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4 12:43:28

Green Hell/조합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reen Hell
1. 개요2. 조합 목록
2.1. 기본 조합2.2. 칼2.3. 도끼2.4. 창2.5. 붕대류2.6. 방어구2.7. 기타2.8. 요리

1. 개요

Green Hell의 아이템 조합법에 대한 문서.

2. 조합 목록

2.1. 기본 조합

2.2.

칼은 인벤토리 무기 슬롯에도 들어가지만 무기 슬롯 옆의 작은 공간에도 들어가는 유일한 물건으로 이게 없으면 시체 해체가 불가능하다.

2.3. 도끼

2.4.


그린헬에서 창은 투창이 가능하며 머리에 맞추면 무조건 일격, 몸에 박히면 강력한 데미지와 함께 막대한 출혈데미지를 강요한다. 머리에 못 맞추더라도 몸 어디든 맞추고 도끼 등으로 공격하면 훨씬 유리한 전투 이점을 가져가는셈, 하지만 투창 자체의 선딜 모션이 있고 이 모션 도중에 맞게되면 모션이 끊겨서 다시 해야하므로 기습 받았을 때는 다소 불리하다.

2.5. 붕대류

2.6. 방어구

2.7. 기타

2.8. 요리

작은불이든 뭐든 일단 불을 피울 수 있다면 기본적인 요리를 할 수 있다. 불은 요리가 가능한 슬롯을 가지고 있고 그곳에 요리 할 음식 재료를 드레그해서 올리면 자동적으로 요리가 시작된다.

- 요리(구움) : 그린헬을 시작해 불만 피우면 바로 할 수 있는 요리법이다. 사실상 다른 요리법이 조리기구 마련, 조리시간이 김, 비교적 긴 유통기간이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함. 등의 요인으로 생존모드든 스토리모드든 거의 주력 요리법이다. 구을 재료를 드레그로 불의 요리슬롯에 올리면 되며 요리가 완료 된 뒤에도 구워진 고기 등을 꺼내지 않으면 계속 구워지다가 타버린다. 탄 음식은 버리는 것이 사실상 나을 정도로 부정적인 증상이 생기므로 고기를 구워 놨으면 때맞춰 잘 챙길 필요가 있다. 요리하기 숙련도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숙련도가 올라가면 요리시간이 점점 단축된다. 부패기한 2일.

- 훈제 : 훈제기로 고기를 훈제하여 음식을 얻는 방법으로 약 하루의 훈제시간을 투자해 4일이라는 긴 부패기한을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어차피 훈제기의 밑에 불을 만들어 넣어줘야 하고 이 불도 마찬가지로 연료를 소모하는데다가 그린헬이라는 게임 특성상 가방에 넣어둔 보존식이 4일이라는 긴 유통기간 동안 가만히 있을 리가 없으므로 효율이 매우 나쁘다. 벨런스 미스라고 봐도 좋을 정도인데 굽거나 끓인 것보다 소재의 영양분 소모도가 많고 제작하는데 하루나 되는 긴 시간이 걸리며 어차피 불을 넣는다면 그 불로 그냥 구워먹는게 훈제기를 설치하는 자원을 아낄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 소개할 건조보다 못한 효율을 가진다. 일단 하루 정도 불을 계속 때워야하는데 거기에 들어가는 연료만 놓고 봐도 고작 긴 유통기간을 위해 훈제법을 사용 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덤으로 이 훈제기를 위한 제조법을 위해 설치 된 훈제기를 보러 가야 하는 곳이 항구의 물을 건너가 언덕 위에 설치 된 캠프의 훈제기를 직접 보는 것이라 제작법 확인도 진짜로 지랏맞다. 스토리 모드라면 항구는 딱히 의미가 없는 루트라 더더욱 쓸 때 없다.

- 건조 : 훈제기를 얻기 위해선 원주민 부락을 들려야하는 위험이 있지만, 건조기는 스토리 모드로 게임을 시작할 경우 시작점인 수련호수에서 제대로 된 본 게임을 위해 통나무 다리를 건너가면 바로 마주 할 수 있는 첫 야아화스카 의식 장소에서 캠프 옆에 덩그러니 건조대가 있어서 돌고리와 함께 사실상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확인 할 수 있는 제작법인지라 일단 수급은 간편하다. 건조에 대략 2일정도 소요되며[9] 5일 4시간이라는 가장 긴 부패기한을 가지고 있다. 단, 영양분과 에너지 회복량이 제일 낮다. 경우에 따라선 훈제기보단 나을 수 있지만 역시 굽기에 비해 보존식 제작법으로는 엄청난 단점을 잔뜩 가지고 있다. 일단 건조기를 제작해야하고 훈제기 처럼 밑에 불을 넣지 않아도 되지만
우기가 되면 압도적으로 길어지는 요리시간은 엄청난 압박으로 다가오며 빨리 정해진 목적지로 달리는 것이 훨씬 유리한 스토리모드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대놓고 빌리징으로 인프라를 구축하는 생존모드에서 조차 건조나 훈제는 커녕 굽기조차 비비는 것이 불가능한 끓이기라는 압도적인 사기 요리법이 존재하므로 그냥 필요가 없다. 벨런싱 면에서 굉장히 아쉬운 부분인데 생존이라는 아이콘만 떠올리다가 정작 게임 내적인 플레이 방법을 간과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사냥이 잘되어서 고기는 가득있는데 정비나 다른 것을 하기 위해 정비하며 소모할 고기만 먼저 굽거나 끓여먹고 남은 걸 건조대에 걸어서 스토리 모드의 일부 지점들을 지나가야 할 때 건식으로 집어 먹는 정도다... 물론 그린헬 특성상 구워놓은 고기도 2일은 넘는 부패기간을 가지고 있고 일단 대부분의 경우 야밤이 되면 임시로 베이스를 급하게 건설하거나 셋업된 특정 구조물에서 휴식 후 낮에 이동하는데 불을 피우게 되므로 또 고기를 구워먹는 경우가 많아 역시 애매하다.

- 끓이기 : 굽기 다음으로 적은 영양분 손실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부패시간이 없는것. 이 점을 이용해 거점에 음식을 쟁여둘 때는 수프로 보관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인벤토리에 들어가지 않아 탐사용으로는 쓸 수 없다는 엄청난 단점을 이중섭취라는 희대의 버그로 씹어먹어 버리는 압도적인 효율을 가지고 있다. 그린헬은 수분을 포함한 영양분이 총 100인데 체내 수분이 물을 마실 경우에 100을 넘어간다면 한번에 20의 수분을 마신다 즉 수분 용량이 30인 냄비와 대형 질그릇, 25인 거북이 등딱지의 경우 80 이상의 체내수분을 유지한채로 마시면 20을 마시고 10/5의 수분이 남게되는데 이를 이용해 수프를 2번 먹을 수 있는 꼼수가 있다. 이것 자체만으로 요리시 영양분이 손실되는 점은 없는 셈이 되며 음식을 먹을 때 물을 같이 마시는 셈이므로 따로 수분을 보충할 필요까지 없어지는데다가 어차피 수분을 위해 물을 끓여 마셔야하는데 거기에 고기 하나만 던져 넣는 것으로 이 모든 이점을 전부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이견의 여지가 없는 그린헬 최고의 요리법이다. 물론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닌데 우선 인벤토리에 담을 수 없어서 가방에서 꺼내먹는 보존식으로 사용할 수 없고 제대로 된 2중 섭취를 위해선 냄비와 거북이 등딱지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요리에 물이 들어가고 만약 그 물이 더럽거나 안전하지 않은 물이라면 일단 끓여지고 나서 깨끗한 물이 되어야 고기를 넣고 끓일 수 있기 때문에 요리법에 손이 조금 간다. 다만 이 단점은 탐험시에는 초코바나 통조림 등 인류사회의 음식물을 사용할 수 있고 요리가 귀찮지만 어차피 유통기간이 없기 때문에 한번 해놓으면 상당히 오랜 기간 놓고 필요하면 먹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천하는 방법은 진흙벽화로를 구축한 다음 4개의 요리슬롯에 전부 거북이 등껍질을 놓고 수통으로 물을 퍼다가 넣으면 25 x 4로 딱 정확하게 수통의 100수분 용량을 쓸 수 있다. 중간에 냄비가 끼여있다면 냄비에 맨 마지막으로 물을 부어주면 마찬가지로 25의 수분을 가진 수프 4개를 끓일 수 있다. 최근 업데이트로 인해서 진흙 그릇 제작이 가능해졌는데 큰 그릇의 경우엔 냄비와 마찬가지인 30이라는 용량을 가져서 굳이 또 찾기 귀찮은 거북이를 잡으려 수고를 들일 필요가 없어져서 더더욱 유용해졌다. 스토리 모드라서 탐색을 주로 한다고 하더라도 어차피 물 끓여 마시기 위해 냄비 하나 정도는 인벤토리에 챙겨 들고 가기 마련이고 어차피 냄비 챙겨갔다면 불 지펴서 즉석에서 뭐라도 해먹을 수 있으니 또 문제가 없다.

가장 중요한 거지만 그린헬에서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는 5개의 방법 중 가장 효율이 좋다.[10]
1.그릇으로 빗물 받기
2.정수하기
3.인류사회의 먹거리 중에서 오렌지 쥬스 등의 음료
4.코코넛 열매의 수분
5.끓이기

또한 약용식물 중 끓일 수 있는 식물들을 끓일 수 있고 사냥하고 나온 뼈를 음식으로 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약용식물의 경우 생으로 먹는 것 보다 효과가 대부분 굉장히 좋아지며 뼈의 경우 식중독을 3스택이나 지워주는 고효율 자원이 된다.

* 그릇과 용량
코코넛 껍질 : 10 [11]
거북이 등딱지 : 25
냄비 : 30
작은 토기 그릇 : 10
큰 토기 그릇 : 30


[1] 물 40 저장 가능.[2] 개미나 벌에 쏘여 생긴 발진 치료[3] 골리앗 새잡이 거미를 잡아 탈 때까지 요리 후 수확하면 얻을 수 있다.[4] 하얗게 바랜 죽은 나무에서 수집 가능.[5] 대나무 활, 부족 활로는 제작할 수 없다.[6] 브라질 넛 열매를 수확하면 획득 가능.[7] 뼈를 수확하면 획득 가능.[8] 동굴 등의 벽면에 생긴 철 광맥을 캐는데 이용.[9] 비가 계속 내리는 우기의 경우 건조시간 더 길어진다.[10] 진흙정수기는 규격외로 논외다.[11] 용량상 2중 섭취의 꼼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코코넛껍질은 아직 물에 대한 인프라가 부족 할 때 바닥에 던져서 빗물을 받는 용도로 쓰는 것이 좋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