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ELYST 카드일람 | |
핵심 세트 | 핵심 세트 |
심자르의 생명 | 심자르의 생명 |
블러드본 등장 | 블러드본 등장 |
고대로부터의 결속 | 고대로부터의 결속 |
파헤쳐진 예언 | 파헤쳐진 예언 |
불멸의 선구자 | 불멸의 선구자 |
미스론의 시험 | 미스론의 시험 |
세력 전용 카드 | ||
라이오나르 왕국 | 송하이 제국 | 베트루비안 대국 |
어비시안 무리 | 마그마 공동체 | 베나르 일족 |
1. 개요
미스론의 시험 확장팩에서는 카드를 낼 때마다 더욱 강해지는 "강화(Intensify)" 키워드와, 각 직업마다 하나씩 통칭 '퀘스트'라 불리는 "시험(Trial)"과 "운명(Destiny)"를 가진 미스론 등급 하수인이 추가되었다. 미스론 등급 하수인은 처음 미스론의 시험 오브를 까면 무작위로 1개를 지급하며, 10개를 추가로 깔 때마다 하나씩 더 지급한다.미스론 카드의 제작에는 1200 스피릿이 필요하다. 미스론 하수인을 투입한 덱은 첫 손패가 6장으로 시작하니 첫 턴에 퀘스트 덱인지 아닌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장군의 위에 커서를 올리면 시험 진행 현황을 볼 수 있다.
2. 카드 목록
2.1. 라이오나르 왕국(LYONAR KINGDOM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라이오나르 왕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라이오나르 왕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송하이 제국(SONGHAI EMPIR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송하이 제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송하이 제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베트루비안 대국(VETRUVIAN IMPERIUM)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베트루비안 대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베트루비안 대국/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어비시안 무리(ABYSSIAN HOST)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어비시안 무리/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어비시안 무리/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마그마 공동체(MAGMAR ASPECT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마그마 공동체/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마그마 공동체/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베나르 일족(VANAR KINDRE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베나르 일족/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베나르 일족/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공용카드(NEUTRAL)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공용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UELYST/카드일람/미스론의 시험/공용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