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련 문서 ]
|
<colbgcolor=#002D7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D72> | GD X TAEYANG 지디태양 | }}} | ||
데뷔일 | 2014년 11월 2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4-11-21)]일, [age(2014-11-21)]주년) | ||||
데뷔 음반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41bf" | ||||
장르 | 랩/힙합 | ||||
소속사 | YG엔터테인먼트 | ||||
유통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YG PLUS | |||
레이블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YGEX | |||
팬덤 | VIP | ||||
링크 | | |
[clearfix]
1. 개요
<nopad> |
2. 음반 목록
2.1. GOOD BOY
<rowcolor=#fff> #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1 | GOOD BOY TITLE | G-DRAGON | G-DRAGON, The Fliptones, Freedo | G-DRAGON |
2.2. 기타 참여곡
GD X TAEYANG의 이름으로 발매된 곡은 아니지만 지디와 태양이 함께 참여한 곡들이다. (빅뱅 이름으로 참여 한 곡은 제외.)앨범 아트 | 발매일 | 곡명 | 아티스트 | 비고 |
2015. 08. 22. | 맙소사 | 황태지 (황광희, GD X TAEYANG) | 참여 |
- G-DRAGON & 태권 - 저 높은 곳에 펼쳐 (Feat. 거미)
- SE7EN - RUN (Feat. G-DRAGON & 태권)
- LEXY - SUPER FLY (Feat. G-DRAGON, 태양, T.O.P)
- G-DRAGON & 태양 - 나만 바라봐[1]
- G-DRAGON - KOREAN DREAM (Feat. 태양)
- G-DRAGON, 태양, T.O.P - 할렐루야
- 태양 - I NEED A GIRL (Feat. G-DRAGON)
- 승리 - LET'S TALK ABOUT LOVE (Feat. G-DRAGON & 태양)
- 태양 - STAY WITH ME (Feat. G-DRAGON)
- G-DRAGON & 태양 - 링가링가 (Remix Ver.)[2]
- 황태지 - 맙소사
- G-DRAGON - HOME SWEET HOME (Feat. 태양 & 대성)
3. 수상 경력
〈GOOD BOY〉 음악 방송 순위 | ||||
<rowcolor=#fff> 날짜 | 곡명 | 음악 방송 | 순위 | 링크 |
<nopad> 2014년 | ||||
11월 30일 | '''[[GOOD BOY#GOOD BOY| GOOD BOY ]]''' | SBS 인기가요 | 1위 | |
<nopad> 2015년 | ||||
1월 4일 | '''[[GOOD BOY#GOOD BOY| GOOD BOY ]]''' | SBS 인기가요 | 1위 (2관왕) | |
4. 여담
- BIGBANG이 데뷔하기도 전인 2002년부터 지디와 태양 2인조 듀오가 데뷔하려 했었고 2004년쯤에는 앨범 녹음도 마쳤으나 2006년까지 데뷔가 미뤄지다가 결국 5인조 빅뱅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따라서 무산된 지디태양 듀오는 10여년이나 지난 이후 데뷔하게 된 것이다.
- GOOD BOY 곡을 표절한 것으로 의심이 되는 음악이 있다. 일본의 힙합 음악 가수 ISH-ONE의 Mr.Problem 곡이며 GOOD BOY 곡의 선율을 거의 따라하였다고 해도 될 정도이고 뮤직비디오도 유사한 부분이 매우 많다.
[1] 태양의 나만바라봐와 지드래곤의 나만바라봐 파트2가 리믹스 된 버전으로, 지드래곤의 Shine A Light콘서트에서 함께 불렀다.[2] 지드래곤의 벌스가 추가된 버전[3] 여담으로 GD&TOP의 프로필은 이미 2022년에 T.O.P의 전속계약 종료와 동시에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