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7:23

Faeria/공식 대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aeria
파일:MC14TournamentBrackets.jpg

1. 개요2. 역사3. 출전 자격4. 입상 상금5. 역대 결과
5.1. Monthly Cup5.2. FWC
6. 한국인 유저들의 활약7. 여담

1. 개요

Faeria의 공식 대회를 정리한 문서.

2. 역사

처음에는 Monthly Cup이라는 이름으로, Abrakam에서 매달 등급전 종료 후 토요일에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공식 페어리아 대회가 있었다.

당시 총상금은 약 3000달러였는데, 어떻게 매출이 나오나 궁금한 게임에서 매달 상금을 걸고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 많은 유저들이 의문을 품었다. 그래도 매달 상금이 주어지는 공식 대회가 있다는 점이 나름의 메리트가 되어, 헤비 유저들의 유입에는 제법 공헌했다.

먼슬리컵은 2017년 12월 9일에 열린 대회를 마지막으로 끝났고, 이후 공식 대회는 분기마다 열리는 매 달이 아닌 분기마다 열리는 것으로 바뀌었다.

먼슬리컵의 종료 이후 2018년부터 진행되는 페어리아의 공식 대회 포맷은 Faeria World Circuit, 줄여서 FWC로 부른다. 매 분기마다[1] 열리며, 출전을 위해서는 각종 대회와 랭크를 통해 포인트를 모아야 한다. 이번 분기 FWC 포인트 랭킹 보러가기

3. 출전 자격

먼슬리컵 초창기엔 하이랭커나 유명 유저를 주먹구구식으로 초청하는 방식이었으나, 8회 대회부터 제대로 32명을 뽑는 형태가 정립되었다.
참가 자격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인원 출전 자격 대진표 특수기호
4명 직전 먼슬리 컵 Top 4 1,2위 - 전설 보석 / 3,4위 - 영웅 보석
2명 팬투표 하트
16명 먼슬리 컵 예선 상위 입상자[2] -
10명 갓랭크 랭킹 Top 10[3] 갓랭크 문양
}}}}}}}}}||

FWC로 대회 포맷이 바뀐 이후에는 여러 방식으로 FWC 포인트를 모아, FWC 포인트 랭킹 순으로 참가하게 되었다.[4]
FWC 포인트 획득 방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부문 획득 포인트 상금
랭크 게임[5] 1-10위 100점 -
11-20위 75점
21-25위 60점
공식 오픈[6] 1위 100점 $200
2위 75점 $125
3위 60점 $75
4위 40점 -
5-8위 25점
9-16위 10점
17-32위 5점
33-64위 3점
유저 대회[7] {{{#!wiki 커뮤니티 대회 FWC 포인트 획득량
참여자 수 1위 2위 3위 4위 5위-8위
32명 이상 참여 40 30 20 15 10
16명 이상 참여 25 20 15 10 6
8명 이상 참여 15 10 5 - - }}}
}}}}}}}}}||

4. 입상 상금

5. 역대 결과

5.1. Monthly Cup

하단 표의 회차 옆 괄호는 대회 개최 시점을 표시한 것이 아닌, 해당 월의 등급전이 종료된 후 진행되었다는 뜻.
회차 우승 준우승 3위 4위
제1회 (2016.6) 파일:프랑스 국기.svg Sweety파일:영국 국기.svg HeliosAflame파일:러시아 국기.svg Matthew 파일:폴란드 국기.svg thormond
제2회 (2016.7) 파일:미국 국기.svg Donkey74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ravekper파일:프랑스 국기.svg Sweety파일:미국 국기.svg Goswser
제3회 (2016.8) 파일:프랑스 국기.svg Sweety파일:핀란드 국기.svg Modgnik파일:캐나다 국기.svg Cappuccino 파일:독일 국기.svg HeavyCC
제4회 (2016.9) 파일:캐나다 국기.svg Cappuccino파일:프랑스 국기.svg Imperia 파일:미국 국기.svg Donkey74 파일:프랑스 국기.svg Sweety
제5회 (2016.10) 파일:핀란드 국기.svg Modgnik파일:독일 국기.svg HeavyC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ensynos 파일:프랑스 국기.svg kanthik
제6회 (2016.11) 파일:핀란드 국기.svg Modgnik파일:독일 국기.svg Kingdanzz파일:독일 국기.svg Saturas파일:캐나다 국기.svg Pelorn
제7회 (2016.12) 파일:러시아 국기.svg Aya_73 파일:영국 국기.svg IncognitoD 파일:독일 국기.svg Kingdanzz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npork
제8회 (2017.1) 파일:프랑스 국기.svg Maihem파일:프랑스 국기.svg Imperia 파일:헝가리 국기.svg xyz파일:프랑스 국기.svg Kahilian
제9회 (2017.3)[8] 파일:프랑스 국기.svg Arianelle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uuu90 파일:프랑스 국기.svg Trec파일:캐나다 국기.svg IWinAgain
제10회 (2017.4) 파일:독일 국기.svg Teddy파일:프랑스 국기.svg Zarrockar파일:프랑스 국기.svg Imperia파일:러시아 국기.svg Alvar
제11회 (2017.5) 파일:프랑스 국기.svg Maihem파일:독일 국기.svg KumpelKefer파일:프랑스 국기.svg Arianelle파일:중국 국기.svg shadowblue
제12회 (2017.6) 파일:프랑스 국기.svg Arianelle파일:독일 국기.svg Kingdanzz파일:프랑스 국기.svg Minocaro파일:일본 국기.svg Sunekichi
제13회 (2017.7) 파일:체코 국기.svg Strudl 파일:프랑스 국기.svg Imperia 파일:러시아 국기.svg Alvar파일:영국 국기.svg killingtime
제14회 (2017.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ESofDawn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uuu90 파일:프랑스 국기.svg Sweety 파일:캐나다 국기.svg IWinAgain
제15회 (2017.9) 파일:러시아 국기.svg Alva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uuu90 파일:프랑스 국기.svg Kahilian 파일:프랑스 국기.svg Zarrockar
제16회 (2017.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npork 파일:미국 국기.svg Urilbedamned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uuu90 파일:러시아 국기.svg Alvar
제17회 (2017.11) 파일:일본 국기.svg Masaka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uuu90 파일:러시아 국기.svg Alvar 파일:러시아 국기.svg MrTea

5.2. FWC

회차 우승 준우승 3위 4위
제1회 (2018년 1분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Minocaro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xged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npork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ppyjo
제2회 (2018년 2분기) 파일:일본 국기.svg Sunekichi파일:일본 국기.svg Dilgarno파일:프랑스 국기.svg Minocaro파일:이집트 국기.svg Raizo
제3회 (2018년 3분기) 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독일 국기.svg Teddy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ndo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ppyjo
제4회 (2018년 4분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Minocaro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aeHolic파일:이스라엘 국기.svg ESofDawn파일:퀴라소 기.svg Chriscross
제5회 (2019년 1분기) 파일:일본 국기.svg Sunekichi파일:호주 국기.svg xploring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EKA
제6회 (2019년 2분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ppyjo파일:일본 국기.svg jyori파일:러시아 국기.svg evgeney24파일:일본 국기.svg Masaka
제7회 (2019년 3분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ppyjo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러시아 국기.svg evgeney24파일:독일 국기.svg Martus
제8회 (2019년 4분기) 파일:호주 국기.svg Elpaniko23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파일:일본 국기.svg jyori
제 9회 (2020년 1분기) 파일:독일 국기.svg MastermindII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파일:미국 국기.svg Summerflame
제10회 (2020년 2분기) 파일:독일 국기.svg FTWCHEESE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파일:스위스 국기.svg Zorni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
제11회 (2020년 3분기) 파일:호주 국기.svg Elpaniko23파일:캐나다 국기.svg Moonfassa파일:미국 국기.svg Summerflame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seshourmara
제12회 (2020년 4분기) 파일:미국 국기.svg Summerflame파일:캐나다 국기.svg Franklin3113파일:호주 국기.svg SaturnFive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
제13회 (2021년 1분기) 파일:일본 국기.svg MUTEI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파일:캐나다 국기.svg Moonfassa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
제14회 (2021년 2분기) 파일:캐나다 국기.svg Moonfassa파일:독일 국기.svg FTWCHEESE파일:독일 국기.svg Martus파일:일본 국기.svg MUTEI
제15회 (2021년 3분기) 파일:영국 국기.svg Salugi파일:캐나다 국기.svg asdg2323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덴마크 국기.svg Amoeba
제16회 (2021년 4분기) 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호주 국기.svg Elpaniko23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seshourmara
제14회 (2022년 1분기) 파일:캐나다 국기.svg Moonfassa파일:호주 국기.svg Elpaniko23파일:독일 국기.svg SuperbLizard파일:독일 국기.svg zzaarroocc
제15회 (2022년 2분기) 파일:핀란드 국기.svg bamserr파일:캐나다 국기.svg Moonfassa파일:미국 국기.svg StinkyBadboy파일:호주 국기.svg xploring

6. 한국인 유저들의 활약

먼슬리컵 입상 기록이 있는 한국인은 Gravekper와 Donpork 뿐. 이 둘은 현재 페어리아 마이너 갤러리의 매니저와 부매니저를 맡고 있다.

15회 먼슬리 컵에는 역대 최다인 4명의 한국인[9] 이 진출해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입상자는 없었다. 그나마 ChaeHolic이 8강에 진출해 자존심을 세웠고, 그 과정에서 일본인 유저 2명을 연달아 격파하며 각시탈 메타라는 드립이 흥하기도 했다.

16회 먼슬리 컵에서 최초로 한국인 우승자가 나왔다. 대회 전에 "빨리 광탈하고 편하게 먼슬리 봐야지"라고 한 말이 그대로 입상 플래그가 되어버렸다.

먼슬리 컵이 끝나고, FWC로 바뀌어서는 한국인 입상자를 제법 배출했다.

첫 대회부터 Donpork와 happyjo가 나란히 3,4위를 하더니, 3회 대회에도 Rundong과 happyjo가 나란히 3,4위를 했다.

4회 대회에는 ChaeHolic이 준우승에 성공하며 한국인 중 처음으로 FWC 결승의 문턱을 밟았다.

5회 대회에서는 LIEKA가 4위를 기록, 한국인 입상자가 다섯 번의 대회 중 네 개의 대회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6~7회 대회에서 happyjo가 연달아 우승하는 기염을 토하며 현재까지도 유일한 2연속 FWC우승자로 남아 있다.

7. 여담


[1] 각각의 분기는 각각 오로라-루닌-칼림-사이퍼의 시즌으로 칭해진다. 예를 들어 2018년 1월-3월은 Season of Aurora.[2] 한 달에 두 번 진행되어, 각 대회의 Top 8. 먼슬리 컵 예선전은 참가 자격에 제한이 없으므로,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었다. 한국 시간으로 새벽 1시에 시작된다는 게 치명적인 문제일 뿐.[3] 상기 세 가지 조건과 참가자가 중복될 경우 11위, 12위... 에게 기회가 주어진다.[4] 먼슬리 컵처럼 입상자들에게 다음 대회 자동진출권을 주지 않았고, 똑같이 다른 유저들과 FWC 포인트를 모으는 경쟁을 해야 한다.[5] 조금이라도 유리하기 위해 부캐를 파는 상위 랭커들이 많기 때문에 부캐들을 제외하면 보통 30위 전후까지 기회가 주어진다. 첫 시즌의 경우 ELO가 1750초중반쯤 되면 그럭저럭 Top25 안정권이었다.[6] 기존의 먼슬리컵 예선과 유사한, 월 2회 열리는 아브라캄의 공식 대회로 특별한 참가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다. 단, 기존의 먼슬리컵 예선은 더블엘리미네이션이었지만 챔피언십 리그는 싱글엘리이며, Top8에 들지 못했다면 국물도 없던 기존 예선전과 달리 Top64에만 들어와도 조금이나마 포인트는 준다. 한편 초창기엔 Top3에게 소소한 상금 역시 주어졌으나, 이쪽도 2019년 들어 VE 게임키로 대체되었다.[7] 유저 커뮤니티 대회에서도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반드시 Battlefy를 통해 참가자를 모집하고 10분 딜레이의 중계방송을 진행해야 하며, 이 때 얻는 포인트는 대회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8] 2017년 2월 등급전 이후 먼슬리 컵은 확장팩 준비로 쉬었다. 유저들은 역시 두 가지 프로젝트 동시에 못하는 인디겜이라고 깠다.[9] ChaeHolic, Donpork, happyjo, Rundong. 이 4명은 그대로 17회 먼슬리 컵에도 진출하지만 역시 입상은 하지 못했다. 대신 먼슬리컵의 후속 대회인 FWC에서 각자 모두 1회 이상 입상해 한풀이를 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