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7400 20%, #57b447 50%, #1b7ec4 8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9999><colcolor=#fff> 계열사 | |
지주 회사 | <colcolor=#000,#fff>GS | |
에너지· 발전 | GS에너지 (GS파워 | 보령LNG터미널 | 인천종합에너지 | GS칼텍스 | GS엠비즈 | GS바이오 | GS에코메탈 | 이노폴리텍 | 상지해운 | GS EPS | GS E&R | GS동해전력 | GS풍력발전 | GS포천그린에너지) | |
리테일 | GS리테일 (GS넷비전 | GS네트웍스) | GS네오텍 | |
건설· 인프라 | GS건설 (자이 S&D | 자이 C&A | GS이니마 | GCS | BSM | 자이에너지운영 | GS엘리베이터) | GS글로벌 (PLS | GS엔텍) | |
기타 | GS스포츠 (FC 서울 · GS칼텍스 서울 KIXX) | 삼양통상 | 삼양인터내셔날 | 승산 | GS P&L (파르나스호텔) | GS문화재단(GS아트센터) |
자이엘리베이터 Xi Elevator | |
| |
<colbgcolor=#009999><colcolor=#ffffff> 기업명 | <colbgcolor=#ffffff,#1c1d1f>자이엘리베이터 Xi Elevator(영어) |
설립일 | 2020년 7월 17일 |
업종명 | 승강기 제조업 |
기업규모 | 대기업[1] |
매출액 | 72억 8,593만원 (2022) |
대표자 | 장기영 |
홈페이지 | http://gselevators.co.kr |
1. 개요
We promis and commit "GS Value".
Good Service, Great Solution, Great Satisfaction
우리는 "GS Value"를 약속하며, 좋은 서비스, 훌륭한 솔루션, 훌륭한 만족도를 약속합니다
Good Service, Great Solution, Great Satisfaction
우리는 "GS Value"를 약속하며, 좋은 서비스, 훌륭한 솔루션, 훌륭한 만족도를 약속합니다
대한민국의 엘리베이터 제조사로 LG산전엘리베이터가 오티스 엘리베이터에 매각된 이후 다시 등장한 범LG가 엘리베이터 제조사다.
2. 설명
GS건설이 엘리베이터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2019년에 설립한 자회사이다. 비록 직계는 아니지만 어떻게 보면 LG산전 승강기사업부가 2000년에 OTIS에 인수된 뒤 20여년만에 범LG가에서 승강기 시장에 재진출하게 된 셈이다.처음으로 설치된 장소는 인천 남동구 국일빌딩이었다. 그 전에는 설치 장소가 별로 없었지만 2023년부터 설치 사례가 급격하게 늘어가고 있다. 주로 설치되는 현장은 구축아파트 교체분, 상가빌딩, 자사 신축 오피스텔이며, 교체가 신축보다 좀 더 많다.[2]
중소업체 제어반을 사용하지만 향후 건설되는 자이 아파트에도 사용될 수도 있기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화물용 엘리베이터도 설치가 가능하는데 특히 상승개폐형 화물용 엘리베이터 교체 및 설치가 많다.
국일빌딩에서 설치된 초기형의 경우 운전반은 자체개발이지만 구형 중소업체 버튼과 대성 IDS 제어반을 사용했다.[3] 그러다가 전장품은 자체개발(커스터마이징)한 층표시기와 자사의 버튼을 사용하고 있다.[4] 또한 2022년 이후로는 상황[5]에 따라 삼일엘텍 제어반도 사용하고 있다.
이후 2024년에는 드디어 자체 제어반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최초설치 장소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성저2단지세경아파트이다. 하지만 당시엔 안내방송 녹음은 안했는지 차임만 나왔으며 며칠 후 추가공사를 통해 안내방송이 추가되었다.
2024년 10월 GS건설이 사모펀드 제네시스에센드 유한회사(이하 제네시스PE)에 지분 55%를 넘겼고, 이에 2025년 4월부터 자이엘리베이터로 사명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
3. 엘리베이터 모델
엘리베이터 분류 | ||||||
<rowcolor=#fff> 속도 분류 | 전기 형식 | 구동 형식 | 아이콘 형식 | |||
<bgcolor=#0000ff,#00ffff> | AC | 교류 | GD | 기어드 | (☆) | 한국에서 설치 가능한 기종 |
~60m/min | ||||||
<bgcolor=#009900,#adff2f> | DC | 직류 | GL | 기어리스 | (●) | 한국에서 전멸 또는 설치현장 존재 여부 확인 불가 |
60~105m/min | ||||||
<bgcolor=#ddab01,#ffcd12> | VF | VVVF | MRL | 무기계실 | (◐) | 운행 정지 현장만 남음 |
105~180m/min | ||||||
<bgcolor=#ff7f00> | H | 유압식 | (▼) | 한국에서 설치 현장 감소 중[1] | ||
180~300m/min | ||||||
<bgcolor=#ff0000> | P | 권동식(포지티브식) | (▼) | 한국에서 전멸 위기 | ||
300m/min~ | ||||||
<bgcolor=#ff69b4> | LR | 리니어식 | [1] 7대 안전장치 부착 불가 기종이거나, 부품 수급이 매우 어려운 모델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은 경우 | |||
화물용 | ||||||
<bgcolor=#000000,#d3d3d3> | ||||||
알 수 없음 | ||||||
※ 이 문서에 맞춰 엘리베이터를 분류할 시 수정 분쟁 방지를 위해 틀:엘리베이터 분류/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3.1. MR
GMC1(☆)VF GL(지원 속도: 60~180m/min)탑승영상: 국일빌딩, 청도빌딩, 한별빌딩, 양평자이비즈타워[6], 에이스10차아파트, 문산세성아파트,오금동684-4
GS엘리베이터의 첫 모델이자 주력 모델이다. 제어반은 주로 대성IDS를 사용한다.
GMD1(☆)VF GL(지원 속도: 60~180m/min)
탑승영상:강동 신성미소지움2차
GMB2(☆)VF GL
탑승영상: 성저2단지세경아파트
자체 제어반 모델이며, 화물용 엘리베이터도 설치가 가능하다.
GMA1(☆)VF GL
탑승영상: 디원시티마일스톤한라
2024년 상반기에 출시된 모델로 자체제어반을 사용한다.
GMA1-1(☆)VF GL
탑승영상: 디원시티마일스톤한라
삼일엘텍 제어반을 사용한다. 24인승 이상의 대용량을 지원한다.
GMO1(☆)VF GL
승강기안전인증에 표기되어 있는 모델이다. 최초설치 현장은 알 수 없다.
3.2. MRL
GLC1(☆)VF MRL(지원 속도: 60~150m/min)탑승영상: 백운빌딩,광림빌딩,아느칸프라자,칸포스퀘어,수서현대벤쳐빌
대성 제어반 기반 MRL 모델.
GLB1(☆)VF MRL
탑승영상: 신영지엘에스테이트개봉역, 하계1차청구아파트
자체 제어반 MRL 모델.
GLD1(☆)VF MRL
탑승영상:병점복합타운 상가 16-1, 검단신도시 KR법조타워 2
MRL 모델이며 제어반은 기존 대성IDS 제어반을 쓴다.
3.3. 화물용
GMF1(☆)VF GL시기 미상에 출시한 화물용 모델. 원주 B&I 지식산업센터에 최초로 설치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