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각자자리#상세|직각자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직각자자리 알파 N Sco | 직각자자리 베타 H Sco | 감마성 직각자자리 감마1·2 γ Nor1·2B | 델타성 직각자자리 델타 δ Nor | ||
엡실론성 직각자자리 엡실론 ε Nor | 제타성 직각자자리 제타 ζ Nor | 에타성 직각자자리 에타 η Nor | 세타성 직각자자리 세타 θ Nor | ||
이오타성 직각자자리 이오타1·2 ι Nor1·2 | 카파성 직각자자리 카파 κ Nor | 람다성 직각자자리 람다 λ Nor | 뮤성 직각자자리 뮤 μ Nor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 |||||
직각자자리에는 플렘스티드 명칭이 부여되지 않았다. | |||||
변광성 명칭 순 | |||||
직각자자리 R | 직각자자리 S | 직각자자리 T | 직각자자리 RS | ||
직각자자리 RT | 직각자자리 RZ | 직각자자리 TW | 직각자자리 IM | ||
직각자자리 QU | 직각자자리 QV | 직각자자리 QX | 직각자자리 V343 | ||
직각자자리 V346 | 직각자자리 V347 | 직각자자리 V360 | 직각자자리 V365 | ||
직각자자리 V367 | 직각자자리 V368 | 직각자자리 V378 | 직각자자리 V381 | ||
그 외 직각자자리에 속한 항성 |
}}}
- [ 심원천체 ]
- ||<width=9999><-5><nopad>용골자리-궁수자리 팔 천체||
틀:별자리 · 직각자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콜드웰 천체 | ||||
C 88 컴퍼스자리의 산개성단 | ← | C 89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C 90 용골자리의 행성상성운 |
NGC 천체 | ||||
NGC 6086 북쪽왕관자리의 타원은하 | ← | NGC 6087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6088 공작자리의 은하 쌍 |
NGC 6087 직각자자리 S 성단 S Normae Cluster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6h 18m 48s |
적위 | −57° 56′ | |
별자리 | 직각자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최대 3,500 광년 최대 약 1,000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5.4 | |
규모 | ||
크기 | 12' | |
명칭 | ||
IC 6087, C 89, Cr 300, Mel 141 |
1. 개요
직각자자리 S 성단/NGC 6087NGC 6087은 직각자자리 방향으로 최대 3,5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2. 특징
세페이드 변광성인 직각자자리 S를 중심으로 하는 산개성단으로 총 40개의 항성들을 가지고 있는 평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별이 세페이드 변광성이기 때문에 일찍이 거리가 3,500광년 정도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쌍안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며 매우 맑고 기상이 좋으면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한다.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론 별을 분해해서 볼 수 있다.
제주도에서나 볼 수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관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1]
3. 직각자자리 S
S Nor 직각자자리 S S Normae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6h 18m 51.8325s |
적위 | -57° 53′ 59.244″ | |
별자리 | 직각자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황색초거성 B: B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A: F8-G0Ib B: B9.5V | |
거리 | 3013.68 광년 924 파섹 | |
반지름 | A: 65.6 R⊙ | |
질량 | A: 6.3 M⊙ B: 2.4 M⊙ | |
평균 온도 | 6,350 K | |
나이 | B: 8천만년 | |
운동 | 시선속도 | 5.83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12~6.77[변광성] | |
절대 등급 | -4.02 | |
광도 | A: 3,630 L⊙ | |
명칭 | ||
S Nor, HR 6062, SAO 243586, CD−57°6342, GSC 08719-00158, HD 146323, NGC 6087 132, GC 21898, HIP 79932, NGC 6087 155 | ||
출처 | ||
위키피디아 |
4. 다른 천체 목록
콜린더 천체 | ||||
Cr 299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Cr 300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Cr 301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멜로테 천체 | ||||
Mel 140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Mel 141 직각자자리의 산개성단 | → | Mel 142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