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19:12

K413 세열수류탄

K400에서 넘어옴
파일:K413_grenade.png
K413
Korea 413
종류 세열수류탄
개발 및 생산 한화
연도 1994년 ~ 현재
운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고 72mm
전장 55mm
중량 260g
작약 B형복합 고폭약
신관 지연식 K414
지연시간 4 ~ 5초
살상반경 10 ~ 15m
1. 개요2. 역사3. 특징4. 종류
4.1. K416/417/418
5. 제조결함 의혹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세열수류탄.

2. 역사

한국 전쟁 이후 한국군은 미 육군을 통해 M26/M61 세열수류탄M67 세열수류탄을 인계받아 제식장비로 사용하였으나 1975년 M67 수류탄을 베이스로 K75(K400) 수류탄[1]을 개발하여 제식화하였으며, 이후 1994년 보다 작고 가벼운 K413 수류탄을 개발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특징

파일:20101229094700.jpg
탄체로 사용되는 텅스텐 큐브의 모습
기존 상당히 크고 무거웠던 K400 수류탄[2]과 비교시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사이즈로 제작되어 투척성과 휴대성이 증대하였다.

단순히 로 된 탄체에 엠보싱 처리만을 했던 K400과 달리 K413은 텅스텐 큐빅 탄자로 이루어진 탄체를 사용해 크기와 작약은 줄었지만 살상반경은 줄어들지 않았다. 그러나 생산공정이 복잡해지고 단가가 올라갔다고 한다.

4. 종류

구분 파일:K400_grenade.jpg 파일:K413_grenade.png 파일:Practice_K417_grenade.png
명칭 K400(舊 K75) K413 K416/417/418[3]
연도 1975년~1995년[4] 1994년~현재 2006년~현재
도색 국방색 국방색 청색
작약 B형 복합고폭약, 130g B형 복합고폭약, 62g 없음[5]
탄체 텅스텐 큐빅 황토
신관 지연식 K402 지연식 K414 옥수수 전분

4.1. K416/417/418


영상은 K417 훈련용 수류탄 제조 과정 및 특징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K416 ~ K418 훈련용 수류탄은 한국씨앤오테크㈜에서 제조하고 있다. K416 ~ K418 훈련용 수류탄의 특징으로 옥수수 녹말로 만들어지는 신관 부위에 소량 들어있는 0.9그램의 화약이 폭발을 일으키지만 작약 부위에 들어있는건 전부 황토이며, 웬만한 폭죽보다 화약량이 적고 황토가 모든 폭발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손에서 폭발해도 사람이 다치지 않는다.

파일:연습용 수류탄 폭발시연.gif
상남자

K417 훈련용 수류탄 이외에도 K400 세열수류탄의 훈련용으로 K401 훈련용 수류탄도 있다.[6] 또한 K410 연습용 수류탄(구형)도 있으며 K413(신형) 세열 수류탄의 훈련용으로 K479 연습용 수류탄도 있다. K479의 경우 수류탄의 투척 전 조작방법을 익히고 실전용 수류탄을 자신감 있게 투척할 수 있도록 투척자세, 투척방법 및 투척요령을 숙달하기 위한 모의 훈련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해외 수출도 고려하여 M67 세열수류탄 훈련용으로 한국씨앤오테크 사에서 개발한 CN 69 훈련용 수류탄도 존재하고 있으며 M26/M61 세열수류탄 훈련용으로 CN 26 훈련용 수류탄도 있다.

5. 제조결함 의혹

수류탄 훈련 중 이상폭발하는 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2014년 정기시험결과 30발 중 6발이 3초내 조기폭발을 한 사례가 있는가 하면, 2015년에는 제50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폭발사고로 인해 인명사고가 발생했고, 2016년에는 3년 연속으로... 안전손잡이가 분리되지 않았는데도 훈련병 손에서 폭발해 부산지방법원에서 제조사 한화에게 손해배상을 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군에서 수류탄 품질결함조사위원회까지 만들어 사고원인 조사에 나섰지만 각 기관과 전문가들끼리도 의견이 다르고 규명도 어려워 사실상 성과가 없다고 한다. 이상폭발 현상은 당연히 신관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작동한다는 뜻인데, 이게 어떠한 이유에서 작동하는지 원인규명이 확실하게 나오지 않는다는 것. 수류탄은 폭발해버리면 잔해를 조사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더욱 수사에 난점이 되었다.

계속해서 사고가 발생하자 제조사 측에서는 신관구조와 안전손잡이 개선 등 안전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고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AC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RAD,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6X5C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현대 페슈메르가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D2024> [[페슈메르가|페슈메르가(2003~)
پێشمەرگە
]]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 돌격소총 AKM, MPi-K, PM.md.63, AK-63, AMD-65, 56식 자동소총, AK-74, AKS-74, M92, G3, G36, M16A1, M16A2, M16A4, M4A1
저격소총 타부크 저격소총, 자스타바 M91. PSG1, SVD, SVU, M40A1, M24 SWS, M82A1
기관단총 MP5, UZI, M12, PM-63
권총 발터 P1, TT-33, 마카로프 권총, 베레타 92, P226,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17, 글록 26
지원화기
기관총 MG3, RPD, PKM, M249, M240B, DShK, M2 브라우닝
유탄발사기 M79, Mk.19, AG36, QLZ-87
대전차화기 RPG-2, RPG-7, RPG-29, 판처파우스트 3, 칼 구스타프 M2, AT4, BGM-71, 밀란 대전차 미사일, HJ-8, SPG-9, 9K111, 9K113, 9K135
유탄 F-1, DM41, K41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족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1975년에 개발 완료하여 실전배치된 시기에는 K75 수류탄이라는 제식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1980년대 K400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한다.#[2] 총중량 450g, 충전재 130g, 전고 90mm, K413과 비교해 거의 2배의 크기와 무게를 가졌다.[3] 라벨과 연막의 색상이 적색이 K416, 황색이 K417, 백색이 K418이다. 자세한 성능은 출처를 참고.[4] 1995년도분 K400 생산을 마지막으로 K413을 신규생산하고 있다. 기존 K400은 각 부대에 재고로 쌓였다. K75는 K400의 이전 명칭으로 1980년대 개명되었다.[5] 신관에 들어있는 0.9그램의 화약이 폭발력의 전부다.[6] 해당 블로그에서는 K413 세열수류탄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지를 자세히보면 K401와 K417 훈련용 수류탄 이미지가 같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