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CL|CL]]
- [ 음반 목록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참여 음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HOT ISSUE(BIGBANG)| HOT ISSU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1192c;"
2007. 11. 22.[[엄정화/가수 활동#미니앨범 'D.I.S.C.O' (2008)| D.I.S.C.O]]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4d4d4;"
2008. 07. 01.Made In R.O.K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7b022;"
2008. 10. 10.[[Heartbreaker(G-DRAGON)|Heartbreaker]]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e8e94;"
2009. 08. 18.[[Recess| ]][[CL/음반#s-5.1| Please Don't Go]]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5fa04;"[[산다라박/음반 목록#디지털 싱글 《Kiss》| Kis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cde0c;"
2009. 09. 07.[[Recess| Reces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cd4df;"
2014. 03. 14.[[RISE(태양)#Love You To Death| RIS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b9f89;"
2014. 06. 03.[[My Little Pony: The Movie(2017년)#OST| ]][[Doctor Pepper| Doctor Pepper]]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60bc6;"[[칠집싸이다| 칠집싸이다]]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a7339;"
2015. 12. 01.[[Lil Yachty#Teenage Emotions| Teenage Emotion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dacb1;"
2017. 05. 26.[[My Little Pony: The Movie(2017년)#OST| My Little Pony: The Movie OS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662b6e;"
2017. 09. 22.[[MASTERS OF THE SUN VOL. 1| ]][[Dog(음반)| ]][[Moodswings In This Order| ]][[MASTERS OF THE SUN VOL. 1| MASTERS OF THE SUN VOL. 1]]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8. 10. 26.CUT IT UP (feat. CL & Afrojack)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f90ab;"
2019. 06. 04.[[Dog(음반)| Dog]]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20. 11. 29.[[Moodswings In This Order|No Blueberrie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20. 12. 18.[[Epik High Is Here 上| ]][[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이널| ]][[Epik High Is Here 上| Epik High Is Here 上]]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ebcac;"
2021. 01. 18.[[스트릿 우먼 파이터/파이널|스트릿 우먼 파이터(SWF) Special]]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21. 10. 27.[[상어 가족#아기상어: 올리와 윌리엄| 아기상어 올리와 윌리엄 OST (Special Track)]]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a3f3d;"
2022. 06. 28.
1. 개요2. 정규3. EP4. 디지털 싱글
4.1. 《나쁜 기집애》4.2. 《Hello Bitches》4.3. 《LIFTED》4.4. 《+HWA+》4.5. 《Wish You Were Here》4.6. 《+5 STAR+》4.7. 《SPICY》4.8. 《SPICY (Remix) (Fea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4.9. 《Lover Like Me》
5. 콜라보 앨범5.1. 디지털 싱글 《Please Don't Go》5.2. 디지털 싱글 《Doctor Pepper》
6. 방송 · OST 참여7. 참여 음반8. 미발매곡9. 관련 문서1. 개요
CL의 음반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2. 정규
2.1. 《ALPHA》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LPHA(CL)#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LPHA(CL)#|]][[ALPHA(C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LPHA | |||
| |||
2021년 10월 20일 오후 1시 발매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01 | SPICY | CL, Bonique, sokodomo, HOLLY, Baauer, Fabian Mazur | HOLLY, Baauer |
02 | Lover Like Me | CL, Cleo Tighe, Sarah Blanchard, Nafla, Anne-Marrie Nicholson | Freedo, Nick Lee |
03 | Chuck | Ian Thomas, David Hamelin, Boniq, CL, KES KROSS | Ian Thomas, David Hamelin |
04 | Xai | Dyo, Paul Phamous, Donut, Ryan Marrone, David Hamelin, CL | Paul Phamous, Donut, Ryan Marrone, David Hamelin |
05 | Let It | 홍지상, CL, Boniq | 홍지상 |
06 | Tie a Cherry | Nick Lee, Peter Chun, Krysta Youngs, Julia Allyn Ross, Kyan Palmer, Gino Borri, sokodomo, CL | Nick Lee, Peter Chun |
07 | Paradise | CL, J Gramm, Rogét Chahayed, Starrah, Quan, Maxxx, Rahk, Taylor Ross, JUNE, Keen | J Gramm, Rogét Chahayed |
08 | My Way | Dan Henig, Alex T, Sweater Beats, CL, David Hamelin | Dan Henig, Alex T, Sweater Beats, David Hamelin |
09 | Siren | Nick Lee, CL, Kimbra Johnson, Mad Max, Retro Future | Nick Lee, Mad Max, Retro Future |
10 | HWA | CL, Jean Baptiste Kouame | Kurtis McKenzie, Dave Hamelin |
11 | 5 STAR | CL, Koko LaRoo, Jean Baptiste Kouame, Suburban Plaza, Tablo | Darnell 'Got It', cut&dry, Mutungi, Suburban Plaza, Dave Hamelin |
3. EP
3.1. 《사랑의 이름으로》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CL의 EP 앨범 《사랑의 이름으로》}}}에 대한 내용은 [[사랑의 이름으로(CL)]]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랑의 이름으로(CL)#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랑의 이름으로(CL)#|]]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CL의 EP 앨범 《사랑의 이름으로》: }}}[[사랑의 이름으로(CL)]]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랑의 이름으로(CL)#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랑의 이름으로(CL)#|]]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사랑의 이름으로 | |||
2019년 12월 17일 발매[1]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01 | +DONE161201+ | DJ Dahi, Bosko, CL, Bobby Brackins | CL, DC |
02 | +처음으로170205+ | Jean Baptiste Kouame, Michael Henry, Kyle Edwards, CL, August Grant | CL, Ohnim |
03 | +투덜거려본다171115+ | David Morup, CL, James Newman, Dyo | CL, Tokki |
04 | +ONE AND ONLY180228+ | Par Westerlund, CL, Jesse Thomas | |
05 | +안해180327+ | Sean Myer, CL, Delacey, Michael Pollack | |
06 | +소중한 추억190519+ TITLE | CL |
4. 디지털 싱글
4.1. 《나쁜 기집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쁜 기집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쁜 기집애#|]][[나쁜 기집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나쁜 기집애 | ||||
| ||||
2013년 5월 28일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편곡 |
01 | 나쁜 기집애 (The Baddest Female) | Teddy | CL, Teddy | Teddy |
4.2. 《Hello Bitche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llo Bitche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llo Bitches#|]][[Hello Bitche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Hello Bitches | ||||
| ||||
2015년 11월 21일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편곡 |
01 | Hello Bitches | Teddy, Jean Baptiste | Teddy, CL, Danny Chung, Jean Baptiste | Teddy |
4.3. 《LIFTE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IFTE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IFTED#|]][[LIFTE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LIFTED | ||||
| ||||
2016년 8월 19일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편곡 |
01 | LIFTED | Teddy | Asher Roth, CL, Teddy | Teddy |
4.4. 《+HWA+》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CL의 싱글《+HWA+》}}}에 대한 내용은 [[+HWA+]]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HWA+#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HWA+#|]]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CL의 싱글《+HWA+》: }}}[[+HWA+]]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HWA+#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HWA+#|]]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HWA+ | |||
2020년 10월 28일 오후 1시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01 | +HWA+ | Kurtis McKenzie, Dave Hamelin | CL, Jean Baptiste Kouame |
4.5. 《Wish You Were Here》
Wish You Were Here | |||
| |||
2021년 2월 26일 오후 2시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01 | Wish You Were Here | DJ Spinz | CL, DJ Spinz, Boniq, MNEK, Rozes, Asia Whiteacre |
장르: R&B/소울 | 기획사: Very Cherry | 발매사: The Orchard |
CL ‘Wish you were here’ 앨범 소개 |
Wish You Were Here Official Video |
|
4.6. 《+5 STAR+》
+5 STAR+ | |||
2021년 8월 1일 발매[2] | |||
<rowcolor=#ffffff>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01 | 5 STAR | CL, Koko LaRoo, Jean Baptiste Kouame, Suburban Plaza, 타블로 | Darnell 'Got It', cut&dry, Mutungi, Suburban Plaza, Dave Hamelin |
장르: R&B/소울 | 발매사: The Orchard | 기획사: Very Cherry |
사랑에 빠진 솔직한 감정을 표현한 곡으로, 매력적인 CL의 보컬을 느낄 수 있다. 사랑의 기쁨을 노래한 멜로디와 가사는 대중들의 연애 세포를 자극하기 충분하다. 곡 소개 |
+5 STAR+ Official Video |
<nopad> |
|
2020년 10월 29일 싱글앨범 +HWA+의 수록곡으로 발매되었던 곡이다. 하지만 2021년 8월 1일, 따로 싱글로 분리되어 재발매되었다.
2021년 10월 20일에 발매된 정규 1집 ALPHA에 수록됐다.
+5 STAR+ Visualizer |
<nopad> |
+5 STAR+ BTS Video |
<nopad> |
CL +5 STAR+ Rap Session |
<nopad> |
4.7. 《SPICY》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IC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PICY#|]][[SPIC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SPICY | |||
| |||
2021년 8월 24일 오후 6시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01 | SPICY | HOLLY, Baauer | CL, Bonique, sokodomo, HOLLY, Baauer, Fabian Mazur |
4.8. 《SPICY (Remix) (Fea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
SPICY (Remix) (Fea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 | |||
| |||
2021년 9월 8일 오후 6시 발매 | |||
<rowcolor=#e3e9e5>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01 | SPICY (Remix) (Fea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 | HOLLY, Baauer | CL, Bonique, sokodomo, HOLLY, Baauer, Fabian Mazur, Lil Cherry, Omega Sapien |
장르: 랩/힙합 | 기획사: Very Cherry | 발매사: The Orchard |
더 강렬해진 [SPICY(fea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 REMIX] 앨범 소개 |
2021년 9월 8일 오후 6시에 기습 공개된 SPICY의 리믹스이다. SPICY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던 Lil Cherry, Omega Sapien, sokodomo가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Dingo Freestyle 유튜브 채널을 통해 라이브 영상이 공개됐다.
CL - SPICY (Remix) ft. Omega Sapien, sokodomo, Lil Cherry |
|
[DF LIVE] 스파이시 리믹스 - 씨엘 dingo freestyle |
4.9. 《Lover Like M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ver Like M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over Like Me#|]][[Lover Like M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Lover Like Me | |||
| |||
2021년 9월 29일 오후 1시 발매 | |||
<rowcolor=#fff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01 | Lover Like Me | Freedo, CL, Cleo Tighe, Sarah Blanchard, Nafla, Anne-Marrie Nicholson | Freedo, Nick Lee |
5. 콜라보 앨범
5.1. 디지털 싱글 《Please Don't Go》
CL & MINZY Please Don't Go | ||||
2009년 11월 20일 발매 | ||||
트랙 | 곡명 | 작곡 | 작사 | 편곡 |
01 | Please Don't Go | Teddy | ||
장르: 댄스 | 기획사: YG엔터테인먼트 | 발매사: YG PLUS |
2NE1, CL & 민지 신곡 깜짝 발표! 2NE1의 막내들인 "CL"과 "공민지"가 11월 20일 듀엣 곡 'Please don't go'을 디지털 싱글로 깜짝 공개한다. 그 동안 아무런 사전예고가 없었던 일인지라 2NE1 팬들도 어리둥절한 소식인데, 최근 YG 양현석 사장이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2NE1의 깜짝쇼가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Please don't go'는 YG의 메인 프로듀서 테디의 작품으로 빠른 힙합 리듬 위에 CL과 공민지가 강하게 쏟아내는 랩 스타일과 경쾌한 멜로디로 이뤄진, 올 추운 겨울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예상될 만큼 강한 느낌을 지닌 힙합 댄스 곡이다. YG 엔터테인먼트측은 “11월로 예정되어있던 2NE1의 새 앨범발표가 연기 되면서 비밀리에 추진해온 프로젝트인데 주변 스태프들에게 조차 알리지 않기 위해 뮤직비디오도 제작 하지 않았다”며 “갑작스러운 일이지만 올 한해 2NE1의 음악을 좋아해주신 모든 분들께 좋은 선물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09년 4월 빅뱅과 함께한 광고음악 '롤리팝(Lollipop)'으로 첫 선을 보인 2NE1은 정식 데뷔곡인 '파이어(Fire)'와 미니앨범 타이틀곡인 '아이 돈 케어(I don’t care)'까지 연달아 히트를 치면서 올해 데뷔한 신인들 중 단연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발표한 산다라의 솔로곡 '키스(Kiss)'가 또 다시 각종 온라인 차트 1위를 석권하였고, 곧이어 발표한 박봄의 솔로곡 '유 앤 아이(YOU AND I)' 역시 지난주 까지 2주간 온라인 주간차트 1위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인기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앨범 소개 |
Please Don't Go |
|
CL & 민지 유닛의 디지털 싱글. 2009년 MAMA에서 이벤트성으로 선보인 곡인데 반응이 좋아서 디지털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2010년 2NE1의 정규 1집 To Anyone에 수록되었다.
5.2. 디지털 싱글 《Doctor Pepper》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octor Peppe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octor Pepper#|]][[Doctor Peppe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Diplo & CL & RiFF RAFF & OG Maco Doctor Pepper | |||
2015년 5월 29일 발매 | |||
트랙 | 곡명 | 프로듀서 | 작사 · 작곡 |
01 | Doctor Pepper | 디플로, Swizzymack | Thomas Wesley Pentz, CL, Horst Simco, Benedict Ihesiaba, Brian Wollman, Jordan Safford |
6. 방송 · OST 참여
발매일 | 곡명 | 앨범 | 비고 | |
| 2017.09.22 | No Better Feelin | My Little Pony: The Movi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영화 《My Little Pony: The Movie》 OST |
| 2021.10.27 | CAVIAR | 스트릿 우먼 파이터(SWF) Special | 엠넷 《스트릿 우먼 파이터》 방송 음원 / with CocaNButter |
| 2022.06.28 | 해초 스웩 (아기상어 올리와 윌리엄) | 아기상어 올리와 윌리엄 OST (Special Track) | 애니메이션 《아기상어 올리와 윌리엄》 OST |
7. 참여 음반
발매일 | 가수 | 앨범명 | 참여 곡 | 비고 | |
| 2007.11.22 | BIGBANG | 미니앨범 2집 《Hot Issue》 | Hot issue (Intro) | 피쳐링 |
| 2008.07.01 | 엄정화 | 《D.I.S.C.O》 | DJ | |
| 2007.11.22 | BIGBANG | 미니앨범 3집 《Stand Up》 | 착한사람 | 참여[3] |
| 2008.10.10 | YMGA | 미니앨범 1집 《Made In R.O.K》 | What | 피쳐링[4] |
| 2009.08.18 | G-DRAGON | 1집 《HeartBreaker》 | The Leaders | 피쳐링 |
| 2009.09.07 | 산다라박 | 디지털 싱글 《Kiss》 | Kiss | |
| 2010.07.21 | SE7EN | 미니 1집 《Digital Bounce》 | Digital Bounce | 참여[5] |
| 2014.03.14 | Skrillex | 1집 《Recess》 | Dirty Vibe | 피쳐링 |
| 2014.04.07 | AKMU | 1집 《PLAY》 | 소재 | 참여 |
| 2014.06.03 | 태양 | 2집 《RISE》 | 아름다워 (Body) | |
Love You To Death [6] | |||||
| 2015.12.01 | 싸이 | 1집 《칠집싸이다》 | DADDY | 피쳐링[7] |
| 2016.12.27 | 오케이션 | - | 백만원 (₩ 1,000,000) | 피쳐링 / 정식 발매 X[8] |
| 2017.05.26 | Lil Yachty | 7집 《Teenage Emotions》 | Surrender | 피쳐링 |
| 2018.10.26 | 블랙 아이드 피스 | 7집 《MASTERS OF THE SUN VOL. 1》 | DOPENESS | |
| 2019.06.04 | PKCZ® [9] | 디지털 싱글 《CUT IT UP (feat. CL & Afrojack)》 | CUT IT UP | |
| 2020.11.29 | 김심야 | 1집 《Dog》 | Looooose Controlla | |
| 2020.12.18 | DPR IAN | 디지털 싱글 《No Blueberries》 | No Blueberries | |
| 2021.01.18 | 에픽하이 | 정규 10집 《Epik High Is Here》 | ROSARIO |
8. 미발매곡
온라인상에 떠돌아다니는 미발매곡들이 많은 편이다. 대부분은 YG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있던 시절 미국 앨범을 준비하며 작업했지만 소속사와 결별하며 발매되지 못한 곡들이다.8.1. 《ALL IN》
▲ CL의 인스타그램에 공개된 뮤직비디오 일부분 |
정식 공개되지 않은 음원으로, 2018년 1월 1일 씨엘이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짧은 소개 글과 함께 일부##를 공개했다 삭제한 비공식 음원이다.
씨엘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공개한 짧은 소개 글에 따르면, 음원을 공개한 이유는 2017년에 새 음악을 내겠다고 약속했었으나, 발매되지 못해 기다려준 팬들을 위한 특별한 선물이고 이걸 조금 보여주는게 자기에게 큰일이 일어날 수도(곤란해질 수도) 있지만 팬들에게 보여주는게 더 의미있고 약속을 지킬수 있는거 같다고 했다.
비공식 싱글이기 때문에 현재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들을 수 없으며, 씨엘이 인스타그램에 공개했다 삭제한 ## 뮤직비디오 일부분에서만 들을수 있다.
유튜브에 "Official Audio" 등의 제목으로 업로드된 영상들은 인스타그램에 공개된 ## 뮤직비디오 일부분을 2차 가공한 것으로 보인다.
곡의 권한을 갖고있는 YG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해지하면서 앞으로의 정식 발매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8.2. 《Fool for Love》
공개된 《Fool for Love》 곡 일부 |
2018년경 한 관계자의 SNS를 통해 곡 일부분이 공개되었다. 실제 제목은 알 수 없으나 공개된 파트의 가사를 토대로 Fool for Love로 추정되는 중이다.
현재 YG엔터테인먼트를 나오게 되면서 해당 곡이 발매될 가능성이 희박해진 상태이다.
8.3. 《Let Me Love You》
《Let Me Love You》 CL 버전 |
저스틴 비버가 피쳐링한 DJ Snake의 곡 Let Me Love You와 동일한 곡이다. 2019년 작곡가 Brian Lee가 자신의 SNS를 통해 CL이 부른 데모 버전이 녹화된 영상을 공개되면서 CL도 해당 곡을 녹음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CL은 DJ Snake와 2015년에 만났었고, 2016년초 곡을 녹음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8.4. 《POST UP》
POST UP | |||||
2020년 9월 14일 오후 1시 공개 | |||||
<rowcolor=#d4a958> 트랙 | 제목 | 작곡 | 작사 | 믹싱 | 마스터링 |
01 | POST UP | Baauer, Holly | CL, BONIQUE | Stuart White | Colin Leonard |
+POST UP+ Official Video |
|
2020년 9월 14일 오후 1시에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독점 공개한 뮤직비디오이다.
10월부터 정식 싱글 발매와 향후 정규 앨범 활동에 들어가기 앞서서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의미로 팬들에게 공개하는 짧은 팬송이라고 한다.
음원에는 바우어(Baauer)와 홀리(Holly), 스튜어트 화이트(Stuart white), 콜린 레오나드(Colin Leonard)등의 유명 프로듀서들이 참여했고, 뮤직비디오에는 쿠시코크(KUSIKOHC)의 조기석, 이혜인 작가가 디렉팅과 연출을 담당했다.
9. 관련 문서
[1] 12월 4일부터 18일까지 매주 2곡씩 공개.[2] 2020년 10월 29일 싱글앨범 +HWA+의 수록곡으로 발매되었으나, 2021년 8월 1일 분리되어 새 생글로 재발매되었다.[3] 1분 55초경에 등장하는 '카페인 알코올 조금만 줄여요' 파트[4] YG FAMILY 피쳐링[5] 도입부, 간주 중간마다 삽입된 'Never let the party stop' 보이스 샘플[6] 나름 비중있는 참여지만 따로 피쳐링 표기는 되어있지 않다. CL 피쳐링 관련 태양의 인터뷰[7] 싸이가 노래에서 'Hey, where did you get that body from?'라고 묻는 가사를 생각했을 때, 그 물음에 딱 들어맞는 목소리를 가졌다고 떠올린 이가 CL이었다고 한다.[8] 2016 가요대전에서 무대를 가졌으며, 유튜브와 사운드클라운드 등을 통해 무료로 음원이 공개된 곡이다.[9] 일본의 그룹 EXILE의 멤버 히로(HIRO)와 DJ MAKIDAI, 힙합 유닛 엠플로(m-flo)의 멤버 버벌(VERBAL), 디자이너 겸 프로듀서 다루마(DARUMA)가 만든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