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irect Distance Dialing의 약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외전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외전화#|]][[시외전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D.D.D
Decoration Disorder Disconnection Hands계간 소설무크지 파우스트에 연재중인 나스 키노코의 소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D.D.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김혜림의 노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김혜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김혜림)#|]][[DDD(김혜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녹음/편집/마스터링 구분기호
음반을 녹음할 때의 녹음방식/편집/마스터링이 아날로그인지 디지털인지 구분하기 위한 기호. 아날로그는 A 디지털은 D로 구분한다.[1]보통 80년대 이전의 LP 리마스터링 반은 ADD가 많으며 예외적인 경우 80년대임에도 불구하고 AAD가 간혹 있다.
요즘은 당연히 DDD만 있기 때문에 굳이 이 표시가 없더라도 그냥 DDD구나 생각하면 된다.
단지 녹음 편집 마스터링 방식이기 때문에 DDD라고 해서 무조건 ADD나 AAD보다 뛰어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타라같은 우주굇수들은 50년대 마스터테이프로 찍은 ADD도 바로 어제 녹음한 것 같은 음질을 뽑아내니까. 저가레이블인 낙소스의 경우 DDD임에도 음질이 썩 좋지 못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 이유는 가격을 싸게 하기 위해 녹음기술이나 장비까지 싸게 들였기 때문이다. 이 낙소스도 2000년대 이후 인력 스카웃과 장비 교체로 인해 80년대 낙소스 녹음의 별명인 "답답한 목욕탕 음향"은 옛말이 되었다. 반대로 메이저 레이블이 이 쪽에 투자를 안해서 역전된 상황이다.
5. 카드파이트!! 뱅가드의 카드 돈트리스 드라이브 드래곤의 약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돈트리스 드라이브 드래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돈트리스 드라이브 드래곤#|]][[돈트리스 드라이브 드래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유희왕의 카드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유희왕/카드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유희왕/카드군)#|]][[DD(유희왕/카드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Dino D-Day의 줄임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no D-Da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ino D-Day#|]][[Dino D-Da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별의 커비 시리즈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디디 대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디디 대왕#|]][[디디디 대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샤이니의 일본 4집 앨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D×D×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TJ미디어에서 서비스했던 기능
WOW-DDD. 여기서 DDD는 Dance Dance Diet의 줄임말로,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출 수 있는 기기였다.11. THE ALFEE의 노래
도날드 덕의 6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곡으로《유로비트 디즈니 3(2001)》의 Domino 커버곡이 있다.12. BMS 출전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BM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BMS)#|]][[DDD(BM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 1980년대에 쓰이던 은어
Doohwan's Daegari Doldaegari전두환 정부의 무능과 폭압성을 비하하는 멸칭이었다. 그러나 전두환이 퇴임하고 시외전화를 뜻하는 용어도 자주 쓰이지 않게 되자 사어화됐다.
[1] 세번째 글자가 A면 아날로그 매체:LP또는 S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