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NEBULOUS: Fleet Command에 등장하는 함선들을 소개하는 문서.
2. ANS 함급 목록
2.1. 스프린터급 초계함
<nopad> | ||||
<rowcolor=white> Sprinter Class Corvette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75 | 3000 | 8 | 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55 | 60 | 1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2890.16 | 50 | 전속항행 손상 확률 -20% 센서 감도 +20% 위치정보 오차 -15%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3×4×5)*2, (2×2×2)*2 | |||
구획 | (4×1×6)*2, (3×1×3)*2 | |||
모듈 | (8×3×6)*1, (3×3×3)*1, (2×2×2)*2 |
ANS의 함선 중 가장 작고 가장 빠르고 가장 빈약한 함급이며 캡싸움 담당. 정직하게 초계함에 집중하게 강제하는 작고 비좁은 함내는 때론 답답함을 느끼게 할 수 았지만 그 작은 덩치로 인해 적 레이더에 탐지당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이 점을 잘 이용한다면 적의 거점에 백도어를 시도할 수 있으나 물몸인 건 여전하니 어뢰 없이 적의 주력 전투함에 돌격하는 일은 되도록 피하자.
450mm 탄종은 선수에서 선미로 일직선으로 박히지 않는 한 신관이 작동되기 전 과관통되어 낮은 피해를 주고 그대로 선체를 관통한다. 포격 당하는 상황 자체가 긍정적인 상황은 아니지만, RCC 5개를 단 머라우더급 전탄투사 같은 게 아니라면 의외로 450mm 몇발 맞는 것은 타격이 크진 않다. 주력함급에 호위로 둘 방공함이나 따로노는 주력함을 뇌격/캡싸움하는 어뢰정으로 설계할때 레인즈급과 비교하여 이점. 다만 레인즈 급에 비해 마운트 크기와 배치, 전력 발전량에 난점이 있다.
2.2. 레인즈급 호위함
<nopad> | ||||
<rowcolor=white> Reines Class Frigate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125 | 5000 | 15 | 5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50 | 60 | 3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3783 | 100 | 전속항행 손상 확률 -15%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1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3×4×5)*2, (3×4×3)*2 | |||
구획 | (4×1×6)*3, (3×1×3)*2 | |||
모듈 | (6×6×6)*1, (8×3×6)*1, (3×3×3)*1, (2×2×2)*2 |
전면 함포 화력전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역할을 소화 가능한 함급으로, FR4800 발전기의 적절한 발전량과 적절한 함내 공간들, 그리고 이에 걸맞는 적절한 선체 가격으로 한 함대의 어딘가 아쉬운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에 탁월하다. 방공, 전자전이나 정찰용으로 설계시 스프린터급 보다 전력 생산량과 모듈 공간이 널널해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장비와 버프 모듈을 넣기 좋고, 완전히 미사일 무장으로 장착시 함급 포인트당 발사관 수 효율이 ANS 내 최고인 함선이지만, 동시에 유도 가능한 미사일 수가 2발에 불과하고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모듈을 달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아스널 쉽으로 운용하기는 부적절하다. 미사일 함으로 운영시, 단 2~4대의 레인즈에 미사일만 담아 최후방 또는 맵 최상단에서 초장거리 화력지원을 하는 함대 단위 운영이나, 상대 정찰기를 저격하며 자신 또한 스파이글래스로 정찰하거나, SDM과[1] 방공터렛으로 꽉 채워 방공용으로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전자전 호위함이나 방공호위함으로 운영시 유의할 점으로, 너무 작아서 맞추는 것도 힘든 스프린터급에 비해 450mm가 효과적으로 박혀 450mm 포탄과 플라즈마가 날아다니는 최전방 라인의 주력함 옆에 대놓고 있는 것은 위험하다. 주력함이 엄폐하고 있는 구조물의 뒤에 위치해 사선을 차단한 후, 필요시 나와서 호위하는 것을 추천.
발전 모듈을 제거하면 Prowler 추진기를 두 대 탑재할 수 있는데, 이럴 시 레이더 시그니쳐가 비약적으로 낮아진다.
2.3. 키스톤급 구축함
<nopad> | ||||
<rowcolor=white> Keystone Class Destroy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200 | 8000 | 22 | 1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50 | 45 | 4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6281.85 | 150 | 과열 손상 확률(빔) -50% 발전기 효율 +25%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1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4×12×4)*2, (3×4×5)*2, (3×4×3)*2, (2×2×2)*2 | |||
구획 | (6×1×8)*2, (6×1×4)*5 | |||
모듈 | (8×8×6)*1, (6×6×6)*1, (3×3×3)*3, (2×2×2)*2 |
ANS의 유일뮤이한 동축 무장창이 있는 유리대포 체급이다. 이 무장창의 공간은 제법 크기에 원래 몇 체급 위의 함선이나 쓸 수 있는 무장도 한 문 정도는 달아서 사용할 수 있다. 레일캐논을 장착해 장거리 화력지원을 하든 빔포를 달아서 근접하던 적 함선를 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동축 무장에 따라 초장거리 제압과 근거리 누커로 역할이 극명하게 갈리며, 구축함급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쾌속선을 때려잡는 용도로 설계도 가능하다. 동축 파티클빔은 터렛 빔보다 사거리가 1000m 더 길고, 함급 자체의 빔 배틀쇼트 보너스도 장점.
동축 무장창에 빔을 장비한 빔구축은 동축무장의 주력함급 화력에 비해 물렁한 호위함급 내구도와 상대적으로 짧은 사거리의 특징이 있어, 일반적으로 캡이나 다른 요충지를 향해 선수를 돌려넣고 대기하며 접근을 틀어막는 것이 일반적이다. OSP 입장에서 매우 골치 아프면서 단독으론 격침하기 쉬운 존재이기에, 탐지당하거나 특유의 초록 광선이 보이면 공격 우선순위가 치솟아 함재기와 미사일, 인근에 있던 로켓 셔틀까지 달려들어 물리면 순식간에 격침당하는 함선이기도 하다. 전자전을 준비하거나 엄폐물 뒤에 숨고, 엄폐물 너머의 시야을 유지하는 등 최대한 탐지를 거부하며 적의 접근을 확인해야 제 할일을 할 수 있는 함급.
2.4. 복스홀급 경순양함
<nopad> | ||||
<rowcolor=white> Vauxhall Class Light Cruis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350 | 10000 | 26 | 2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75 | 25 | 55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1727.54 | 35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2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3×4×5)*6, (2×2×2)*4 | |||
구획 | (6×1×8)*5, (6×1×4)*3, (4×1×8)*1 | |||
모듈 | (8×12×10)*1, (6×6×6)*1, (3×3×3)*3, (2×2×2)*4 |
기본 속력이 레인즈급 보다 빠른 경순양함으로, 위플래시 드라이브나, 휩/레이더, 휩/프라울러 같은 이중 드라이브 세팅으로 높은 화력과 기동력을 보여준다. 우회기동과 고속 기동으로 적 전선의 취약한 부분을 찌르거나, 250mm RPF탄의 방공 보조와 소형함 정리에 탁월한 함급.
유의할 점으로, 이 체급부턴 개발자의 너프를 주구장창 맞은 관계로 겉으로 보이는 크기에 비해 실제로 화력에 대한 방호력은 낮다. 특히 경순양함의 생존력은 기동성과 전자전에서 나오며, 전선 화력에 노출시 추진기가 박살나 빌빌대거나 그냥 그대로 공격/조함 능력을 상실할 정도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일방적인 교전을 기본으로 상정해야 하며, '블랭킷' 재머를 다수 장착한 스프린터/복스홀을 운영하는 것을 강하게 추천한다.
유사시 적의 재밍을 정면으로 돌파하기 위해 함대 내에 패럴랙스 레이더와 '플러드라이트' 일루미네이터를 챙기는 것도 추천.
2.5. 액스포드급 중순양함
<nopad> | ||||
<rowcolor=white> Axford Class Heavy Cruis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600 | 13000 | 40 | 4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90 | 25 | 65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4332.5 | 40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2 최대 수리 +10% 함재기 무장 속도 +20%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8×7×8)*1, (6×4×6)*2, (3×4×3)*4, (2×2×2)*4 | |||
구획 | (6×1×8)*5, (6×1×6)*2, (6×1×4)*2, (4×1×6)*2 | |||
모듈 | (12×8×10)*1, (6×6×6)*2, (3×3×3)*4, (2×2×2)*5 |
무장과 장비의 선택에 매우 다양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는 유연한 함급으로, 고속 기동을 제외한 어지간한 전투원 역할은 올바른 장비만 장착하면 적절히 수행 가능하다. 450mm 함포를 올린 후 중장거리 포격전을 하거나, 빔/미사일을 장착해 중요 표적을 다양한 미사일로 대응 후 아군 후열에 접근하는 함선을 강력한 빔 터렛으로 공격하듯, 주무장을 한 종류 이상 올려도 그 무장을 지원할 버프 모듈도 채워넣을 공간도 넉넉하다.
피팅 이외에도 선체 자체의 깡스펙도 강력해서, 전면의 강력한 장갑과 경사면, 그리고 수리한계 보너스를 합쳐 함선의 생명력도 매우 질긴 편이라 분명히 침묵했던 액스포드급이 어느새 손상통제를 마치고 다시 교전을 시작하는 장면도 매우 흔한 편이다. 적으로 만날 시 여유가 있다면 꼭 450mmAP 나 항공폭탄과 같은 무기로 구명정이 사출될 때 까지 숨통을 확실하게 끊는 것을 추천.
본격적인 주력함급 이기에 게임의 흐름을 읽는 능력이 요구되지만, 유연하고 강력한 특성으로 인해 무장 성향과 경력 불문 사용에 적응하기 쉬운 함급. 초보자에게 기본으로 제공되는 함대 중 TF Oak 가 추천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악스포드급 부터 비행갑판을 장착할 수 있다.
2.6. 레비급 호위항공모함
<nopad> | ||||
<rowcolor=white> Levy Class Escort Carri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500 | 12000 | 15 | 25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100 | 25 | 65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6516.5 | 350 | 함재기 무장 속도 +20%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3×4×3)*4, 대형 비행갑판*2, 소형 비행갑판*4 | |||
구획 | (12×3×18)*1, (12×3×12)*2, (6×3×16)*1, (6×1×8)*2, (4×1×6)*4 | |||
모듈 | (12×8×10)*1, (6×6×6)*1, (3×3×3)*4, (2×2×2)*2 |
ANS의 호위항공모함이다, 4대의 소형 항공기용 비행갑판과 2대의 중·대형 항공기용 갑판이 있다.
OSP의 저니맨급 보다는 동시에 출격가능한 항공기 수가 많지만 무어라인 기반의 정규항모에 비하면 갑판 수의 한계로 화력 투사가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ANS의 전투기가 OSP의 것 보다 성능이 좋음에도 공대공 전투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레비급으로 온전한 공중우세를 달성하는 것은 어려움으로 항모만 운용하는 것 보다 전투함 + 호위항모 조합도 좋은 방법이다.
2.7. 솔로몬급 전함
<nopad> | ||||
<rowcolor=white> Solomon Class Battleship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1000 | 21000 | 56 | 4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150 | 30 | 8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27876 | 600 | 재장전 시간(에너지) +20% 함재기 무장 속도 +20% | ||
<rowcolor=whit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8×7×8)*3, (6×4×6)*1, (3×4×3)*6, (2×2×2)*4 | |||
구획 | (6×1×8)*9, (6×1×4)*7 | |||
모듈 | (16×8×10)*1, (12×8×10)*1, (8×8×8)*2, (3×3×3)*7, (2×2×2)*4 |
ANS의 마스코트에 가까운 존재. 가장 크지만 동시에 가장 답답한 속도 그리고 SA에서 미사일을 제외하고 가장 지속딜이 강한 체급인 솔로몬급 전함이다. 방향전환 조차 한세월이 걸리는 답답함이 치명적인데 무식한 수준의 전면부 장갑을 살리는 상황에서 교전을 거는지 아니면 못거는지가 많은 걸 결정하기에 특히나 플레이어의 예리한 예측과 명령이 중요하다. 또한 잘 세팅된 솔로몬 하나의 포인트는 약 2000~2500까지 차지하기에 어이없게 잃을시 가장 타격이 큰 함종이다.
가능한 아군과 함께 동행하거나 PD망을 겹치며 로켓/함재기/미사일과 같은 비대칭 요소의 타격을 최소화하고, 압도적인 정면장갑과 탱킹능력을 이용해 최전방 전선을 압박하고, 요충지에 틀어박혀 적의 운신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충지 농성은 함포 전함이건, 빔 전함이건 공통사항이지만, 빔 전함은 짧은 사거리와 비교도 안되는 어그로 덕분에 위치가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다. 게임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고 통제하는데 적극성을 요구하는 함급이며, 아군과 소통하여 전체적으로 아군과 움직임을 맞춰 기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OSP측은 이미 솔로몬을 잡기 위해 전원 수단방법체급 가리지 않고 팩션 단위로 칼을 갈고 있기 때문.
항공모함 업데이트 이후 OSP측 뇌격에 유의해야 한다. 바라쿠다가 던지는 어뢰+폭탄 뇌격은 일단 투하되면 요격이 어려우니 인터럽션 재머와 레이더 드라이브를 채용하면 회피에 도움이 된다.
3. OSPN 함급 목록
3.1. 페리맨급 쾌속선
<nopad> | ||||
<rowcolor=#F2632E> Ferryman Class Clipp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50 | 1500 | 5 | 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55 | 60 | 1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2890.16 | 40 | 전속항행 손상 확률 -20%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3×2×3)*2, (2×2×2)*1 | |||
구획 | (4×1×6)*1, (3×1×3)*2 | |||
모듈 | (8×3×6)*1, (3×3×3)*1, (2×2×2)*2 |
OSP의 가장 작고 빠른 함선. 캡싸움의 주축이며 일반적으로 로켓터렛을 장착한 후 빠르게 캡을 점령하며 상대 스프린터에게 로켓찜질을 해주는 함급이다. 로켓의 빠른 즉응성, 순간화력, 낮은 가격, 그리고 전반적으로 저렴한 OSP측의 함선들 덕분에 대량으로 스팸하기 쉬운 점 덕분에 전장 사방팔방의 엄폐물 구석이나 캡 뒤에 있는 것을 보기 쉽다. 일반적으로 페리맨급의 천적으로 알려진 250mm 포격 경순도 근접후 로켓찜질을 해주면 큰코 다치고, 2~3척이 함께 공격시 중순도 무시하기 어려운 피해를 줄 정도.
다만 함선 자체는 매우 물렁하다. 120/250mm RPF탄은 물론, EO시커를 장착한 S2H/S3H 미사일류에 터져나가는 것이 일상다반사. 250 RFP탄을 몇발 맞으면 추진기가 전부 박살나 처참한 속도로 캡을 향해 전장을 기어다니는 광경도 흔하다. 생존력이 기동성과 재밍으로 숨는 것에서 나오기에, 일단 근거리보다 멀리서 탐지당하면 위험하다. 로켓과 강화모듈을 장착한 로켓 강습용 셔틀도 평균 300포인트 정도인걸 감안하면 자체적인 가격도 완전히 싼 편은 아니다. 대책이나 목적, 준비없이 무작정 돌격시키지 말것.
스프린터급과 마찬가지로 450mm 탄종은 선수에서 선미로 일직선으로 박히지 않는 한 선체를 과관통하며 적은 피해를 입힌다. 다만 OSP측 평균 교전거리인 7800~6000m는 250mm탄의 8000m 사거리 안이기에 플라즈마/100mm 함선의 호위기로 굴린다면 손실을 각오해야 할 수 있다.
3.2. 드라우그급 쾌속선
<nopad> | ||||
<rowcolor=#F2632E> Draugr Class Clipp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75 | 3500 | 5 | 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40 | 60 | 1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4685.07 | 10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1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2x5x2)*1, (3×4×5)*1, (3x2x5)*1, (2×2×2)*2 | |||
구획 | (4×1×6)*3, (3×1×3)*2 | |||
모듈 | (8×3×6)*1, (6x6x6)*1, (2×2×2)*2 |
OSP의 레인즈. 레인즈처럼 적절한 발전량과 마운트 수로 다양한 피팅과 역할을 수행 가능하다. 특히 전방 포곽 마운트 덕분에 레인즈보다 마운트 수가 1개 더 많아, 더 공세적인 피팅도 가능하다.
장거리 탐지/추적 레이더를 탑재하거나, 전자전/방공 호위기는 물론, 미사일/어뢰와 '라이트하우스' 일루미네이터를 탑재 후 주력함 저격용 함대를 굴리거나, 한대의 드라우거에 100mm 포곽/재머/MLS2/핀포인트/VLS1/헌트리스 레이더+ARR 을 장착한 '다목적 예인선'(Multi mission tug, MMT)으로 함대에 추가해 캡/정찰싸움 용도로 한두개 추가하기도 한다.
레인즈급과 마찬가지로 셔틀보다 450mm가 제대로 박히기 시작하는 함급이기에 최전선 450mm포격이 날아다니는 곳에 서성이는건 매우 좋지 않다. 멀찍이서 장거리 레이더로 정찰/표적획득을 하는게 아니면 가능한 엄폐물을 찾을 것을 추천한다. 특히 재밍 호위기는 어그로가 크게 끌리니 조심할것.
3.3. 플랫헤드급 모니터함
<nopad> | ||||
<rowcolor=#F2632E> Flathead Class Monito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175 | 5000 | 48 | 2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40 | 60 | 1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9869.06 | 30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1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6x12x6)*1, (6x4x6)*2, (3x4x5)*2 | |||
구획 | (6x3x8)*3, (6x1x8)*1, (6x1x3)*2 | |||
모듈 | (10x5x8)*1, (6x6x6)*1, (3x3x3)*3, (2x2x2)*2 |
ANS의 키스톤과 비슷한 포지션의 함선, 물장갑인(22cm) 키스톤과 달리 48cm로 악스포드급 보다 두터운 장갑을 가지고 있다. 다만 네모난 외형으로 인해 경사장갑 효과를 얻기 어렵고 구조강도(Structural Integrity)가 낮아 실질적인 맷집은 대형함에 비해 떨어진다.
구조강도가 스프린터와 동일하게 1000밖에 되지 않아 체감상 함체 구조물 파괴(Structure broken)가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매우 큰 탄약고를 탑재할 수 있어 아스널 쉽으로 운용되기도 하며, 플랫헤드급 부터 비행갑판과 내부 격납고(오셀로급 제외) 탑재가 가능하다.
3.4. 저니맨급 경항공모함
<nopad> | ||||
<rowcolor=#F2632E> Journeyman Class Light Carrie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300 | 3000 | 40 | 2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40 | 60 | 10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4182.14 | 350 | -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6x4x6)*1, (3x4x5)*2, 대형 비행갑판*2, 소형 비행갑판*2 | |||
구획 | (12x3x12)*2, (6x3x8)*1, (6x1x8)*3, (4x1x6)*2 | |||
모듈 | (5x10x8)*1, (6x6x6)*1, (3x3x3)*2, (2x2x2)*2 |
OSP의 호위항공모함, ANS의 레비급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OSP에는 무어라인급이 있기 때문에, 주력함/저니맨 함대로 함재기를 조금만 챙기거나, 3 저니멘 스터전 스팸 같은 플릿 이외엔 잘 사용되지 않는다. 파이크 2~3대 챙기고 싶다면 플랫헤드에도 들어가고, 대량으로 함재기를 챙기고 싶다면 무어라인이 압도적이기 때문
3.5. 오셀로급 지휘순양함
<nopad> | ||||
<rowcolor=#F2632E> Ocello Class Command Cruiesr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575 | 12000 | 30 | 4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80 | 25 | 6500 | 2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5745.4 | 35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2 수리한계 +5% 발전기 효율+10%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6x4x6)*3, (3x4x3)*4, (2x2x2)*4 | |||
구획 | (6x1x8)*4, (6x1x6)*4, (4x1x6)*1 | |||
모듈 | (8x12x10)*1, (6x6x6)*2, (3x3x3)*3, (2x2x2)*4 |
과거 퇴역한 군함 이였으나 함선이 하나라도 더 필요한 상황이라 재취역시켜 써먹는다는 설정의 군함이다. 낡긴했어도 군함은 군함인지라 다른 선박과 달리 ANS의 무장과 각종 장비를 탑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 함선이 가지는 최대 메리트다. 다만 그렇다고 ANS와 무턱대고 정면승부를 했다간 과거 퇴역했던 것엔 이유가 있디는 것을 사출되는 구명정들을 보며 깨달을 것이다.
OSP 무장과 장비를 올릴 수 있지만, 그럴 바엔 다른 특화된 함급을 가져오는게 더 효과적이고 저렴하기에 오셀로급을 채용할거면 가능한 고성능 ANS 장비를 채용하는게 추천된다.
불즈아이 사통레이더, 패럴랙스 레이더와 플러드라이트 일루미네이터(최전방 재밍 돌파/포격전 보조), 오로라/사리사 방공포(하이브리드 미사일/함재기 카운터), Mk66 포탑(450mm 지속화력), 레이더 드라이브(속도 저하 없는 리니어 스러스트 버프), 인터럽트 방출기 (전방위 4k CMD 재밍, 함대 뇌격 방지용)과 같은 고성능 장비 위주로 챙기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발전량이 부족하기에 의외로 OSP측 증강 발전기를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발전량이 FR4800보다 크고, 발전기 폭주 크리티컬이 단독으로 일어날시 손상통제반이 처리 가능하며, 구획에 크리가 4개터진 상황이면 어자피 절망적인 상황일테니.
ANS와 OSP의 전자전 모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게 장점으로 특히 통신과 레이더 옴니 재머를 동시에 사용할 시 미사일 방어에 큰 도움이 된다. 다만 오셀로급은 항상 슬롯 수가 부족하니 동행할 OSP 함이 있다면, OSP 장비는 전부 그쪽에 몰아 주는게 좋다.
액스포드급과 마찬가지로, 선수 구획에 튼튼한 강화 손상통제 락커와 같은 튼튼한 컴포넌트/모듈들을 넣고, 선수를 적 방향으로 유지시키며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며 계속 움직이면 생존에 큰 도움이 된다.
3.6. 머로더급 전열함
<nopad> | ||||
<rowcolor=#F2632E> Marauder Class Lineship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300 | 15000 | 20 | 35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100 | 75 | 4000 | 3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5745.41 | 600 | 수리반 이동 속도 +20%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1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6x10x6)*8, (3x4x3)*7, (2x2x2)*4 | |||
구획 | (8x3x8)*3, (8x1x8)*6 | |||
모듈 | (12x12x12)*1, (6x6x6)*1, (3x3x3)*5 |
솔로몬급의 반값에서 1/3값에 순간화력은 동일하거나 압도할 수 있는 OSP의 순간화력 담당. 중장거리에서 450mm 포격을 투사하거나, 플라즈마/100mm 포탑을 장착한 후 근중거리 기습을 강행해 적을 녹여버리는 압도적인 순간화력 투사가 가능하다. Rapid Cycle Cradle을 다수 장착하면 450mm 32발이 5초안에 발사될 정도.
다만 태생이 민간 벌크선 이기에 크기에 비해 함선의 장갑은 매우 얇다. 250mm는 물론 120mm HE탄도 관통하고 피해를 입히기에 적의 화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 온갖 무장에 유효타를 맞고 너덜너덜해질 수 있다. 가능하면 엄폐물에서 숨어있다가, 적이 유효 사거리 내로 들어오거나 접근해 냈다면, 튀어나와 탄창을 비우고 다시 엄폐하여 재장전을 하는 방식의 기습을 추천한다. 하위 함급에 비해 라인쉽은 전자전으로 감추는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
물장갑이라는 특성과는 별개로 데미지 컨트롤 능력은 최상급이다. 수리반 이동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함체 자체가 워낙 거대하여 치명부위가 적고, 또 넓은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고급 구획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손상 통제 복합시설과 대형 손상 통제 저장고, 시타델 탄약고를 설치한 머로더는 반쯤 죽은 상태에서도 조금만 시간을 내주면 금방 복구하여 전투에 복귀하는 좀비 같은 내구성을 자랑한다.
민간선들을 급하게 징발했다는 설정을 반영하여 같은 함급이여도 새로 생성된 함선은 랜덤한 외형을 가진다. 앞/중간/뒤 부분이 각각 랜덤하게 생성되는데, 모양에 따라 마운트와 모듈 위치/사격각이 다르기에 유의해야 한다. 예외적으로 측면의 대형 포곽 4문 두쌍은 모양 불문 가리키는 방향은 같다.
3.7. 무어라인급 전열함
<nopad> | ||||
<rowcolor=#F2632E> Moorline Class Lineship | ||||
<rowcolor=white> 포인트 | 질량(t) | 장갑 두께(cm) | 부품 피해 감소(%) | |
600 | 15000 | 20 | 20 | |
<rowcolor=white> 승선 인원 | 승무원 취약도(%) | 선체 내구도 | 식별 난이도 | |
100 | 75 | 3000 | 300 | |
<rowcolor=white> 레이더 면적(m2) | 항적 신호 강도 | 보정치 | ||
15745.41 | 600 | 미사일 프로그래밍 채널 +5 | ||
<rowcolor=#F2632E> 함선 부품 슬롯 | ||||
마운트 | (20x5x30)*4, (6x4x6)*2, (3x4x5)*1, (3x4x3)*3 | |||
구획 | (16x3x8)*1, (8x3x8)*2, (8x1x8)*6 | |||
모듈 | (12x12x12)*1, (6x6x6)*1, (3x3x3)*4 |
민간선을 징발했다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머라우더급과 마찬가지로 선체 모양이 랜덤하게 생성된다.
[1] 방어적 미사일은 미사일 채널과 프로그래밍 시간을 무시하고 즉시 선택한 방공 교리만큼 최대한 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