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0:22:03

HMMWV/파생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HMMWV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HMMWV|
파일:HMMWV(3D,백).png
파일:HMMWV(3D,흑).svg
]]
[[HMMWV|{{{#27408B,#314990 '''{{{#!wiki style="font: 1.0em/0.2 monospace; font-family: revert;"]]관련 문서
}}}
파생형 운용국 미디어

1. 개요2. M1097
2.1. M1097A12.2. M1097A2
3. M11654. M998
4.1. M998A14.2. M998A2
5. M1038
5.1. M1038A1
6. M9667. M10258. M10439. M1036
9.1. M1036A1
10. M997
10.1. M997A110.2. M997A210.3. M997A3
11. M1035
11.1. M1035A111.2. M1035A2
12. 장갑 증설형13. 어벤저14. 험람15. 민수용

1. 개요

베스트셀러 차량답게 미국 해병대가 주로 운용하는, 미군의 주력 대공 차량인 어벤저, 구급차 등의 수많은 파생형이 있는데, 험비 차체 위에 AIM-120 암람을 얹은 험람이라는 물건도 있다. TOW 탑재형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과 개량형들이 있다.

2. M1097

파일:hmmwvm1097.jpg
하드탑 차량.

2.1. M1097A1

파일:m1097a1.jpg

2.2. M1097A2

파일:m1097a2.jpg

3. M1165

파일:m1165.jpg
지휘통제차량.

4. M998

파일:m998.jpg
파일:m998humvee.jpg
파일:M_998 HMMWV.jpg
병력/화물 수송차량.(픽업트럭)

4.1. M998A1

4.2. M998A2

5. M1038

파일:m1038.jpg
병력/화물 수송차량.

5.1. M1038A1

6. M966

파일:M966 tow.jpg
무장탑재차량.

7. M1025

파일:M1025.jpg
무장탑재차량.

8. M1043

9. M1036

파일:m1036 tow.jpg
BGM-71 TOW 탑재차량.

9.1. M1036A1

10. M997

파일:M997.jpg
구급차.

10.1. M997A1

10.2. M997A2

10.3. M997A3

파일:M977A3.jpg

11. M1035

파일:M1035A2.jpg
구급차.

11.1. M1035A1

11.2. M1035A2

12. 장갑 증설형

파일:external/www.warwheels.net/m1114HMMWVbelue1.jpg
M111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1151.jpg
M1151 Up-armored HUMVEE[1]
전군 차원에서 모듈화한 장갑 패널을 공급해 본격 장갑 험비로의 개량이 진행 중이고 주한미군도 대다수를 이 사양으로 만들었다.[2] 물론 당초 지프의 후계자로서 경트럭 비슷한 개념으로 만들었지 전투용 장갑차로 만든 물건이 아니기에 이렇게 장갑판을 덕지덕지 붙여도 한계는 조금 있다. IED테러리스트들이 설쳐대는 이라크 전장 환경상 사세부득이 그렇게 된 것이고 MRAP가 대량으로 발주되는 계기가 되었는데 MRAP는 또 지뢰와 기습공격에만 대응하는 데 치중해서 범용성이 떨어진다.

그래도 '치안유지'와 범용성은 M2 브래들리보다 효율적이라는 평이 우세하고 지프보다는 당연히 훨씬 낫다. 대만군도 험비를 사용한다. 이 경우는 돈 주고 사온 게 아니라 미국에서 원조받은 것이다. 이라크군도 험비를 이용한다.

이런 장갑 증설형 험비는 몰아 보면 차체가 무거운 게 확 느껴진다. 험지 주행 시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진다고 한다.[3]

관측을 하기 위해서 아니면 지붕의 중기관총을 사용하기 위해 몸을 내민 승무원을 적군 소총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OGPK라고 불리는 장갑판 방호 패키지를 추가하는 경우가 많다.

13. 어벤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TWQ-1 어벤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venger-aads_usa 0.jpg
어벤저(Avenger Air-Defense System)

14. 험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HMMWV.jpg
험람/슬램람(SLAMRAAM. Surface Launched AMRAAM)
슬램람은 다른 명칭으로 CLAWS(Complementary Low-Altitude Weapon System: 저고도 보완방공 시스템) 라고도 부른다.

15. 민수용

파일:Hummer_H1.jpg
Hummer H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머 H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한국에서는 주로 장갑험비로 불린다. 험비 자체가 경장갑 차량이므로 잘못된 표현이다.[2] 실제 전투를 치를 일이 없는 주한미군 병사 및 카투사의 처지에서, 장갑 험비 최대의 개선은 방어력 따위가 아니라 이전 모델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에어컨이 달려 있다는 점이다.[3] 이건 대한민국 국군에서 운용하는 K-151을 몰아보면 느낄 수 있다. 비방탄 사양의 경우 225마력이라는 출력을 십분 활용해서 거대한 덩치에도 불구하고 생각없이 속력을 올려댈 수 있지만 방탄 사양은 전혀 다른 차로 느껴질만큼 둔중하게 움직인다. 특히 8인승 방탄 지휘차는 무게중심까지 높아 비포장에서 좀 기울어졌다 싶으면 바퀴가 헛돌아 자력으로는 못 빠져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0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