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2-11 16:31:50

GMI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지수
1.1. GMI기준1.2. GMI의 특수성1.3. GMI를 높이는 라이프스타일
2. 국제 군사화 지수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지수

Gut Microbiome Index

GMI는 Gut Microbiome Index의 약자로, 장내 미생물 생태계인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태를 나타낸 지수이다.
인간의 장(腸) 속 미생물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지표를 종합해서 계산하며, 사용된 네 가지 지표[1]는 ▲미생물 다양성, ▲염증 유발 미생물의 비율[2], ▲염증 억제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비율, ▲건강인의 마이크로바이옴과 유사성이다.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의 규모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기계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이 위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한다.

1.1. GMI기준

GMI 지수는 0부터 100까지의 점수로 표시되며, 0에 가까울수록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상태가 위험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양호하다.

GMI가 높고 낮음에 따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과 불균형이 결정된다. GMI가 높을수록 건강인의 균형 잡힌 마이크로바이옴과 유사하고, GMI가 낮으면 미생물 종 다양성이 낮고 유해균이 활발히 활동하는 불균형한 장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낮은 GMI의 원인으로는 항생제 오남용, 스트레스, 부적절한 식습관 등이 있다. GMI가 낮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25가지 이상의 질병 발생 위험도 가 커진다[3].

1.2. GMI의 특수성

GMI는 식이와 생활습관에 따라 변화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균형 잡힌 사람도 건강한 식, 생활습관을 유지하지 않으면 GMI점수는 떨어진다. 다양한 식이섬유를 섭취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등 GMI 관리를 시작하면 GMI는 상승한다[4] [5].

1.3. GMI를 높이는 라이프스타일

MAC은 미생물의 먹이로,
1)양파, 마늘, 브로콜리, 연근, 우엉, 아스파라거스 등 전분 위주가 아닌 채소,
2)사과, 자두, 참외 등 껍질채 먹는 과일,
3)현미, 아몬드 등 껍질째 먹는 곡류 및 견과류,
4)김, 다시마 같은 해조류,
5)버섯류 등에 풍부하다.
밀가루로 만든 음식, 흰쌀밥과 떡,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 매실청을 비롯한 과일청, 당도 높은 과일은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을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트랜스지방, 콩기름, 옥수수유, 면실유,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등 핵산으로 추출한 고도 정제 기름은 피해야 한다. 오메가3가 풍부한 지방, 냉압착 들기름, MCT오일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코코넛오일, 마카다미아오일 등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2. 국제 군사화 지수

Global Militarization Index

Global Militarization Index, 국제 군사화 지수는 해당국가의 사회가 얼마나 군사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수. 북한 등 일부 국가들은 빠져 있다.
#


[1] Petersen C, Round JL. Defining dysbiosis and its influence on host immunity and disease. Cell Microbiol. June 2014:1024-1033. doi:10.1111/cmi.12308[2] Gevers D, Kugathasan S, Denson LA, et al. The Treatment-Naive Microbiome in New-Onset Crohn’s Disease. Cell Host & Microbe. Published online March 2014:382-392. doi:10.1016/j.chom.2014.02.005[3] Liu CH, Abrams ND, Carrick DM, et al. Biomarkers of chronic inflammation in disease development and preven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Nat Immunol. Published online October 18, 2017:1175-1180. doi:10.1038/ni.3828[4] Ananthakrishnan AN.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IBD.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Published online March 3, 2015:205-217. doi:10.1038/nrgastro.2015.34[5] Lozupone CA, Stombaugh JI, Gordon JI, Jansson JK, Knight R. Diversity, stability and resilience of the human gut microbiota. Nature.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12:220-230. doi:10.1038/nature11550[6] Sonnenburg ED, Smits SA, Tikhonov M, Higginbottom SK, Wingreen NS, Sonnenburg JL. Diet-induced extinctions in the gut microbiota compound over generations. Nature. Published online January 2016:212-215. doi:10.1038/nature16504[7] Makki K, Deehan EC, Walter J, Bäckhed F. The Impact of Dietary Fiber on Gut Microbiota in Host Health and Disease. Cell Host & Microbe. June 2018:705-715. doi:10.1016/j.chom.2018.05.012[8] Sonnenburg ED, Sonnenburg JL. Starving our Microbial Self: The Deleterious Consequences of a Diet Deficient in Microbiota-Accessible Carbohydrates. Cell Metabolism. Published online November 2014:779-786. doi:10.1016/j.cmet.2014.07.003[9] Wolters M, Ahrens J, Romaní-Pérez M, et al. Dietary fat, the gut microbiota, and metabolic health – A systematic review conducted within the MyNewGut project. Clinical Nutrition. Published online December 2019:2504-2520. doi:10.1016/j.clnu.2018.12.024[10] Bajaj JS. Alcohol, liver disease and the gut microbiota.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Published online January 14, 2019:235-246. doi:10.1038/s41575-018-0099-1[11] . Willing BP, Russell SL, Finlay BB. Shifting the balance: antibiotic effects on host–microbiota mutualism. Nat Rev Microbiol.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11:233-243. doi:10.1038/nrmicro2536[12] Jackson MA, Verdi S, Maxan M-E, et al. Gut microbiota associations with common diseases and prescription medications in a population-based cohort. Nat Commun. Published online July 9, 2018. doi:10.1038/s41467-018-05184-7[13] Smith RP, Easson C, Lyle SM, et al. Gut microbiome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sleep physiology in humans. Aich P, ed. PLoS ONE. Published online October 7, 2019:e0222394. doi:10.1371/journal.pone.0222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