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갈자리#발견된 천체|전갈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 알파성21 안타레스 Antares | 베타성8 아크라브 Acrab | 브라치움 Brachium | 델타성7 드슈바 Dschubba | ||
| 엡실론성26 라라와그 Larawag | 제타성 전갈자리 제타1·2 ζ Sco1·2 | 에타성 전갈자리 에타 η Sco | 세타성 사르가스 Sargas | ||
| 이오타성 전갈자리 이오타1·2 ι Sco1·2 | 카파성 기르타브 Girtab | 람다성35 샤울라 Shaula | 뮤성 전갈자리 뮤1·2 μ Sco1·2 | ||
| 누성14 자바 Jabbah | 크시성 전갈자리 크시 ξ Sco | 오미크론성19 전갈자리 오미크론 ο Sco | 파이성6 팡 Fang | ||
| 로성5 이클릴 Iklil | 시그마성20 알니야트 Alniyat | 타우성23 파이카우할레 Paikauhale | 웁실론성34 레사스 Lesath | ||
| 카이성17 전갈자리 카이 χ Sco | 프시성15 전갈자리 프시 ψ Sco | 오메가성9·10 전갈자리 오메가1·2 ω Sco1·2 |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감마성이 없는 이유는 전갈자리 일부가 천칭자리로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천칭자리 시그마로 명명되었다. |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 전갈자리 1 | 전갈자리 2 | 전갈자리 4 | 전갈자리 11 | ||
| 전갈자리 12 | 전갈자리 13 | 전갈자리 16 | 전갈자리 18 |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 변광성 명칭 순 | |||||
| 그 외 전갈자리에 속한 항성 | |||||
| 전갈자리 N | 전갈자리 H | 전갈자리 Q | |||
}}}
- [ 심원천체 ]
- ||<width=9999><-4><nopad>전갈자리 OB1 성협||
가짜 혜성
(False Comet)RCW 113 새우 성운 NGC 6231 Tr 24 전갈자리 OB2 성협뱀주인자리 로 분자운 복합체 Sh2-1
(팡)Sh2-7
(드슈바)Sh2-9
(알니야트)푸른 말머리 성운
(IC 4592)IC 4591
(전갈자리 C2)IC 4605
(전갈자리 22)산개성단메시에 6
(나비 성단)메시에 7
(프톨레마이오스 성단)NGC 6124(콜드웰 75) NGC 6178 NGC 6192 NGC 6281 NGC 6373 NGC 6383 NGC 6396 NGC 6400 NGC 6425 NGC 6451 구상성단메시에 4 메시에 80 NGC 6139 NGC 6144 NGC 6256 NGC 6380 NGC 6388 NGC 6380 NGC 6388 NGC 6441 NGC 6453 NGC 6496 테르잔 1 테르잔 2 테르잔 3 테르잔 4 테르잔 6 릴러 1 조르고브스키 1 FSR 1758 성운고양이 발 성운 전쟁과 평화 성운 벌레 성운 치리오 유령 NGC 6072 NGC 6153 은하 및 우주거대구조NGC 6000 IC 4596 IC 4597 IC 4598
| 틀:별자리 · 전갈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 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
| 콜드웰 천체 | ||||
| C 75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C 76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C 77 센타우루스자리의 타원은하[1] |
| NGC 천체 | ||||
| NGC 6230 뱀주인자리의 타원은하 | ← | NGC 6231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6232 용자리의 나선은하 |
| NGC 6231 | ||
| <nopad> | ||
| 관측 정보 | ||
| 위치 | 적경 | 16h 54m |
| 적위 | −41° 48′ | |
| 별자리 | 전갈자리 | |
| 물리적 성질 | ||
| 형태 | 산개성단 | |
| 거리 | 5,600 광년 1,700 파섹 | |
| 광학적 성질 | ||
| 겉보기 등급 | 2.6 | |
| 규모 | ||
| 크기 | 15' | |
| 지름 | 약 26 광년 | |
| 명칭 | ||
| 전갈자리 OB1 성협, 북부 보석상자 성단, NGC 6231, C 76, Cr 315, Mel 153, De Cheseaux 9, Dunlop 499, Ha. I.7, Lacaille II.13 | ||
1. 개요
NGC 6231NGC 6231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5,6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2. 상세
1654년 이탈리아의 궁정 천문학자인 조반니 바티스타 호디에르나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Sco OB1 성협[2]으로도 알려져 있다.[3]태양이 속해 있는 오리온자리 팔이 아닌 궁수자리 팔에 속해 있으며 절대 등급이 무려 -8.5[4]인 전갈자리 제타 1이 속해 있다.[5]
나이가 2백만에서 7백만년밖에 안되었을 정도로 매우 젊은 성단으로 상술했듯 여러 O형 주계열성과 B형 주계열성을 가지고 있다.[6]
| 가짜 혜성의 사진[7] |
또한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게는 이 성단을 포함한 여러 개의 성단과 성운들이 마치 혜성과 같은 장관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가짜 혜성이라는 별명을 붙이고 있다.
이 가짜 혜성도 일반 혜성과 똑같이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으로 나뉘는데 그중 머리부분을 NGC 6231이 담당하고 있다.[8]
겉보기 등급이 2.2등급일 정도로 매우 밝기 때문에 여름에 남쪽하늘에 훤히 보이고 매우 어두운 곳에서는 맨눈으로 보인다.[9] 쌍안경으로는 성단의 별들을 분해해서 볼 수 있으며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쌍성을 포함한 대부분의 별들을 볼 수 있다.[10]
3. 다른 천체 목록
| 콜린더 천체 | ||||
| Cr 321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Cr 322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Cr 323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멜로테 천체 | ||||
| Mel 152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Mel 152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 | Mel 154 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
4. 관련 문서
[1] 또는 렌즈형은하[2] 전갈자리에 있는 O형 주계열성과 B형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성단의 중심별인 전갈자리 제타1등이 속해 있다. 여담으로 안타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Sco OB2 성협도 있다. 자세한건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문서 참고[3] 또한 보석상자 성단과 모양이 비슷해 북부 보석상자 성단으로도 불린다.[4] 매우 밝은 별로 유명한 리겔이나 데네브보다 더 밝다.[5] 참고로 옆에 있는 전갈자리 제타2는 약 150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거성으로 성단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6] 백색왜성이 관측되었다는 자료도 있는데 왜 나이가 2백만년밖에 안되었을 성단에 백색왜성이 있다는지는 의문이다.[7] 사진 위쪽의 성단이 NGC 6231이다.[8] 나머지 꼬리부분은 Cr 316, Tr 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빨간 성운은 통칭 새우 성운으로 불리는 IC 4628이다.[9] 하지만 개개의 별은 분해되지 않고 희미한 성단으로 보인다.[10] 물론 쌍성은 고배율의 접안렌즈로 봐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