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슬리 오토매틱스의 MK8 슈퍼 모듈러 레일(Super Modular Rail, SMR) 핸드가드.
M-LOK(Modular Lock)
1. 개요
미국 맥풀에서 특허권을 내고 개발한 RIS 규격. 엠락/엠록이라고 읽는다.2. 역사
맥풀은 2007년 자사 고유의 레일 규격인 MOE(Magpul Original Equipment)을 적용시킨 핸드가드와 레일 액세서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피카티니 레일에 비해 필요한 곳에만 레일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1] 여러 가지 단점도 드러나면서 이것을 보완해 2014년 새롭게 출시한 규격이 바로 M-LOK.3. 특징
기존 MOE 규격은 일반적인 육각 볼트와 너트로 악세사리 장착을 하는 구조 덕분에 레일 안쪽에 접근해야만 악세사리 장착/탈착을 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2]
M-LOK에서는 이것을 개량해 M-LOK 구멍 크기에 맞는 전용 T-너트를 적용해서, 레일 바깥쪽에서 너트를 집어넣은 후 볼트를 조이다 어느 정도 힘이 걸리면 너트가 90도 돌아가 잠기는 구조를 적용했다.
또한 MOE가 미국 단위계로 생산되어 미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M-LOK에서는 SI 단위가 적용되면서 정확한 치수 적용이 가능해졌다.[3]
4. 현황
가볍다는 특성 덕분에 무거운걸 엄청 싫어하는 군인들에 의해 피카티니 레일의 후속으로 빠르게 자리 잡는 중이다. 기존의 피카티니 호환 제품도 피카티니 조각레일을 M-LOK에 부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난 것 역시 장점. 경쟁 규격으로는 키모드(KeyMod) 규격이 있는데 이쪽은 구조 특징상 내구도 문제가 있기 때문에[4] 요즘 들어서는 대부분 M-LOK으로 대체되는 추세.[5][6]군용 제식소총으로서는 에스토니아군이 2019년에 최초로 채용했으며 정식 명칭은 LMT R20 RAHE이다.
러시아에서는 칼라시니코프사가 가장먼저 도입했다. 드라구노프 돌격소총이나 PPK-20, RPL-20 등 총기에 적용했다. AK-12에 적용한 M-LOK 핸드가드도 공개했으나 2023년 현재 출시하지 않았다. AK-12용 핸드가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기 전까진 맥풀사에서 허가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7]
중국은 차기 소총 QBZ-191의 DMR 버전인 QBU-191에 처음 적용하였다.
국내에선 워리어 플랫폼 사양으로 개량 된 K1A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후속인 DSAR-15PC에는 정작 2000년대~2010년대 초반에나 많이 쓰였고, 현재는 M-LOK에게 대체되고 있는 쿼드 레일이 쓰였는데, 일개 사기업인 맥풀에서 통제를 받게 되는 라이센스를 얻는다는 것이 껄끄럽다는 [8]이유로 그랬다는 것이 밝혀지며 빈축을 사기도 했다. 다만 이후 DX KOREA 에서 M-LOK 핸드가드를 달고 나왔다.
5. 쿼드레일 vs 엠락
민수 시장에서는 좋아하는 사람들과 싫어하는 사람들로 극명하게 나뉘는데, 택티컬하고 깔끔한 외관 때문에 어떤 총기에도 잘 맞아서 좋다 vs 너무 흔하고 과대평가된 물건이며 총기 본연의 깔끔한 외관을 해친다[9], 쿼드레일에 비하면 튼튼해보이지도 않은 골다공증에 걸린것같고 별로 전투적으로 보이지도 않는다.의 의견으로 나뉜다. 중량감량을 위해 총열덮개가 휑하게 빈 이질적인 모습 때문에 실용성과는 별개로 외형적으로는 호불호가 다소 갈리는 편이다.방열커버 없이 사격했을때 쿼드레일보다 엠락이 열을 더 잘받는다. 이는 총열과 핸드가드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이 엠락이 더 좁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쿼드레일은 내부에 heat shield 라고 하는 얇은 알루미늄 판이 들어가서 열을 대신 받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엠락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핸드가드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 또는 기스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런것에 민감한 사람은 레일커버를 장착하여 핸드가드 손상을 막아야 하는데, 이때 쿼드레일의 장점은 모든 면에 레일커버를 장착하여 레일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엠락 핸드가드도 커버를 장착할 수 있지만 엠락 핸드가드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방열구멍 없이 엠락 구멍이 많은 핸드가드는 상관없지만, 엠락 구멍이 한 줄로만 되어 있고 방열구멍이 뚫여있는 핸드가드의 경우, 엠락커버를 장착할 면적이 한정되어 커버만으로 핸드가드 전체를 보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두번째로 쿼드레일은 레일 가장 뒷부분에도 맥웰 그립용 손잡이를 달 수 있지만 엠락은 가장 뒷부분에는 레일을 장착할 만한 슬롯이 없기 때문에 맥웰그립 본연의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부품 고정성이 피카티니 레일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는 것도 꽤 큰 단점. 탈부착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수천년의 역사와 전통의 신뢰성을 확보한 나사식 너트,볼트로 고정하는 피카티니에 비해 단 한번의 회전으로 고정하는 QD방식이라 아무래도 허술할수밖에 없다.
때문에 21세기 들어 나오고 있는 레일 부착형 유탄발사기같은 하부 총열 화기는 고정할수 없다. [10] 유탄의 반동이 결코 적은게 아니기 때문. 그래서 아예 M-lok용 유탄발사기 공급 자체가 거의 없으며.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유탄발사기를 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부품 고정성 자체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손잡이 같은 부품도 오래 쓰다보면 고정 나사가 헛도는 일도 잦은 편이다. M-lok을 채용한 핸드가드는 상부 레일 만큼은 피카티니를 유지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쪽은 고정성이 엄청나게 중요한 광학장비들이 부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엠락은 여전히 많은 장점(그립감[11], 무게 ..등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용적인 것을 따졌을 때는 엠락이 쿼드레일보다 더 나을것이다.
6. 관련 문서
[1] 피카티니 레일은 면 전체에 특유의 양각/음각 장착 플랫폼을 파놔야 했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고, 중량이 무겁고, 그립감이 뚱뚱해지고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2] 즉, 악세사리를 장착/탈착하려면 레일(핸드가드)를 전부 분해해서 너트를 조여/풀어줘야 한다는 뜻이다.[3] 다만 총기 시장의 주 수요층이 미국 본토이다보니 SI 치수를 다시 미국 단위계로 환산해서 해석하는 경우도 보인다. 당장 문서 최상단 규격 도면을 보면 인치로 표기되어 있다.[4] 레일에 한쪽 면으로 조여 고정시키는 방식이기에 큰 충격을 받으면 레일 홈이 찢겨나가는 것도 모자라 총열덮개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5] 애초에 맥풀이 M-LOK을 제작한 계기 중 하나가 KeyMod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6] 반면 헤클러 운트 코흐에서는 키모드 규격에서 구멍의 간격을 더 듬성듬성하게 만들어 내구도를 보완한, 독자적인 HKey 규격을 L85A3, HK416A7 등 자사의 총기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미군에 납품하는 총기들에는 Hkey가 아니라 M-LOK을 적용하였으며 L85A3 역시 M-LOK으로 변경하면서 결국에는 대세를 따르는 모양새가 되었다[7] PPK-20이나 드라구노프 돌격소총은 전쟁 이전에 출시되었다.[8] 차기 표준규격으로 사실상 내정된 M-LOK을 순전히 라이센스 하나로 거부했다는 것 자체가 얼토당토 되지 않는 이유다. 그랬으면 자위대나 폴란드군은 진작에 M-LOK을 정규군 총기에 안썼고 미군도 차기 제식 화기에 여전히 쿼드레일을 썼을 것이다.[9] 특히 M16A1이나 AKM 등의 복고풍 총기에서.[10] 하부에 피카티니 조각 레일을 달아서 장비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지만 그런식이면 에어소프트 건에도 실물 유탄발사기 달수 있다 실 사용은 거의 불가능. 한두발까진 버텨도 어느 정도 후엔 그냥 조준점이 춤을 춘다고[11] 쿼드레일 핸드가드의 경우엔 사방에 달린 피카티니 때문에 한 손에 잡기 불편할 정도로 크기가 커지고, 레일 때문에 생기는 까슬까슬한 그립감 역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