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20:29:29

M리그/2024-25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M리그|M리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3D3F45> 파일:M리그 로고.svg M리그
역대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1. 개요2. 선수진 변동
2.1. 드래프트 회의
3. 정규 시즌
3.1. 9월3.2. 11월3.3. 12월3.4. 2월3.5. 3월
4. 정규 시즌 결과5. 세미파이널 시즌6. 파이널 시즌7. 최종 결과8. 개인상 수상자

1. 개요


M리그의 7번째 시즌으로, 포맷은 지난 시즌과 같다.

오피셜 송은 UVERworld의 'WINGS ever' 이며, M리그 개막 시점에서 아직 발매되지 않은 완전 신곡이다. UVERworld와의 3년 연속 타이업이자 첫 번째 완전 신곡 타이업이다. 이후 12월 4일 싱글 'MMH' 의 수록곡으로 발매되었다.

중계 UI가 상당히 많이 개선되었는데, 각 선수의 차례마다 그 선수가 후로한 패를 인서트로 보여주고, 많은 시청자들이 원해왔던 텐파이 시 남은 화료 패의 매수도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번 시즌부터 산토리BOSS 캔커피가 스폰서에 추가[1]되었는데, 콜라보 광고가 여러 의미로 굉장했다. 작패가 그려진 패키지의 BOSS 커피 캔을 진짜 작패 대신 사용하여 이벤트 대국을 진행한 것. 캔으로는 작탁에 패산을 쌓아둘 수가 없어서 쯔모는 각 선수 뒤에 비치된 자판기에서 커피 캔을 뽑는 것으로, 도라 등의 왕패는 온장고에 캔을 비치해두는 것으로 대체했다. 대국자는 동남서북 순으로 오오이 타카하루, 다테 아리사, 스즈키 유우, 쿠로사와 사키. 동1국만 진행했으며 쿠로사와가 오오이를 무려 하네만으로 쏘면서 화료했다.

2. 선수진 변동

계약 갱신 공지는 2024년 6월 10일까지다.

2.1. 드래프트 회의

드래프트 회의는 2024년 6월 28일 진행하며, 이전과 달리 ABEMA가 아닌 M리그 공식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었다.
<colbgcolor=#f5f5f5,#050505> RD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파일:team-raiden-logo.png 파일:beast-japanext-logo.png 파일:konami-mfc-logo.png 파일:shibuya-abemas-logo.png 파일:ex-furinkazan-logo.png 파일:kadokawa-sk-logo.png 파일:akasaka-drivens-logo.png 파일:unext-pirates-logo.png
1 타케우치 겐타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colbgcolor=#f5f5f5,#050505> -
2 아사이 타카키
- - - - - - - -

지난 시즌 7위 BEAST Japanext와 8위 TEAM RAIDEN은 최종순위 7위 이하로 이번 시즌을 마감할 경우 멤버 변동이 불가피해진다.[2]

3. 정규 시즌

3.1. 9월

<rowcolor=#fff> 9월 성적 9월 30일 종료 이후 누적 성적
<rowcolor=#fff>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1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6 2 3 0 1 108.8 1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6 2 3 0 1 108.8
2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0 3 3 2 2 98.3 2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0 3 3 2 2 98.3
3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6 2 2 1 1 49.1 3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6 2 2 1 1 49.1
4 파일:beast-x-logo.png
BEAST X
8 3 1 1 3 6.6 4 파일:beast-x-logo.png
BEAST X
8 3 1 1 3 6.6
5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8 2 2 1 3 ▲16.2 5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8 2 2 1 3 ▲16.2
6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0 2 3 3 2 ▲40.4 6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0 2 3 3 2 ▲40.4
7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8 1 1 4 2 ▲50.4 7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8 1 1 4 2 ▲50.4
8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8 2 1 3 2 ▲73.2 8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8 2 1 3 2 ▲73.2
9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8 1 2 3 2 ▲102.6 9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8 1 2 3 2 ▲102.6

3.2. 11월

3.3. 12월

<rowcolor=#fff> 12월 성적 12월 27일 종료 이후 누적 성적
<rowcolor=#fff>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1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14 6 2 4 2 183.1 1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52 19 14 10 9 672.2
2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14 5 2 5 2 142.6 2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52 17 16 6 13 463.8
3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14 5 4 2 3 139.3 3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52 17 15 11 9 409.1
4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4 2 7 2 3 ▲7.4 4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54 14 15 13 12 223.1
5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14 2 4 5 3 ▲22.1 5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54 11 19 13 11 ▲33.4
6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14 4 4 1 5 ▲27.7 6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54 14 10 15 15 ▲85.6
7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14 3 4 4 3 ▲37.8 7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54 13 11 14 16 ▲294.9
8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4 3 3 4 4 ▲50.2 8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54 9 12 18 15 ▲391.5
9 파일:beast-x-logo.png
BEAST X
16 2 2 5 7 ▲319.8 9 파일:beast-x-logo.png
BEAST X
54 7 7 20 20 ▲982.8

3.4. 2월

<rowcolor=#fff> 2월 성적 2월 28일 종료 이후 누적 성적
<rowcolor=#fff>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1 파일:beast-x-logo.png
BEAST X
14 4 6 0 4 89.6 1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82 29 23 15 15 1011.9
2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14 4 4 3 3 67.1 2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82 24 23 14 21 475.6
3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14 3 6 1 4 34.3 3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80 24 23 17 16 472.5
4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16 3 4 5 4 16.9 4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82 21 18 23 20 17.4
5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14 4 1 6 3 ▲9.7 5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82 18 24 23 17 ▲52.9
6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14 2 6 4 2 ▲28.7 6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82 20 17 25 20 ▲215.6
7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14 4 3 2 5 ▲36.7 7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82 17 20 22 23 ▲376.6
8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4 4 1 5 4 ▲58.8 8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82 17 19 24 22 ▲441.2
9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4 4 1 6 3 ▲74.0 9 파일:beast-x-logo.png
BEAST X
82 15 16 21 30 ▲931.1

3.5. 3월

<rowcolor=#fff> 3월 성적 정규 시즌 최종 성적
<rowcolor=#fff>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순위 경기 1 2 3 4 우마
1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4 7 4 1 2 383.2 1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96 34 25 18 19 1115.5
2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4 4 8 0 2 190.6 2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96 28 27 22 19 481.2
3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14 5 2 3 4 103.6 3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96 26 26 19 25 339.8
4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14 5 1 4 4 27.3 4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96 25 28 24 19 330.3
5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14 2 5 6 1 9.6 5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96 25 26 23 22 208.0
6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16 4 4 5 3 8.7 6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96 22 22 31 21 ▲206.0
7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14 2 3 5 4 ▲135.8 7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96 22 20 28 26 ▲413.9
8 파일:beast-x-logo.png
BEAST X
14 2 2 5 5 ▲212.5 8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96 18 23 25 30 ▲751.3
9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14 1 3 3 7 ▲374.7 9 파일:beast-x-logo.png
BEAST X
96 17 18 26 35 ▲1143.6

* 아카사카 드리븐즈
한때 후토시의 역만 방총 등등 전체적으로 주춤하던 사이에 1000 포인트 방어선이 무너지기 직전 단계까지 왔었지만(1000.3), 다시 귀신같이 반등하면서 결국에는 1100 포인트를 넘는 말도 안 되는 성적으로 정규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세미파이널 시즌에서 포인트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는 하지만, 줄어들어도 당장 2위 팀과 300 포인트 정도 벌어져 있기 때문에 웬만한 삽질을 하지 않는 이상은 파이널 시즌까지의 티켓도 따놓은 당상이라도 봐도 무방할 것이다.
여담으로 소노다가 3월에 갑자기 개인 성적을 끌어올리면서 MVP 사정권까지 들어왔고, 3월 마지막 주에는 혼자 4연투를 하면서 MVP를 노렸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심지어 팀의 마지막 시합이었던 3월 27일에는 소노다가 오라스에 국사무쌍까지 화료하면서 기적을 보여주나 싶었지만, 시라토리가 끝까지 포인트를 사수하면서 결국 근소한 차이로 MVP 경쟁에서 져버렸다. 물론 그 다음 날인 3월 28일에 순위가 또 다시 바뀌었기에 어차피 무리였지만... 이렇게 또 소노다의 무관 행진은 이어간다
* U-NEXT Pirates
3월에 와서 조금 주춤하기는 했지만, 2위였던 세가사미 피닉스가 부진했던 덕분에 최종 성적을 2위로 마무리하였다. 선장인 코바야시 고가 마이너스 포인트로 끝낸 게 아쉽기는 하지만, 그만큼 나카바야시가 포인트를 더 벌어줘서 3월도 어떻게든 플러스 성적으로 마무리하기는 했다.
사실 시즌 중후반부터 미즈하라는 진작에 현재 1위인 드리븐즈를 경계하기도 했고, 종합적인 면에서도 현재 드리븐즈의 독주를 무너뜨릴 수 있는 최유력 팀으로 뽑히고 있다. 하지만 3월이 그렇게 순탄하지만은 않았기에 다시 재정비를 하여 세미파이널 시즌에서 드리븐즈를 따라잡을 수 있도록 더욱 분발해야 할 것이다.
* 세가사미 피닉스
결국 2월에 이어 3월에도 전체적으로 힘을 내지 못하면서 3위로 마무리하였다. 이마저도 라이덴에게 포인트를 따라잡혀 4위로 끝날 수도 있었지만, 다이고가 마지막에 기적같은 대역전극을 만들어 가까스로 3위 자리는 지킬 수 있었다.
시즌 초중반에 최강이었던 겐타는 결국 후반에서 힘을 못 쓰며 MVP를 획득하는 데에 실패하였지만, 대신에 다이고가 결국 MVP를 획득하는 데에 성공했다. 심지어 마지막 날 경기에서는 남3국 종료 시점까지만 하더라도 히사토의 MVP 획득이 유력했는데, 마지막 오라스에서 다이고의 기적같은 배만 쯔모로 결국 히사토를 끌어내리며 드라마 한 편을 써내버렸다.
하지만 이대로 간다면 세미파이널 시즌은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다. 타카키가 그나마 2월에 비해 성적이 약간은 올라왔다고는 하지만, 그 대신에 카야모리와 겐타가 포인트를 잃어버렸고 다이고는 2월 성적과 비교했을 때 정확히 +-0다. 세미파이널에서 포인트가 절반으로 줄어들고도 계속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최악의 경우에는 다른 팀에게 역전 당하며 세미파이널에서 탈락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반등을 해야만 할 것이다.
* TEAM RAIDEN
라이덴 7년 역사상 최고의 한 달을 보냈다. 2월까지만 해도 +100~▲100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4위 이내에 드냐 안드냐 걱정을 하던 라이덴이었지만, 3월에 모든 우주의 기운이라도 모였는지 갑자기 포인트를 미친 듯이 벌어들이면서 라이덴 7년 역사상 처음으로 정규 시즌을 플러스 포인트로 마감하게 되었다. 심지어 잠시 세가사미 피닉스를 뒤집으면서 3위까지 올라오기도 했었지만, 시즌 마지막 날에 다이고의 라스트 스퍼트로 인해 다시 4위로 내려오며 정규 시즌을 마감하였다.
오죽하면 선수 본인들도 처음에는 이 상황을 즐기다가 나중에는 너무 이겨서 뭔가 이상하다는 말까지 할 정도였다. 이 승리의 원인이 최근에 계속 가져온 간식인 다이후쿠모치에 있다던가, 머리카락을 자른 대신에 승리를 했다던가 별에별 원인(?)까지 생긴 건 덤.
하지만 라이덴의 정규 시즌 마지막 날인 3월 25일에는 유일한 마이너스 포인트였던 하기와라가 연투까지 하면서 플러스 포인트로의 반등을 노렸지만 2연속 4착을 찍어버리며 라이덴의 3월 전설은 북산 엔딩이 되어버렸다.
물론 마지막이 아쉽게 끝나기는 했지만, 한때 부진했던 쿠로사와와 세토쿠마가 부활하기도 했고, 라이덴이 첫 역사를 쓰긴 한지라 팀 분위기는 매우 좋은 편이다. 3월의 이 기조를 잘 이어갈 수 있다면 2022-23 시즌 이상의 드라마를 쓸수 있을 것이다. 물론 불안 요소가 있다면 하기와라, 그리고 한 번 제대로 무너지기 시작하면 끝을 모르는 라이덴 특유의 고질병.
* 코나미 마작 파이트 클럽
히사토의 원맨쇼. 그냥 3월에 혼자 다했다고 봐도 된다. 나머지 3명이 2월에 비해 살짝 포인트가 깎였는데, 마왕님께서 제대로 각성하시면서 3월 팀 성적을 2위로 마무리 지으셨다(...) 심지어는 MVP 자리까지 넘볼 성적이었고 실제로 MVP 직전까지 갔었지만, 마지막 오라스에서 다이고에게 배만 쯔모 오야카부리를 당하는 바람에 아쉽게도 눈 앞에서 MVP 자리를 놓치게 되었다. 그래도 히사토 덕분에 정규 시즌은 일단 +100 포인트 대에서 스타트하게 되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다른 선수들이 주춤하고 있는 것이 불안 요소이다. 그리고 히사토는 어지간하게 중요한 상황이 아닌 이상 연투를 기피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다른 팀원들의 반등이 정말 절실하다. 현재로서는 세미파이널에서 상위 팀을 따라잡으려면 다른 팀들에 비해 1~2승만 추가로 더 하면 된다지만, 그마저도 상황이 어떻게 될 지는 모르는 것이고 파이널 진출이 아니라 우승을 바라본다면 저기 저 멀리 드리븐즈가 말도 안 되는 성적으로 버티고 있기에 전체적으로 더욱 분발해야할 것이다.
* 시부야 ABEMAS
3월에도 한동안 1착을 못하는 등 불안한 요소가 이어졌지만, 3월 후반에 시라토리, 히나타를 필두로 어떻게든 버티면서 세미파이널 시즌 진출에 성공하였다. 어찌보면 아베마즈 7년 역사상 가장 위험한 시즌을 보냈다고 해도 될 것이다. 그래도 시라토리가 MVP를 노릴 정도로 팀을 하드캐리하기도 했고, 실제로 3월 27일 시점에서 타 팀의 마지막 경기 전까지는 시라토리가 수위였지만 안타깝게도 3월 28일 경기에서의 다이고, 히사토의 분발로 MVP 자리는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대신에 히나타가 4위(4착) 회피율 개인상에 필요한 경기 규정 수인 20번째 경기를 멋지게 1착으로 마무리하면서 팀에게도 최고의 결과를 안겨주며 개인상을 획득하였다.
반면에 마츠모토와 오오이가 끝까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심지어 세미파이널을 통과했다고는 하지만 다른 팀과 다르게 유일하게 마이너스 포인트로 시작한다. 포인트가 반으로 줄어들어도 5위인 코나미와는 당장 200 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나고, 4위 안으로 들려면 5~6승 가까이를 추가로 챙겨야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6위 통과 팀은 세미 파이널에서 가장 피곤한 일정(4연속 일정 x 2세트)으로 진행하는 건 덤이며 마지막 날에 경기가 없다는 것도 위험한 요소이다. 매 경기마다 시라토리나 히나타에게 맡길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마츠모토와 오오이가 세미파이널 시즌에서 얼마나 잘해주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 KADOKAWA 사쿠라나이츠
결국 이변은 없었다. 팀의 에이스인 호리 마저도 3월에 무너져 내리면서 결국 세미파이널 시즌 진출을 실패하게 되었다. 특히 3월 18일 경기에서 호리가 연투를 했지만 2연속 4착을 찍어버린 게 너무 치명타였다. 그나마 시즌 마지막 주에는 우치카와-오카다-시부카와가 1착을 찍으며 조건전의 희망을 이어갔지만 이 조건전에는 아베마즈의 3-4착 역시 필수였고, 아베마즈는 그럴 때마다 시라토리나 히나타를 등판시키면서 어떻게든 점수를 지켜나가며 아베마즈를 끌어내리기는 역부족이었다.
사실 생각지도 못했던 이변이 있었다면 오카다의 등판 및 1착. 이번 시즌의 오카다가 지나치게 부진했던지라 팬들은 모두 3월에서의 등판이 없을 줄 알았으나, 마지막 주인 3월 25일에 갑자기 등판해서 기여코 1착으로 마무리하였다. 사실 이 1착도 굉장히 아슬아슬 했었는데, 하기와라가 거의 4착이 확정된 상황에서 상위 팀에게 포인트를 주지 않기 위해 오카다를 작게나마 어시스트 한 게 도움이 되었다. 이 덕분에 이번 시즌 개인 성적 최하위만큼은 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1착으로도 커버가 안 될 정도로 오카다의 포인트 부채가 너무 컸다. 이번 시즌 전체적으로 부진했던 우치카와마저도 시즌을 끝내보니 22위인 ▲56.6 포인트로 어떻게든 위로 올라오긴 했지만, 남은 3명이 다 합쳐도 오카다의 ▲506.5를 커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물론 이번 시즌의 오카다는 진짜 지독하게 운이 안 따라 준 것도 있었기에 지나치게 비판할 수는 없겠지만, 오카다가 심각하게 부진하지만 않았어도 세미파이널까지는 진출할 수도 있었다는 게 중론이다.[9]
* EX 풍림화산
2월까지만 하더라도 사쿠라나이츠보다는 세미파이널 진출에 가망이 있던 팀이었지만, 3월 들어서 4명이 모두 부진에서 헤어나오질 못하며 사쿠라나이츠에 비해 더 빠르게 희망의 불씨가 사라져버렸다. 3월 13일 경기에서 카츠마타가 국사무쌍을 화료하기도 하면서 최대한 희망을 이어가려는 노력을 하기도 했지만 결정타가 되었던 건 3월 21일 경기에서 아키와 카츠마타가 나란히 4착을 찍어버린 것. 이 경기가 94/96경기 시점이었기에 남은 2경기로 아베마즈를 따라잡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해져버렸다. 그리고 마지막 2경기에서도 루미와 마츠가세가 좋지 못한 모습으로 경기를 끝낸 건 덤.
사쿠라나이츠가 한 선수의 심각한 부진으로 인해 세미파이널 시즌 진출에 실패했다면, 이 팀은 4명이 골고루 부진했다. 그나마 아키가 약간 플러스 점수이고, 나머지 3명이 죄다 마이너스 200 포인트를 넘어버리니... 사실 제일 심각한 BEAST X이 독보적이라서 그렇지, 풍림화산 역시 심각한 상황인 것은 사실이다. 다음 시즌까지 이 기조를 이어나간다면 레귤레이션에 걸릴 위험도 매우 높은 상황이기에 다음 시즌에서는 심기일전하여 경기에 임해야 할 것이다.
* BEAST X
결국 ▲1000 포인트를 넘은 채 마지막까지 좋지 못한 모습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그나마 2021-22 시즌 라이덴의 ▲1256.1 기록만큼은 넘기지 않았다는 게 위안거리. 그리고 나카다는 결국 이번 정규 시즌을 최하위 성적(▲575.4)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사실상 12월 시점에서 이미 세미파이널 진출이 절망적이라고 평가를 받아왔었고, 다이스케 이외의 나머지 세 선수가 끝까지 부진하다보니 정규 시즌 탈락은 이미 확정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 팀은 2년 연속 세미파이널 시즌 진출 실패로 인한 레귤레이션에 의해 이번 시즌에서 선수 1명 이상의 교체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인데, 누구를 내보내고 누구를 영입할 지도 관심 요소 중 하나이다. 두 시즌 모두 워낙 부진했다보니 일각에서는 아예 2명 이상을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

4. 정규 시즌 결과


<rowcolor=#fff> 순위 우마
1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1115.5
2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481.2
3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339.8
4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330.3
5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208.0
6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206.0
7 파일:kadokawa-sk-logo.png
KADOKAWA 사쿠라나이츠
▲413.9
8 파일:ex-furinkazan-logo.png
EX 풍림화산
▲751.3
9 파일:beast-x-logo.png
BEAST X
▲1143.6

5. 세미파이널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리그/2024-25/세미파이널 시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리그/2024-25/세미파이널 시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리그/2024-25/세미파이널 시즌#|]][[M리그/2024-25/세미파이널 시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5년 4월 7일부터 5월 1일까지 정규 시즌 상위 6팀이 치르는 세미파이널 시즌이다.
<rowcolor=#fff> 순위 개시 시점 포인트 세미파이널 시즌 포인트 세미파이널 최종 포인트
1 파일:akasaka-drivens-logo.png
아카사카 드리븐즈
557.8
2 파일:unext-pirates-logo.png
U-NEXT Pirates
240.6
3 파일:segasammy-phoenix-logo.png
세가사미 피닉스
169.9
4 파일:team-raiden-logo.png
TEAM RAIDEN
165.2
5 파일:konami-mfc-logo.png
KONAMI 마작 파이트클럽
104.0
6 파일:shibuya-abemas-logo.png
시부야 ABEMAS
▲103.0
* 3/28 정규 시즌 종료 시점 기준. 세미파이널 시즌 종료 후 갱신 예정.

6. 파이널 시즌

7. 최종 결과

8. 개인상 수상자

MVP 다이고 히로시(세가사미 피닉스) 438.6
최고 스코어 스즈키 다이스케(BEASTX) 91300점
4위 회피율 히나타 아이코(시부야 ABEMAS) 95%


[1] 닛신식품과는 결별.[2] 지난 시즌 9위 세가사미 피닉스는 멤버 교체를 진행했기 때문에 의무 변동 대상이 아니다.[3] 국후 인터뷰에서 2만과 3만의 안커를 잘못 봐서 애초에 후리텐이 아닌 줄 알았다고 한다. 오오이 타카하루 개인 문서에 적혀 있듯 오오이는 시력이 매우 나쁘며, 대국 이후 개인 X에서 앞으로는 안경을 쓰겠다고 밝혔다.[4] 첫 번째는 19-20시즌 사와자키, 두 번째는 21-22시즌 우오타니가 기록했는데, 두 번 모두 리치를 잘못 건 노텐 리치였다.[5] 4위 통과의 장점은 세미 파이널 시즌의 최종전이 1~4위로 편성된다는 것. 이는 그만큼 세미 파이널 시즌에서 남은 팀을 상대로 조건전을 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6] 특히 라이덴 같은 경우는 이번 정규 시즌도 가장 빨리 끝나는 대진 카드가 배치되어 버렸는데, 4위 통과를 하지 못하게 된다면 세미 파이널 시즌에도 본인들이 타겟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다른 팀에게 타겟으로 노려질 확률이 높다.[7] 작년 세미 파이널 시즌을 보면, 6위 팀은 4경기 연속 x 2세트로 시합을 뛰는 불리한 대진 카드를 받았다. 선수들의 체력 관리 역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6위 팀에게는 이 또한 상당히 괴로운 요소이다.[8] 여담으로 팀 외적으로도 분위기가 가장 안 좋은 팀인데, 1/24에 있었던 오카다의 부적절한 언행 및 그에 대한 미숙한 사후 대처로 인해 오카다와 팀에게 등을 돌려버린 팬들이 많다. 이런 안 좋은 분위기를 어떻게 잘 다스리냐도 하나의 관건이 될 것이다.[9] 물론 오카다가 현재 심각하게 비판받는 이유는 최근에 있었던 폭언으로 인한 인성 논란도 한몫하기는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