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9:51:36

Arduino/하드웨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rduino
1. 제품
1.1. 클래식
1.1.1. 우노 (R3)
1.1.1.1. UNO Mini Limited Edition1.1.1.2. 우노 R41.1.1.3. 우노 Q
1.1.2. 나노
1.1.2.1. 나노 R4
1.1.3. 제로1.1.4. 우노 와이파이 Rev 21.1.5. 레오나르도1.1.6. 마이크로
1.2. 메가
1.2.1. 메가 25601.2.2. 두에1.2.3. 기가 R1 WiFi
1.3. MKR
1.3.1. MKR 제로1.3.2. MKR FOX 12001.3.3. MKR1000 WIFI1.3.4. MKR WIFI 1010
1.4. Opta1.5. 단종
2. 관련 문서

1. 제품

아두이노 하드웨어문서 페이지에 있는 아두이노 제품들을 설명한다.
아두이노의 다양한 모델들중에는 이탈리아어로 0,1,2, 작다(nano),크다(mega)를 의미하는 제로(Zero), Uno(우노),Due(두에),nano(나노),mega(메가)등의 네이밍이 붙는다.

1.1. 클래식

아두이노 우노를 기반으로 히고 우노와 같은 폼펙터의 보드를 사용하는 파생형 보드들의 모임이다.

1.1.1. 우노 (R3)

파일:Arduino Uno Rev3.webp
Arduino UNO Rev3
컨트롤러 ATmega328P (8비트)[1]
클럭 속도 16MHz
플래시 메모리 32KB(부트로더에서 0.5KB 사용) 32256bytes
SRAM 2KB (2,048bytes)
EEPROM 1KB
커넥터 USB-B
입출력 및 전기적 특성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0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14개(PWM 6핀)
아날로그 입력 핀 6개
입출력 핀 전류 20mA
3.3V 핀 전류 50mA
내장 LED 13번 핀
크기
가로 68.6 mm
세로 53.4 mm
무게 25g

가장 기본적인 보드이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드이다. 마이크로컨트롤러 칩의 장착 방식을 DIP에서 SMD로 바꾼 버전도 팔고 있다. SMD 버전의 경우 조금 더 저렴한 대신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보드에 납땜되어 있어 고장 시 교체가 어렵다.

본체에 USB-B 암 단자가 있어 (기본 제공되는) USB B-to-A 케이블로 PC와 연결한다. 정품 우노 R3 보드의 경우 USB 전용으로 ATMega16U2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시리얼 장치로 인식되지만, 저렴한 호환 보드의 경우 원가 절감을 위해 CH340 변환 칩을 사용하여 별도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

외부전원으로 아두이노를 구동하면서 동시에 해당 전압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체에 제공되는 Vin 핀으로부터 도선을 끌어와 끝부분에 DC 단자를 새로 납땜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아두이노 본체에 전원을 꽂고 Vin 핀과 GND 핀을 끌어오면 DC단자로부터 나오는 전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체에 제공되는 DC단자와 Vin 핀이 공통 단자이기 때문.

이렇게 Vin 혹은 DC단자를 통해 강압된 전원은 5V 단자를 통해 출력되고, 병렬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소자들에 공급된다. 따라서 외부전원을 통해 5V 전압을 인가하고 싶다면 5V 출력단자에 직접 5V를 입력하고 5V 전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소자들을 병렬로 연결해주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 소개될 여러 하드웨어에 모두 공통적으로 통용된다.

후속 기종들과 달리 USB통신을 위해서 시리얼통신 단자를 끌어다 쓰기 때문에, USB로 컴퓨터와 통신하고 있는 도중에는 하드웨어 시리얼 단자인 RX TX(0, 1번 단자)를 사용할 수 없다.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시리얼이라는 방법을 이용해 우회해주어야 한다.

센서모듈 1개와 LCD 1개 그리고 RTC 1개 돌리면(프로그램 파일사이즈가 6kb 일 경우의 예) 거의 아래 알림 메시지를 띄우고 잘 작동하는걸 볼 수 있다.
Sketch uses 16282 bytes (50%) of program storage space. Maximum is 32256 bytes.
Global variables use 1555 bytes (75%) of dynamic memory, leaving 493 bytes for local variables. Maximum is 2048 bytes.
Low memory available, stability problems may occur.

각종 변수 및 객체 값을 저장하는 SRAM 메모리의 크기가 2KB로 작기 때문에 wifi모듈이나 SD카드를 추가장착해 사용하면 메모리(memory)쪽에서 심각한 경고 메시지를 받을 확률이 높다. SD카드는 여간 프로그래밍을 잘 짜야할수도 있다.[2] wifi모듈의 경우 우노wifi내장모델이 별도로 있다.
1.1.1.1. UNO Mini Limited Edition
파일:UNO_Mini_Limited_Edition.jpg
UNO Mini Limited Edition
컨트롤러 ATmega328P (8비트)
클럭 속도 16MHz
플래시 메모리 32KB(부트로더에서 0.5KB 사용) 32256bytes
SRAM 2KB (2,048bytes)
EEPROM 1KB
커넥터 USB-C
입출력 및 전기적 특성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0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14개(PWM 6핀)
아날로그 입력 핀 6개
입출력 핀 전류 20mA
3.3V 핀 전류 50mA
내장 LED 13번 핀
크기
가로 26.70 mm
세로 34.20 mm
무게 8.05 g
1.1.1.2. 우노 R4
파일:UNO R4 Minima.webp
Arduino UNO Rev4 Minima
컨트롤러 Renesas RA4M1 (Arm® Cortex®-M4)
클럭 속도 48MHz
플래시 메모리 256KB (262,144bytes)
SRAM 32KB (32,256bytes)
EEPROM 8KB[3]
USB USB-C
입출력 및 전기적 특성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4V
디지털 입출력 핀 14개(PWM 6핀)
아날로그 입력 핀 6개
입출력 핀 전류 8mA
내장 LED 13번 핀
크기
가로 68.85 mm
세로 53.34 mm
파일:UNO R4 WiFi.webp
Arduino UNO Rev4 Wifi
기본적인 구성은 Minima와 동일
12x8 LED 매트릭스
라디오 모듈 ESP32-S3-MINI-1-N8
작동 전압 3.3V
클럭 속도 240MHz
ROM 384KB
SRAM 512KB


2023 년 6월 릴리스 된 보드. R4 미니마와 R4 와이파이라는 두 가지 종류로 릴리스 되었다. 32비트 Cortex-M4 코어를 쓰는 ARM프로세서로 변경되면서 기존 AVR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쓰던 보드와는 완전히 다른 보드가 되었으며 핀 소스 전력으로 제한되는 문제를 제외하면 폼펙터 사이즈와 핀 크기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 실드등과 호환이 가능하다.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기본 버전인 미니마와 ESP32가 장착되어 와이파이/블루투스를 같이 사용가능한 WiFi 버전 두 종류가 있으며 기존 AVR우노를 신형 우노로 밀어버리겠다는 의지인지는 몰라도 추가된 기능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미니마 기준으로 구형 정품 우노보드보다 오히려 싸다.

장점이 많이 추가되었지만 단점 또한 있다. 기존에는 AVR 시리즈의 대표적인 장점 중 하나인 핀당 소스 커런트가 12mA 정도로 높다는 점 때문에 별도의 드라이브 회로 없이도 소자를 동작 가능한 경우가 많았으나, 32비트 ARM 프로세서로 바뀌면서 출력 전류가 8mA로 바뀌어 이것이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이 외에 R3와는 달리 하드웨어 USB 시리얼과 TX/RX 시리얼이 각각 Serial과 Serial1으로 분리되면서, 기존의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많은 라이브러리들도 호환성 경고를 띄우기는 하지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겁먹을 필요 없다.
1.1.1.3. 우노 Q
파일:Arduino-Q.webp
Arduino Uno Q
모델 ABX00162 ABX00173
프로세서(SoC) Qualcomm Dragonwing QRB2210 (64비트)
프로세서 RAM 2GB 4GB
eMMC 16GB 32GB
연결성 Wi-Fi 5, Bluetooth 5.1
운영체제 Debian[6] + Zephyr OS[7]
컨트롤러 STM32U585 (32비트)
클럭 속도 160MHz
플래시 메모리[8] 2MB
SRAM[9] 768KB
입출력 및 전기적 특성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7-24V
디지털 입출력 핀 14개 (PWM 6핀)
아날로그 입력 핀 6개 (14-bit)
입출력 핀 전류 20mA
내장 LED -
크기
가로 68.6 mm
세로 53.4 mm

2025년 10월에 공개된 보드. 퀄컴아두이노 인수 직후 발표된 첫 모델이자 아두이노 최초로 퀄컴제 칩을 탑재한 Uno 보드이다.
이번 모델부터 Arduino App Lab 이라는 신규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래밍 해야 한다.

1.1.2. 나노

파일:Arduino Nano.jpg
Arduino Nano
컨트롤러 ATmega328P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7-12V
디지털 입출력 핀 22개(PWM 6핀)
아날로그 입력 핀 8개
입출력 핀 전류 40mA
플래시 메모리 32KB(부트로더에서 2KB 사용)
SRAM 2KB
EEPROM 1KB
클럭 속도 16MHz
내장 LED 13번 핀
가로 45 mm
세로 18 mm
무게 7g

아두이노 우노의 소형 버전. 기본적으로 ATmega328P이지만 ATmega168을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우노와 같은 칩을 사용하므로, 단점도 공유한다. 브레드보드에 직접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우노에 없는 A6과 A7 핀이 존재하므로 아날로그 입력을 우노보다 더 많이 연결할 수 있다.
1.1.2.1. 나노 R4
파일:Arduino_Nano_R4.jpg
Arduino Nano R4
컨트롤러 르네사스 RA4M1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1V
플래시 메모리 256KB
RAM 32KB
EEPROM 8KB
클럭 속도 48MHz
가로 45 mm
세로 18 mm
무게 7g
아두이노 Uno의 소형 버전.

1.1.3. 제로

파일:Arduino_Zero.png
Arduino Zero
컨트롤러 ATSAMD21G18, 32-Bit ARM Cortex M0+
작동 전압 3.3V
디지털 입출력 핀 20개(2,7번 제외 모두 PWM 가능)
UART 2개(네이티브, 디버그)
아날로그 입력 핀 6개,12비트 ADC
아날로그 출력 핀 1개,10비트 DAC
인터럽트 4번 핀 제외 모두 가능
입출력 핀 전류 7mA
플래시 메모리 256KB
SRAM 32KB
EEPROM X(16KB 에뮬레이션)
내장 LED 13번 핀
클럭 속도 48MHz
가로 68 mm
세로 53 mm
무게 12g

우노의 후속인 ARM Cortex M0을 이용한 32비트 보드이다. 고성능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이 보드는 다른 보드와 달리 3.3V로 작동하니 5V을 인가하면 고장날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1.1.4. 우노 와이파이 Rev 2

파일:Arduino UNO WiFi Rev.2.jpg
Arduino Uno WiFi Rev 2
컨트롤러 ATmega4809 + u-blox NINA-W102(WiFi) + ATECC608A(Secure) + LSM6DS3TR(IMU)
메모리 SRAM 6KB , Flash 48KB
기존의 우노 와이파이는 단종됐고, 해당 버전은 두 번째 리버전 제품이다.
WiFi와 블루투스, 암호화 가속 칩, 관성 측정 장치(IMU)가 내장되어있다.[10][11]

1.1.5. 레오나르도

파일:Arduino Leonardo.webp
Arduino Leonardo
컨트롤러 ATmega32u4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0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20개(PWM 7핀)
아날로그 입력 핀 12개
입출력 핀 전류 40mA
3.3V 핀 전류 50mA
플래시 메모리 32KB(부트로더에서 4KB 사용)
SRAM 2.5KB
EEPROM 1KB
클럭 속도 16MHz
가로 68.6 mm
세로 53.3 mm
무게 20g

우노와 비슷하지만 ATmega32u4 컨트롤러를 사용해서 아두이노를 키보드나 마우스로 사용할수 있다. 32U4 컨트롤러는 칩 자체에서 USB 입출력을 별도로 지원하므로 USB를 이용해 컴퓨터와 통신하는 도중에도 하드웨어 시리얼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헤더가 없는 버전도 존재한다.

1.1.6. 마이크로

파일:Arduino Micro.jpg
Arduino Micro
컨트롤러 ATmega32u4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0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20개(PWM 7핀)
아날로그 입력 핀 12개
입출력 핀 전류 20mA
3.3V 핀 전류 50mA
플래시 메모리 32KB (부트로더에서 4KB 사용)
SRAM 2.5KB
EEPROM 1KB
클럭 속도 16MHz
가로 48 mm
세로 18 mm
무게 13g

아두이노 레오나르도의 소형 버전.

1.2. 메가

메가 2560을 베이스로 하는 확장형 보드와 그 폼펙터를 공유하는 파생형 제품들이다.

1.2.1. 메가 2560

파일:Arduino Mega 2560 Rev3.webp
Arduino Mega 2560 Rev3
컨트롤러 ATmega2560 (8비트)[12][13][14]
작동 전압 5V
입력 전압 6-20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54개(PWM 15핀)
아날로그 입력 핀 16개
입출력 핀 전류 20mA
3.3V 핀 전류 50mA
플래시 메모리 256KB(부트로더에서 8KB 사용)
SRAM 8KB
EEPROM 4KB
클럭 속도 16MHz
내장 LED 13번 핀
가로 101.52 mm
세로 53.3 mm
무게 37g

우노보다 더 많은 메모리와 입출력 핀을 제공하는 모델로 우노로는 부족한 복잡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우노 대비 플레시 메모리는 무려 8배이고 SRAM 용량은 4배다. 따라서 가격도 배이다.
한편 우노를 확장한 확장판이므로 우노의 기본 레이아웃을 따른다는 점은 편리하다.

1.2.2. 두에

파일:Arduino Due.webp
Arduino Due
컨트롤러 AT91SAM3X8E
작동 전압 3.3V
입력 전압 6-16V (7-12V 권장)
디지털 입출력 핀 54개(PWM 12핀)
아날로그 입력 핀 12개
아날로그 출력 핀 2개(DAC)
최대 입출력 핀 전류 130mA
5V 핀 전류 800mA
3.3V 핀 전류 800mA
플래시 메모리 512KB
SRAM 96KB(64KB+32KB)
클럭 속도 84MHz
가로 101.52 mm
세로 53.3 mm
무게 36g

처음으로 나온 ARM기반 32비트 보드로 아두이노를 통한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이 보드 또한 다른 보드와 달리 3.3V로 작동하니 5V을 인가하면 고장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15]

1.2.3. 기가 R1 WiFi


STM32H 시리즈 프로세서를 갖춘 신규 Mega 라인업 제품. Mega를 대체하는 플랫폼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기존 Mega 대비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있다
우노처럼 기존 Mega2560에서 STM32로 변경됨에 따라 포트당 구동전류는 20mA 수준에서 8mA로 줄어들었다.

1.3. MKR

MKR 보드 폼펙터 베이스.

1.3.1. MKR 제로

파일:Arduino_MKR_ZERO.jpg
Arduino MKR ZERO
컨트롤러 SAMD21 Cortex-M0+ 32bit low power ARM MCU
작동 전압 3.3V
입력 전압 5V
디지털 입출력 핀 22개(PWM 12핀)
아날로그 입력 핀 7개
아날로그 출력 핀 1개
UART 1개
SPI 1개
I2C 1개
입출력 핀 전류 7mA
5V 핀 전류 600mA
3.3V 핀 전류 600mA
플래시 메모리 256KB(부트로더에서 8KB 사용)
SRAM 32KB
EEPROM x
클럭 속도 32.768kHz (RTC), 48MHz
내장 LED 32번 핀

MKR 폼팩터의 소형 버전이다.

1.3.2. MKR FOX 1200

파일:Arduino_MKR_FOX_1200.jpg
Arduino MKRFOX1200
컨트롤러 SAMD21 Cortex®-M0+ 32bit low power ARM MCU

1.3.3. MKR1000 WIFI

파일:Arduino_MKR1000_WIFI.png
Arduino MKR1000 WIFI
컨트롤러 SAMD21 Cortex-M0+ 32bit low power ARM MCU

1.3.4. MKR WIFI 1010

파일:Arduino_MKR_WiFi_1010.jpg
Arduino MKR WiFi 1010
컨트롤러 SAMD21 Cortex-M0+ 32bit low power ARM MCU

1.4. Opta

PLC.아두이노 베이스 PLC로 레더 로직을 사용하는 별도의 IDE를 갖추고 있으나 일반 아두이노 IDE를 통해 개발도 가능하다.

1.5. 단종

자세한 내용은 아두이노 문서 참조[17]
엔트리 레벨
파일:Arduino_Pro.jpg 파일:Arduino_Pro_Mini.jpg 파일:Arduino_Fio.jpg 파일:Arduino Mini 05.jpg
Arduino Pro
(ATmega328)
Arduino Pro Mini
(ATmega168 / ATmega328)
Arduino Fio
(ATmega328P)
Arduino Mini 05
(ATmega328P)
파일:Arduino 101.jpg
Arduino 101
(Intel Curie)
향상된 성능
파일:Arduino Mega ADK Rev 3.jpg 파일:Arduino M0.jpg 파일:Arduino M0 Pro.jpg 파일:Arduino Star OTTO.jpg
Arduino Mega ADK Rev 3
(ATmega2560)
Arduino M0
(ATSAMD21G18)
Arduino M0 Pro (Zero Pro)
(ATSAMD21G18)
Arduino Star OTTO
(STM32F469BI + ESP8266)
IoT
파일:Arduino Yún.jpg 파일:Arduino Ethernet Rev3.jpg 파일:Arduino_Tian.jpg 파일:Arduino_Industrial_101.jpg
Arduino Yún
(ATmega32U4 + Atheros AR9331)
Arduino Ethernet Rev 3
(ATmega328)
Arduino Tian
(SAMD21G18 + Atheros AR9342)
Arduino Industrial 101
(ATmega32u4 + Atheros AR9331)
파일:Arduino_Leonardo_ETH.jpg 파일:Arduino_Yún_Mini.jpg 파일:Arduino_Uno_WiFi.jpg 파일:Arduino_Primo.jpg
Arduino Leonardo ETH
(ATmega32u4)
Arduino Yún Mini
(ATmega32u4 + Atheros AR9331)
Arduino Uno WiFi
(ATmega328P + ESP8266)
Arduino Primo
(ESP8266 / Nordic nRF52832 / STM32F103RBT6)
웨어러블
파일:Arduino_Gemma.jpg 파일:LilyPad_Arduino_USB.jpg 파일:LilyPad_Arduino_Main_Board.jpg 파일:LilyPad_Arduino_Simple.jpg
Arduino Gemma
(ATtiny85)
LilyPad Arduino USB
(ATmega32u4)
LilyPad Arduino Main Board
(ATmega168V / ATmega328V)
LilyPad Arduino Simple
(ATmega328)
파일:LilyPad_Arduino_SimpleSnap.jpg
LilyPad Arduino SimpleSnap
(ATmega328)
인증 보드
파일:Samsung_ARTIK_5.jpg 파일:Samsung_ARTIK_10.jpg 파일:Intel_Galileo.jpg 파일:Intel_Galileo_Gen2.jpg
삼성 ARTIC 5
(dual Cortex®-A7)
삼성 ARTIC 10
(Quad Cortex®-A15 + quad Cortex-A7)
Intel Galileo
(인텔 쿼크 SoC X1000)
인텔 갈릴레오 Gen2
(인텔 쿼크 SoC X1000)
파일:Intel_Edison.jpg
인텔 에디슨
(인텔 쿼크 SoC)
기타 보드
파일:Arduino_Robot.jpg 파일:Arduino_Esplora.jpg
Arduino Robot
(ATmega32u4)
Arduino Esplora
(ATmega32u4)

2. 관련 문서


[1] (Alldatasheet.com) ATMEGA328 데이터시트 (PDF) - ATMEL Corporation https://pdf1.alldatasheet.co.kr/datasheet-pdf/view/444347/ATMEL/ATMEGA328.html[2] \[프로그래밍/아두이노 호작질\]SD카드에 데이터 저장하기 1편 https://bota.tistory.com/1401[3] The Arduino Uno R4 Minima has 8 kB of EEPROM.[4] CAN 통신용 IC는 내장하지 않아 CAN통신을 하고 싶다면 별도의 트랜시버 IC를 장착해야된다.[5] 내장된 벅 컨버터는 르네사스사의 ISL854102FRZ이며 한계전압은 40V 정도지만 아두이노 재단 측에서는 24V 정도가 한계라고 공시해놨다.[6] 프로세서 통제용[7] 컨트롤러 제어용 OS[8] 컨트롤러 전용[9] 컨트롤러 전용[10] \[microchip\] AN2783 FreeRTOS using percepio trace on ATmega4809 http://ww1.microchip.com/downloads/en/Appnotes/AN2783-FreeRTOS-Using-Percepio-Trace-on-ATmega4809-00002783A.pdf[11] \[microchip\] ATmega4808/4809 Data Sheethttps://ww1.microchip.com/downloads/aemDocuments/documents/MCU08/ProductDocuments/DataSheets/ATmega4808-09-DataSheet-DS40002173C.pdf[12] 마우저 ATMEGA2560-16CUR https://www.mouser.kr/ProductDetail/Microchip-Technology/ATMEGA2560-16CUR?qs=6Dg1WZIWLC65VmeUnv5Cug%3D%3D[13] 아두이노 공식사이트 메가2560https://store.arduino.cc/products/arduino-mega-2560-rev3?queryID=undefined[14] 마이크로칩 - 데이타시트 ATmega640/V-1280/V-1281/V-2560/V-2561/V http://ww1.microchip.com/downloads/en/DeviceDoc/ATmega640-1280-1281-2560-2561-Datasheet-DS40002211A.pdf[15] 고장만 나면 다행이지만 심한 경우 연기가 나면서 타버릴 수 있다.[16] 단 안테나가 모듈에 내장된 우노R4와는 다르게 외장식이다.[17] 다만 단종된 보드도 오픈소스 하드웨어 특성상 호환제품은 계속 생산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