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0:26

M109/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109
1. 개요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2.1.2. 캐나다
2.2. 남아메리카
2.2.1. 브라질2.2.2. 칠레2.2.3. 페루
3. 유럽
3.1. 중부유럽
3.1.1. 독일3.1.2. 스위스3.1.3. 오스트리아
3.2. 동유럽
3.2.1. 우크라이나
3.3. 서유럽
3.3.1. 벨기에
3.4. 남유럽
3.4.1. 이탈리아3.4.2. 스페인3.4.3. 포르투갈
3.5. 북유럽
3.5.1. 노르웨이3.5.2. 덴마크3.5.3. 라트비아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대한민국4.1.2. 대만
4.2. 동남아시아
4.2.1. 인도네시아4.2.2. 태국
4.3. 남아시아
4.3.1. 파키스탄
4.4. 서아시아
4.4.1. 레바논4.4.2. 사우디아라비아4.4.3. 이스라엘4.4.4. 이란4.4.5. 이라크4.4.6. 요르단4.4.7. 쿠웨이트
5. 아프리카
5.1. 북아프리카
5.1.1. 이집트5.1.2. 리비아5.1.3. 모로코
5.2. 동아프리카
5.2.1. 에티오피아5.2.2. 지부티

1. 개요

M109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M109A6M109A7을 도합 660문 이상 운용하고 있으며, M109A7을 추가로 도입하고 있다.

또한 현역 물자가 아닌 M109A6을 850문 가량 비축하고 있다.

2.1.2. 캐나다

M109를 도입하여 M109A4+ 사양으로 개량하여 운용했다. 현재는 전량 퇴역했으며, 후속 포병 전력으론 M777 155mm 곡사포를 운용하고 있다.

2.2. 남아메리카

2.2.1. 브라질

M109A3과 M109A5를 도합 136문 운용하고 있다. 보유 중인 M109의 현대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2.2.2. 칠레

M109A5와 M109 카웨스트를 각각 24문씩 보유하여, 총 48문의 M109를 운용하고 있다.

2.2.3. 페루

M109A2 12문을 운용하고 있다.

3. 유럽

3.1. 중부유럽

3.1.1. 독일

M109G/A3GE를 도합 500문 이상 도입했었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PzH2000을 운용하고 있다.

3.1.2. 스위스

Pz Hb M109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하여 운용했다. 2023년 기준 Pz Hb M109를 개량한 M109 카웨스트 133문을 운용하고 있다.

3.1.3. 오스트리아

M109A5Ö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3.2. 동유럽

3.2.1. 우크라이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각국으로부터 지원받아 다양한 형식의 M109를 150문 이상 운용하고 있다.

3.3. 서유럽

3.3.1. 벨기에

M109A2를 도입하여 일부는 M109A4BE 사양으로 개량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CAESAR를 도입 중이다.

3.4. 남유럽

3.4.1. 이탈리아

200문 이상의 M109L을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고, 후속 자주곡사포로 PzH2000을 도입하였다.

퇴역한 M109L은 비축 중이었는데,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이 중 상당수가 우크라이나로 지원되었다.

3.4.2. 스페인

M109A5 95문을 운용하고 있다.

3.4.3. 포르투갈

M109A5 18문을 운용하고 있다.

3.5. 북유럽

3.5.1. 노르웨이

M109A3GN을 50문 이상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후속 자주곡사포로 선정된 K-9 자주곡사포로 대체되어 비축물자로 전환되고 있다.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비축 중인 M109의 일부가 우크라이나로 지원되었다.

3.5.2. 덴마크

M109A3-DK를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현재는 전량 퇴역했으며, 후속 자주곡사포로 ATMOS 2000을 도입하고 있다.[1] 퇴역한 차량 중 일부는 우크라이나로 공여됐다.

3.5.3. 라트비아

M109A5Ö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55 자주곡사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대만

M109A2 197문과 M109A5 28문을 운용하고 있다.

M109A6의 도입도 추진하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취소되어 도입이 불발되었다.

4.2. 동남아시아

4.2.1. 인도네시아

M109A4BE 36문을 운용하고 있다.

4.2.2. 태국

M109A5 20문을 운용하고 있다.

4.3. 남아시아

4.3.1. 파키스탄

M109A2와 M109A5를 도합 785문 운용하고 있다.

4.4. 서아시아

4.4.1. 레바논

4.4.2. 사우디아라비아

M109A1B 87문, M109A2 24문, M109A5 48문을 운용하고 있다.

추가로 M109A6을 도입할 예정이다.

4.4.3. 이스라엘

M109A5+ 도허를 운용하고 있다.

2025년부터 로엠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4.4.4. 이란

수량 불명의 M109를 운용하고 있다.

4.4.5. 이라크

4.4.6. 요르단

4.4.7. 쿠웨이트

5. 아프리카

5.1. 북아프리카

5.1.1. 이집트

M109A2 420문과 M109A5 200문을 운용하고 있다.

5.1.2. 리비아

5.1.3. 모로코

M109A1과 M109A2를 도합 350문 운용하고 있다.

5.2. 동아프리카

5.2.1. 에티오피아

5.2.2. 지부티



[1] 본래는 덴마크 자주포 사업에선 CAESAR가 선정되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덴마크는 도입 예정이던 CAESAR를 그대로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그 대체품으로 ATMOS 2000을 긴급도입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