ||||||||||||||||||||||||||||||
베트남 PVS | 태국 PTS | 대만·홍콩·마카오·일본·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 PMS | ||||||||||||||||||||||||||||||||||
하부 리그로 강등된 지역 리그 | ||||||||||||||||||||||||||||||||||||
오세아니아 LPL | ||||||||||||||||||||||||||||||||||||
폐지된 대회 | 국제 대회 | }}}}}}}}} |
<colbgcolor=#151042><colcolor=#fff> 펍지 위클리 시리즈 PUBG WEEKLY SERIES | |||
정식 명칭 |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2021~2022) PUBG WEEKLY SERIES: KOREA (2023) PUBG WEEKLY SERIES (2024~) | ||
출범 연도 | 2021년 ([age(2021-01-01)]주년) | ||
지역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운영 주체 | 크래프톤 | ||
컬러 | ■ | ||
약칭 | PWS | ||
메인 스폰서 | 조위기어, AZLA | ||
스폰서 | WITHMUU, STUDIO AF, 아이센스블랙라벨PC존 | ||
온라인 | |||
해외 송출 플랫폼 | [1] | ||
경기장 | 온라인[2] (2021~) 잠실 비타500 콜로세움[3] (2022~) | ||
PGC 포인트 (1~8위) | <rowcolor=#fff> 위클리 스테이지 | 그랜드 파이널 | |
<rowcolor=#fff> 페이즈 1 | 페이즈 2 | ||
30 | 100 | 120 | |
20 | 50 | 60 | |
10 | 30 | 35 | |
5 | 25 | 30 | |
- | 20 | 25 | |
- | 15 | 20 | |
- | 10 | 15 | |
- | 5 | 10 | |
최근 우승팀 | KWANGDONG FREECS (2024 Phase 2) | ||
최다 우승팀 | KWANGDONG FREECS (6회) | ||
하위 대회 | PUBG LVUP SERIES | ||
[clearfix]
1. 개요
PWS: EAST ASIA 소개 |
펍지 주식회사에서 주관하는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한국 지역 대회이다.
2020년 PUBG Korea League가 폐지되고 한국 대표 선발전 형식으로 전환되었으나, 3번의 PUBG Continental Series를 통해 선발전의 문제점이 부각되며 다시 리그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커지게 되었고, 일본과 대만/홍콩/마카오 지역 팀들의 세계대회 경쟁력 제고의 필요성과 맞물리게 되면서 2021년부터 한국, 일본, 대만/홍콩/마카오 지역을 통합한 동아시아 지역대회로 개편이 되었다. 그러나 오히려 하향평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했고, 2023년 대만 PML의 부활, 일본 역시 PJC의 규모가 PJS 수준으로 커지며 한국 지역 리그로 사실상 확정되었다. 이후 뉴스 기사에서 EAST ASIA가 아닌 KOREA로 변경되며 한국 지역 리그로 확정되었다.
2024년부터는 정식 명칭이 PUBG WEEKLY SERIES: KOREA에서 PUBG WEEKLY SERIES로 간소화되었다.
많은 프로팀들이 해체와 창단을 반복하는 가운데, 현재는 12개의 프로팀과 PUBG LVUP SERIES라는 PWS 하위리그를 통과해 올라온 아마추어 4팀이 경쟁하게 된다.
2. 참가 팀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151042> | PWS | }}}''' | |
'''{{{#!wiki style="color: #151042; margin:0 -10px -5px;" dark-style="color: #ddde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프로 시드 | |||
DANAWA ATTACK ZERO | T1 | Gen.G | Dplus KIA | |
AZLA PENTAGRAM | KWANGDONG FREECS | GNL ESPORTS | IFYOUMINE GAME PT | |
Eagle Owls | Sentinel | e-sports FROM DAEJEON | GameCoach Academy | |
PLS (일반) 시드 | ||||
Overwhelm | AURA | Divine tM | SUPERFECT Academy | |
해체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 }}} }}}}}}''' |
3. 스토브리그
PWS 역대 스토브리그 |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4. 로스터
자세한 내용은 PWS/참가팀 로스터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역대 기록
5.1. 역대 대회
PWS 역대 로고 | |||
2021 | 2021 ~ 2022 | 2023 | 2024 ~ |
PWS 역대 명칭 | ||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2021~2022) | PUBG WEEKLY SERIES: KOREA (2023) | PUBG WEEKLY SERIES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bordercolor=#151042><tablebgcolor=#fff,#191919> | PUBG WEEKLY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 |||
2021 프리시즌 | 페이즈 1 | 페이즈 2 | 2022 페이즈 1 | 페이즈 2 | |||
PUBG WEEKLY SERIES: KOREA | ||||
2023 페이즈 1 | 페이즈 2 | ||||
PUBG WEEKLY SERIES | ||||
2024 페이즈 1 | 페이즈 2 | }}}}}}}}} |
5.2. 역대 입상팀 및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 <table width=320><tablebordercolor=#151042><tablebgcolor=#151042> | PUBG WEEKLY SERIES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1 프리시즌 | 2021 페이즈 1 | 2021 페이즈 2 | 2022 페이즈 1 |
Afreeca Freecs ★ ★ | Gen.G ★ | KWANGDONG FREECS ★ ★ ★ | ||
2022 페이즈 2 | 2023 페이즈 1 | 2023 페이즈 2 | 2024 페이즈 1 | |
KWANGDONG FREECS ★ ★ ★ ★ | Danawa e-sports ★ ★ | KWANGDONG FREECS ★ ★ ★ ★ ★ | ||
2024 페이즈 2 | - | - | {|- | |
KWANGDONG FREECS ★ ★ ★ ★ ★ ★ |
<rowcolor=#fff>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2021 프리시즌 | <colbgcolor=gold,#7f6b00> Afreeca Freecs | VRLU GHIBLI | Gen.G | ATA LAVEGA |
2021 페이즈 1 | Afreeca Freecs | Gen.G | GPS GHIBLI | DWG KIA |
2021 페이즈 2 | Gen.G | MaD Clan | ATA | Danawa e-sports |
2022 페이즈 1 | KWANGDONG FREECS | Danawa e-sports | GHIBLI Esports | Gen.G |
2022 페이즈 2 | KWANGDONG FREECS | Danawa e-sports | DWG KIA | Gen.G |
2023 페이즈 1 | Danawa e-sports | PENTAGRAM | GHIBLI Esports | KWANGDONG FREECS |
2023 페이즈 2 | Danawa e-sports | V7 FUNPIN | Divine tM | Gen.G |
2024 페이즈 1 | KWANGDONG FREECS | Dplus KIA | GNL ESPORTS | GameCoach Academy |
2024 페이즈 2 | KWANGDONG FREECS | GNL ESPORTS | T1 | Dplus KIA |
5.3.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80><tablebordercolor=#151042><tablebgcolor=#151042> | PUBG WEEKLY SERIES 역대 우승자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word-break: normal" | <rowcolor=#373a3c> 시즌 | 대회 | 우승팀 | 선수 | 감독 및 코치 |
2021 | 프리시즌 | Akad · EJ · Hansia · Hikari · R0wha | PeachCan · Jayden | ||
페이즈 1 | Akad · EJ · Hansia · Hikari · R0wha | PeachCan · Jayden | |||
페이즈 2 | Esther · Pio · Inonix · Asura · Alphaca | WatchinU · Chelator | |||
2022 | 페이즈 1 | Akad · LashK · EEND · Hikari | Orion · Jayden | ||
페이즈 2 | Akad · LashK · EEND · Hikari | Orion · Jayden | |||
2023 | 페이즈 1 | seoul · Salute · Inonix · Loki | ssonic · LeClo | ||
페이즈 2 | seoul · Salute · Inonix · Loki | ssonic · LeClo | |||
2024 | 페이즈 1 | Gyumin · Heaven · BeaN · Salute · Heather | PLIKHE | ||
페이즈 2 | Gyumin · Heaven · BeaN · Salute · Heather | PLIKHE | }}}}}}}}} |
5.4. 역대 하위 리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bordercolor=#7026df> | PUBG LVUP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normal" | <colcolor=#000,#f1f1f1> 2020 시즌 | 1인칭 스쿼드 #1 ~ #19 | |
2021 시즌 | 시즌1 · 시즌2 · 시즌3 | ||
2022 시즌 | 시즌1 · 시즌2 · 시즌3 | ||
2023 시즌 | 시즌1 · 시즌2 · 시즌3 | ||
2024 시즌 | 페이즈 1 · 컵 · 페이즈 2 |
5.5. 역대 중계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151042> | PWS 중계진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51042><colcolor=#fff> 진행 | 박상현 | 채민준 | 박한얼 | 최광원 |
해설 | 김지수 | 신정민 | 김동연 | 조한경 | |
아나운서 | 이현경 | 김희주 |
5.6. 역대 리더보드
6. 역사
6.1. 2021년
2020년의 PCS를 단 한 번도 우승하지 못하고 결국 PGI.S에서 2부 리그로 굴러떨어진 한국과 원래 바닥을 깔아주던 일본, 대만 리그를 통합한 PWS가 출범했다. 또한 페이즈 1부터 모스트 치킨 룰이 도입되었다. 페이즈 2까지 종료된 결과 예상대로 한국이 상위권을 독식하고 있고, 대만은 GEX, 일본은 E36과 DGW만이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그러나 PCS 4, PCS 5에서의 대권 도전에 또 다시 실패했고, 이어진 PGC 2021에선 1주차의 기블리, 2주차의 GEX와 GNL, 3주차의 젠지 등 여러 팀들이 분전했으나 반짝이었고 결국 탑 4에 단 한 팀도 올려보내지 못하며 PWS는 4부 리그로 추락했다. 2019년 단 한 번도 한국을 넘지 못했던 중국이 자국 리그가 유지되어 결국 우승까지 차지한 것과는 너무나도 다른 결말.
6.2. 2022년
2022 PWS부터는 다시 포인트 누적 룰로 회귀하였다. 그리고 한국 선수를 수혈받은 도넛 USG가 주차 우승을 차지하고,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GEX와 USG가 끝까지 6위권 경쟁을 하는 등 한국과 일본, 대만의 격차가 계속해서 좁혀지고 있는 추세이다.이는 결과적으로 하향 평준화였음이 PCS 6, 7에서 드러나고 말았다. 강한 체급을 바탕으로 우승권이라는 평가를 받던 젠지는 결국 운영에서 삐그덕대며 무한 중앙돌격 -> 버티기라는 파훼하기가 너무나도 쉬운 플레이를 고집하다가 망했고, 단단하고 영리한 운영과 팀 합을 바탕으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한 광동 프릭스는 결국 심각하게 낮은 교전력이 약점으로 드러나며 무색무취한 모습으로 변하기 일쑤였다. 그나마 피오를 중심으로 구성된 배고파가 운영, 전투력 양면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이며 끝까지 PCS 우승 경쟁을 해 봤으나 결국 모든 면에서 상위 호환이었던 뉴해피에게 우승컵을 내줄 수밖에 없었다.
이어진 PGC 2022에서는 훨씬 심각한 결말로 끝났는데, 우선 명문 팀 젠지가 PGI.S의 담원 기아가 된 듯 그룹 스테이지부터 삐걱거리더니 운영, 전투 모든 면에서 최악의 모습만 보여주며 졸전을 거듭하다가 31등으로 광탈해 버렸다. PCS 7에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배고파도 한 끗 차이로 그랜드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고, 작년 PGC에서 예상 외의 강팀으로 거듭났던 GEX도 이번엔 이변을 만들지 못하고 탈락, 일본 지역 최강 팀인 USG도 무색무취한 모습으로 탈락하며 광동, 다나와를 제외한 모든 팀이 탈락해 버렸고 결국 그랜드 파이널에서도 광동은 너무나도 약한 교전력이 발목을 잡았고, 다나와는 서울 원맨팀으로 전락하며 6부 리그 엔딩으로 PWS:동아시아의 끝을 맺게 되었다.
6.3. 2023년
2023년부터 일본 지역은 PJC, 대만 지역은 PML로 빠져나가며 PWS는 한국 지역 리그로 개편되었다. 또한 리그 진행 일정을 목요일~일요일에서 월요일~화요일로 변경하는 초 강수를 두었다.[4][5] 다만 이에 대해 불만이 많은데, 대회가 월, 화로 적은것도 적은거지만 고작 10경기 하고 PGC 포인트를 주는게 말이 되냐는 의견이 많다. 차라리 이럴거면 위클리 합산으로 리그순위를 정하고 PGC 포인트를 주는게 낫다는 의견도 많은 편. 우선 경과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한편 대회가 진행되면서 수준이 상당히 많이 하락한것 같다는 의견이 매우 많다. 당연히 팬들은 올해 국제대회도 모두 밀릴거라는 비관적인 의견을 내는 상황이며 내년이면 한국 배그판이 완전히 망할 거 같다는 극단적인 의견도 나온다.[6] 그래도 슈퍼팀이라고 불리는 다나와가 2번의 PGS에서 상위권을 기록하고, 네이션스컵에서 다나와의 신명관 감독, 서울, 로키, 이노닉스 그리고 V7의 헤븐 선수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대회에서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물론 최상위권 선수들 한정이며, 평균적인 수준은 많이 내려갔다는 게 중론. PGC 역시 명문팀들이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는 와중에 슈퍼팀 다나와가 수준이 다른 모습을 선보이면서 결국 최종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9년 젠지의 우승 이후 4년만의 PGC 우승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와 함께, 다나와 외의 한국팀들의 수준에 대한 언급은 지속적으로 등장했다.
대회 운영과는 별개로 흥행은 좋은 모습을 보이는 상황이다. 3사 합쳐서 많아야 만명을 겨우 넘던 시청자수가 만명 후반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정도로 시청자수가 증가한 상황이고, 최대 2만명을 달성하는 수준이다. 다시보기 영상이나 하이라이트 영상도 작년보다 조회수가 높다.[7]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그랜드 파이널 티켓팅도 4일 모두 칼같이 매진되고, 생방송 시청자도 3사 합쳐 2만명 이상으로 유지할 정도로 흥행은 나름 괜찮게 된 상황이다. 이는 인기 선수인 피오의 젠지 복귀, 박격포 등 신문물 추가에 대한 화제성, 슈퍼팀 다나와의 팬덤 증가, 대한민국의 네이션스컵 우승으로 인한 유입 등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6.4. 2024년
2024년 글로벌+한국지역 로드맵 |
2024년 한국 지역리그 로드맵 |
전체적인 포맷은 작년과 달라진 점이 거의 없으며, 스매쉬 컵은 다시 2번 개최로 돌아갔으며 지역리그는 PWS Phase 1, Phase 2, 시즌 중반 글로벌 이벤트 지역 선발전까지 총 3번 개최로 유지 되었다. 단지 로고와 이름이 살짝 리브랜딩 된 정도, 그리고 PWS 하위 대회인 PLS가 2번에서 3번 개최로 늘어났다. 계획되고 있다던 펍지 이스포츠 전용 새로운 경기장은 아마 이번 년도에 완공되기는 빠듯할 것으로 보이며, 애초에 펍지 이스포츠의 줄어들고 있는 사이즈를 감안했을때 실현 가능성이 적은 얘기이긴 했다.
2024년부터 PWS가 다시 주말(토,일)로 옮겨갔지만 전체적으로 기간이 더 짧아졌다.
나쁜 점부터 말하자면, 우려했던대로 꽤나 많은 기존 프로팀들이 해체를 감행했다. 오피지지 이스포츠를 시작으로, 대동 라베가, V7 FUNPIN, 고앤고 프린스, 그리고 아카데미 자격으로 프로 시드를 받았던 KGA(경일 게임 아카데미)까지 2023-24 스토브 리그 중반에 많은 팀들이 배그 이스포츠를 빠져나갔다.
좋은 점은 그만큼 새로운 팀들이 많이 창단됐으며, 그중 대표적인 예로는 V7 FUNPIN 자리를 물려받은 일레븐 이스포츠, BSG의 펍지 복귀에 GCA(게임 코치 아카데미), 이스포츠 프롬, 센티넬이 있다. 또한, 작년의 다나와 이스포츠 처럼 밸런스가 깨질정도로 강팀이 없으며, 좋은 선수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된 느낌이 많이들고있다.
그러나 PGS 3, 4에서 한국팀이 2022년, 아니면 그 이상의 부진을 겪고 있어 국제대회에서의 성적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다행히 리빌딩된 다나와, 부진을 겪었던 광동이 이스포츠 월드컵에서 각각 파이널 6,5위라는 호성적을 거두며 다시금 기대감을 끌어올렸으나, PGS 5,6가 지난 시점 5대 리그 중 유일하게 PGS 포인트로 한 팀도 진출 못하면서, PGC 성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2024년부터 PWS가 다시 주말(토,일)로 옮겨갔지만 전체적으로 기간이 더 짧아졌다.
나쁜 점부터 말하자면, 우려했던대로 꽤나 많은 기존 프로팀들이 해체를 감행했다. 오피지지 이스포츠를 시작으로, 대동 라베가, V7 FUNPIN, 고앤고 프린스, 그리고 아카데미 자격으로 프로 시드를 받았던 KGA(경일 게임 아카데미)까지 2023-24 스토브 리그 중반에 많은 팀들이 배그 이스포츠를 빠져나갔다.
좋은 점은 그만큼 새로운 팀들이 많이 창단됐으며, 그중 대표적인 예로는 V7 FUNPIN 자리를 물려받은 일레븐 이스포츠, BSG의 펍지 복귀에 GCA(게임 코치 아카데미), 이스포츠 프롬, 센티넬이 있다. 또한, 작년의 다나와 이스포츠 처럼 밸런스가 깨질정도로 강팀이 없으며, 좋은 선수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된 느낌이 많이들고있다.
그러나 PGS 3, 4에서 한국팀이 2022년, 아니면 그 이상의 부진을 겪고 있어 국제대회에서의 성적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다행히 리빌딩된 다나와, 부진을 겪었던 광동이 이스포츠 월드컵에서 각각 파이널 6,5위라는 호성적을 거두며 다시금 기대감을 끌어올렸으나, PGS 5,6가 지난 시점 5대 리그 중 유일하게 PGS 포인트로 한 팀도 진출 못하면서, PGC 성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7. 이스포츠 어시스트
- 해묵TV
- GSetKI (쥐샛기)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PKLOrangeScab
- 트위치: https://www.twitch.tv/gsetki
- 트위치 (맵방송): https://www.twitch.tv/gsetki2
- 아프리카TV: https://bj.afreecatv.com/kgkorea
- IrisPUBG (아이리스)
- Luopis (루오피스)
- Doryeon
8. 관련 대회
[1] 영어[2] 위클리 스테이지[3] 그랜드 파이널[4] 아마 수~일 비슷한 시간대에 진행되는 LCK를 의식한 듯 보인다. 게임 인기로 보나 프로 리그 인기로 보나 LCK에게는 상대가 안 되기에(시청자 수만 봐도 LCK의 1/10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울며 겨자 먹기로 아예 요일이 겹치지 않는 월~화에 편성한 것으로 보인다. 시청자들은 월~화엔 PWS, 수~일엔 LCK 보면 되니 좋기만 하다[5] 사실 이런 식으로 롤 대회를 피해서 일정을 짠게 처음은 아닌데, 당장 작년 PGC만 보더라도 롤드컵이 끝날 무렵에 시작하여 월드컵이 시작할 무렵에 끝나는 식으로 스케쥴을 정했다.[6] 사실 틀린말은 아닌게 대회 규모가 작년에 비해 상당히 줄은것을 보면 정말로 망해가는 상황이다. 다만 올해는 지역리그가 3회로 늘고 대회도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상금이나 투자가 분산된 경향도 없지 않다.[7] 특히 젠지 관련 영상은 압도적으로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