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6:37:26

Army of the United States


1. 개요2. 전례

1. 개요

미군의 일종. 미군(U.S Army)의 4개의 복무 요소 중 하나로[1]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의 참전 직전에 처음으로 활성화되어, 6.25 전쟁베트남 전쟁에서 기능한 미군의 전시 군대 체제로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군한 1973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비활성화로 남아있다.

2. 전례

역사적으로 미국 건국부터 미국이 치른 주요 분쟁 및 전쟁[2]에서 소수의 정규군[3]과 다수의 주 민병대, 의용군을 동원했다.

미국 건국부터 19세기 말까지 미국의 육군 군사조직은 크게 3개로 나뉘었는데 다음과 같다. 이 3개의 조직은 시대 별로 명칭과 형태의 변화만 있을 뿐 현대에도 미국 육군의 근간을 구성하는 조직들이다.

1. 정규군 (Regular Army): 평시와 전시의 구분없이 존재하는 영구 조직, 미국 독립 전쟁 직후 군축으로 정원이 80명(!)으로 잠시 감축된 후 곧 700명으로 증가했고 1793년에 5천명으로 늘어났다. 미영전쟁에서 25,000명으로 증가했고 전쟁 후엔 1만명으로 감축되었다.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최소 2만명 이상으로 증가했고 전후 증가한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1만 6천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남북전쟁을 맞이했다.

2. 주, 준주 별 민병대 (State, Territory Militia): 현재의 주방위군과 주방위대의 모태가 되는 조직으로 미국 건국 이전인 북미 식민지 시대부터 각 주마다 지녔고 전통적으로 신체가 건강한 18 ~ 45세의 백인 남성들이 등록대상자였다. 민병대원은 개별적으로 자비로 무장 및 장비를 갖췄는데 1808년의 민병대 법으로 (Militia Act of 1808) 장비 면에서 보조를 받기 시작했다. 1792년과 1795년의 민병대 법으로 (Militia Acts of 1792, 1795) 미국에 임박한 외국 및 인디언의 침략과 반란 대처를 위해 대통령에게 소집 권한과 연방 복무로 소집된 민병대의 통수권이 부여됐다. 남북전쟁 시기인 1862년의 민병대 법으로 (Militia Act of 1862) 북부 및 친 연방 민병대에서 흑인들의 복무가 가능해졌다. 미국의 주요 전쟁에서 소집되어 정규군과 함께 미군의 일원[4]으로 참전했다. 민병대는 미국 이념의 핵심이었지만 그 효용성에 대한 의문은 군 체계가 많이 완비되는 20세기 초까지 각계의 논쟁이 계속되었다.

3. 의용군 (Volunteer Forces / United States Volunteers): 긴급 상황, 비상 사태에서 미국 의회가 인가한 한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원장병 부대로 연방 정부가 통제했으며 대통령은 이들 부대에 대한 장교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들 의용군은 정규군을 보조하나 병렬로 조직된다. 기록상으로는 1789년 ~ 1808년 사이에 의용군 부대의 조직화와 소집에 대한 여러 권한이 생성되었으며, 의용군은 1812년 미영전쟁에서 등장해 당시 약 13,000명의 장병이 종군했다. 이 때 일부 주의 민병대들은 자신들의 주를 벗어나 타지에서 작전을 참여하는 것에 반대 운동을 펼쳤고, 차후 전쟁에서 미군이 병력의 규모를 늘릴 때 의용군 부대를 대거 창설하는 계기가 되었고 특정 지역, 주의 민병대들 구성원 전체가 자원하여 의용군에 편성된 경우도 있다. 19세기 전반의 인디언 전쟁에서 수만명의 의용병과 수백명의 기병입대자, 수천명의 친미 원주민이 미국 의용군에 한시적으로 입대했고 (6개월 ~ 1년) 이들 중 간부급은 의용군 장교 계급을 부여받아 지휘관 및 참모로 활동했다. 기병입대자는 개인 말을 지참해야 했고 추가 수당과 말의 사망에 대한 보상 비용이 제공됐다. 의용군은 일반적으로 복무소집되는 동안 정규군과 동일한 급여와 보급을 받았고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6만명의 의용군이 입대하여 종군했다.


~작성중~
[1] 다른 3개는 정규군 (Regular Army, Active = 연방군 현역군인), 주방위군 (National Guard), 연방예비군 (U.S Army Reserve) 이다.[2] 인디언 전쟁, 미영전쟁, 미국-멕시코 전쟁, 남북전쟁, 미서전쟁, 제1차 세계 대전[3]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국이 군대를 동원해 자신들을 진압하려 했던 것과 (훨씬 과거에선 17세기 영국에서 일부 국왕들과 크롬웰 등이 군대를 활용했던 통치로 인한 폐해도 포함) 이에 맞서 동원한 미국 곳곳의 민병대가 보인 활약, 건국으로 수립된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역할 갈등과 이에 연관해서 군대의 존재가 시민의 자유를 침해하고 폭압적으로 변질될 우려를 가진 당대 미국 정치인들은 정규군의 규모를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군대가 요구됐던 많은 부분들을 주 민병대의 소집과 한시적 모병 (의용부대) 으로 충당했다.[4] 미국 독립 전쟁에서 일부 민병대는 친 영국 성향으로 영국군에 가담했고, 남북전쟁에선 남부 주의 민병대들은 대부분 미연합국에 가담해 남부 육군 (Confederate States Army) 의 일원으로 연방과 싸웠고 북부 주의 민병대들은 북군 (Union Army) 의 중핵으로 참전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