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13063,#010101><colcolor=#fff> 시스템 | 영웅 유니폼 · 팀 효과 | 줄거리 | 코믹스 카드 |
| ISO-8 | 특수 장비 | 쉴드 아카이브 | ||
| 임무 | 이야기 | 차원 임무 | 멀티버스 사가 | |
| 파견 임무 | 에픽 퀘스트 닥스 · 데드풀 · 이터널스 | |||
| 도전 | 레전더리 배틀 | 월드 보스 일반 · 얼티밋 · 레전드 · 레전드+ · 협력 영웅 | 섀도우랜드 | |
| 차원의 틈 | ||||
| 대전 | 타임라인 배틀 | 아더월드 배틀 | 얼라이언스 배틀 일반 · 극한 · 레전드 | |
| 얼라이언스 토너먼트 | 연합 점령전 | |||
| 협력 | 멀티버스 인베이전 | 거대 보스 레이드 | 월드 이벤트 | |
| 이벤트 | 이벤트 임무 | 배틀월드 | 코스믹 코어 | |
| 이벤트 퀘스트 | 세력전 | 퓨처 패스 | ||
| 타임라인 서바이벌 | ||||
| 삭제된 컨텐츠 | 연합 레이드 | 요일 임무 | 특수 임무 | |
| 차원의 틈(개편 전) | 빌런 시즈 | 스토리 임무 | ||
| 쉴드 개발실 | 데인저 룸 | 협동 플레이 | ||
| 월드 보스 인베이전 | 스쿼드 배틀 | 영웅 퀘스트 | ||
| 기타 | 팁 | 사건사고 | 비판 | |
| 공식 커뮤니티 | ||||
| OST | Tonight | I Really Wanna | ||
| 업데이트 내역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13063,#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얼라이언스 배틀: 극한 모드 Alliance Battle: Extreme Mode | }}} | |
| <nopad> | |||
| 개편 | 2025년 11월 5일 | ||
| 관련 가이드 | # | ||
1. 개요
극한 모드 일반 모드와는 달리 클리어 도달목표가 정해져 있지 않고, 점수제한이 없다. 대신 극한 모드는 클리어 보상 조건이 일정 점수 획득이다. 극한 모드를 진행하고 나면 도전 모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전모드는 입장시 일정 골드가 소요되며, 일반 모드와 극한 모드와는 달리 점수 클리어 보상이 없다.2. 공략
| 극한 얼라이언스 배틀 스테이지 모습 | 프로스트 비스트 모습 |
등장 보스는 프로스트 비스트로 시작하게 되면 중간중간 운석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고득점을 얻기 위해서라면 피하면서 딜을 넣는 게 좋다.
약점 공략은 총 3가지로 침묵, 화상, 마비 주로 나뉜다. 이 패턴은 3번 등장하는데 2분 10초대 전후 / 1분 20초대 전후 / 36초대 전후로 나뉘며 이 때 제한시간 내로 해당 공격 스킬에 있는 상태이상을 걸어줘야 안정적으로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세팅을 한다면 주력 딜러에게는 분노의 C.T.P.를 주고 나머지 리더, 버퍼 또는 2버퍼에게 각각 통찰의 C.T.P. 그리고 해방의 C.T.P.를 주는 게 현재 추세이다.
3. 회차
3.1. 1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기존에는 블래스트 / 슈퍼 빌런 진영이였으나 개편으로 스피드 / 영웅 / 여성으로 변경되었다.
최고 득점 주자는 루나 스노우를 메인 딜러로 두고 미스티 (리더) / 화이트 폭스 (버퍼)로 두는 세팅이다. 유니폼의 경우, 한정판 유니폼보다 라이프스타일 1 유니폼이 좀 더 높긴 하지만 컨트롤이 어느 정도 요구되는 편이다.
루나 스노우의 부재 시 가모라 (웨이스트랜더스)를 메인 딜러로 슈리와 웨이브를 리더, 버퍼로 쓰는 조합이 추천된다.
3.2. 4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리더 | | | |
| 서브 딜러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최고 득점 주자는 한정판 유니폼 크레센트와 호프 서머스를 딜러로 한 조합이다.
단, 이 둘의 경우 접근성이 좋은 편은 아니기에 대체로 쓴다면 네뷸라 (왓 이프...?)나 쉬헐크 (변호사 쉬헐크)를 딜러, 시프와 발키리를 버퍼로 세팅한다.
3.3. 5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최고 득점 주자는 불스아이를 딜러로 블랙 캣 (리더) & 신 (버퍼) 조합이다.
단, 여기서 블랙 캣과 신은 한정판 유니폼이 있어야 버퍼로 쓸 수 있으며 둘의 부재 시 그린 고블린이나 미스틱[1]을 대체 버퍼로 쓸 수 있다.
3.4. 6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가장 높은 점수를 낼 수 있는 딜러는 메피스토이며 프록시마 미드나이트와 모건 르 페이를 버퍼로 쓰는 세팅이 두루 쓰이지만 맥뎀을 찍을 정도로 고스펙인 경우 메피스토를 리더이자 딜러, 실버 서퍼와 샬라 발을 버퍼로 두는 세팅을 쓰기도 한다.
만약 모건이 없다면 헬라를 리더로 쓰기도 하며, 메피스토의 부재 시 대체 세팅으로는 로키 (딜러) / 헬라 (리더) / 프록시마 (버퍼)가 쓰인다.
3.5. 7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2] | | | |
| 대체 딜러 | | | |
최고 득점 주자는 한정판 유니폼 갬빗으로 조합을 짤 땐 유일하게 리더 / 버퍼 둘 다 되는 사이클롭스를 리더로 두고 그 다음 회피 무시 버퍼를 주는 비스트로 나머지 한 자리를 메꾼다.
그 외 매그니토 티어-4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으나 매그니토, 갬빗 자체가 접근성은 좋은 편은 아니기에[3] 갬빗과 매그니토의 부재 시엔 케이블을 메인 딜러로 쓰는 편이다.
3.6. 8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최고 득점 주자는 글래디에이터로 조합을 짤 땐 글래디에이터를 리더로 음바쿠와 발키리를 버퍼로 두는 세팅을 한다.
다만 글래디에이터는 엑조디아 캐릭터라 접근성이 좋지 않다보니 베놈을 대체 주자로 쓰기도 한다.
3.7. 11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최고 득점 주자는 베놈으로 조합을 짤 땐 음바쿠를 리더로 태스크마스터를 버퍼로 두고 세팅한다.
3.8. 12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최고 득점 주자는 고스트 라이더를 메인으로 쓰며 리더로는 고스트 팬서를 버퍼로는 로비 레예스를 둔다.
3.9. 13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고득점 주자는 좀비 닥스를 메인 리더이자 딜러로 두고 필 콜슨(한정판)과 미스테리오(한정판)을 두는 세팅이 가장 좋다.
다만 필 콜슨은 한정판을 입히기 전까지는 영웅 한정 버퍼로만 쓸 수 있고 미스테리오의 경우 한정판 유니폼이 없다면 아예 버퍼로 쓸 수 없기에 그 외 쓸만한 버퍼로는 사이클롭스와 리더가 있다.
3.10. 14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고득점 주자로 쓰는 캐릭터는 진 그레이 그 다음은 한정판 유니폼 매그니토로 세팅을 할 때는 각각 이렇게 나뉜다.
- 진 그레이를 딜러로 사용 시: 진(딜러) / 사이클롭스(리더) / 미스틱(버퍼)
- 매그니토를 딜러로 사용 시: 매그니토(리더&딜러) / 사이클롭스(버퍼) / 미스틱(버퍼)
다만 여기서 쓰이는 캐릭터들 대부분이 접근성이 좋은 편은 아닌지라 진이나 매그니토도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미스틱을 쓰는 수밖에 없다.
3.11. 15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6회차와 동일.
3.12. 18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13회차와 마찬가지로 닥터 스트레인지 & 2버퍼를 메인 딜러로 쓰는 회차로 슈퍼 빌런인만큼 필 콜슨 대신 인챈트리스와 미스테리오 (한정)을 두고 세팅한다.
3.13. 19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주로 쓰이는 조합은 스칼렛 위치 (스칼렛 위치 유니폼)를 리더이자 딜러로 쓰고 2버퍼로 리처드 라이더와 한정판 유니폼 사타나를 세팅하는 조합이다.
리처드와 사타나의 경우 접근성이 좋은 편은 아니기에 뉴비나 시작하는 유저들의 경우, 최신 유니폼을 입힌 로난과 닥터 부두를 버퍼로 세팅한다.
3.14. 20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해당 회차에서 주력으로 쓰이는 조합은 가모라를 리더/딜러로 시프와 발키리를 2버퍼로 세팅하는 조합이 쓰인다.
3.15. 21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해당 회차에서는 인비저블 우먼을 메인 딜러로 발레리아 (리더) + 아이언하트 (버퍼)로 세팅하는 게 그나마 가장 잘 나오며 인비저블 우먼의 부재 시 샤론 로저스[4]를 쓰거나 블루 드래곤이 대체재이다.
3.16. 22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메인 딜러 | | | |
| 리더 | | | |
| 버퍼 | | | |
5회차와 같이 고득점 주자는 불스아이로 바론 제모 (리더)에 그린 고블린 (버퍼)로 쓰기 좋은 편이다.
3.17. 25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최고 득점 주자는 글래디에이터이며 대체 딜러로는 스타로드, 오딘이 있다.
버퍼의 경우, 한정판 유니폼 욘두와 한정판 유니폼 그루트를 세팅해주긴 하나 이 둘의 유니폼 부재 시 로난이나 베타 레이 빌을 버퍼로 세팅해주기도 한다.
3.18. 26회차
- 헐크 사용 시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파일:Hulk_Uniform_IIIIIIII.png | 파일:Hulk_Uniform_IIIIIIII.png | 파일:Hulk_Uniform_IIIIIIII.png |
| 버퍼 | | | |
| 버퍼 | | | |
- 윈터솔져 사용 시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해당 구간에서는 헐크 또는 윈터솔져(레볼루션 유니폼)가 주로 쓰이며 둘 다 자체 리더이자 딜러가 되는만큼 버퍼도 2버퍼로 세팅하는 편이다.
버퍼를 세팅할 땐 헐크의 경우, 어보미네이션과 레드 헐크를 세팅하고 윈터솔져의 경우, 태스크마스터(무비: 블랙 위도우)와 레드 헐크를 세팅한다.
3.19. 27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해당 회차의 세팅은 주로 좀비 완다를 리더/딜러로 두고 2버퍼 세팅을 하는 조합이며 한정판 유니폼 사타나나 닥터 부두 외에도 한정판 유니폼 모건을 넣기도 한다.
물론 굳이 좀비 완다가 아니여도 기존 스칼렛 위치 유니폼으로도 충분하며, 완다의 부재 시 12회차에서 처럼 고스트 라이더 조합을 쓰는 것도 나쁘지 않다.
3.20. 28회차
| <colcolor=#add7ff><rowcolor=#cee3ff> | 침묵 | 마비 | 화상 |
| 참가 가능 | | ||
| 리더 / 메인 딜러 | | | |
| 버퍼 | | | |
| 버퍼 | | | |
| 대체 딜러 | | | |
이 구간에서는 좀비 완다 세팅이나 진 그레이 세팅으로 쓰이는데 좀비 완다의 경우, 2버퍼로 모건과 신을[5], 진 그레이의 경우, 블랙 캣 리더에 신을 쓰기도 한다.
[1] 단, 이쪽은 2,500 수정을 주고 사야 한다.[2] 회피 무시 25% 증가 효과가 있다.[3] 갬빗은 매생 + 한정판 유니폼이 필요하고 매그니토는 디럭스 + 한정판 유니폼이 요구된다.[4] 접근성은 이 중에서 가장 좋지만 되갚류에 최적화된 샤론의 특성 상 극얼 점수는 인비저블 우먼은 물론이고 블루 드래곤보다 훨씬 떨어진다.[5] 물론 두 캐릭터의 유니폼은 한정판이기에 유니폼의 부재 시 인챈트리스와 프록시마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