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lbgcolor=#fff><colcolor=#000> 액시즈 | ||||
AXIZ | ||||
창단 | 2018년 12월 | |||
소속 리그 | LJL | |||
팀명 | AXIZ(2018.12~2023.12) AXIZ CREST(2023.12~2025.01) AXIZ(2025.01~ ) | |||
모기업 | 닛폰 테레비 | |||
CEO | 코바야시 다이스케 | |||
단장 | ||||
코치 | ||||
분석 | ||||
약칭 | AXZ | |||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00> TOP | |||
JGL | ||||
MID | ||||
BOT | ||||
SPT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AXIZ |
1. 개요2. 역사 및 역대 시즌3. 前 로스터
3.1. Ino(아이노, 合野史哉, Fumiya Aino, 아이노 후미야)3.2. Honey(허니, 박보헌)3.3. Megumiin(메구미잉, 久保颯, Kubo Hayate, 쿠보 하야테)3.4. Hoglet(호글렛, 김광협)3.5. Valkyrie(발키리, 고준영)3.6. Dicey(다이시, 芦田大輔, Ashra Daisuke, 아시다 다이스케)3.7. Nemoh(네모, 是澤啓介, Coressa Casecake, 코레사와 케이스케)3.8. YellowYoshi(옐로우요시, 藤本良樹, Yoshiki Fujimoto, 후지모토 요시키)3.9. Swamp(스윔, 황현식)3.10. Sangchu(상추, 박상준)3.11. Cheoni(처니, 조승모)3.12. Ozuka (오주카, 山口和也 ,Yamaguchi Kazuya,야마구치 카즈야)3.13. Kentakki(켄타키, 斉藤健太, Saito Kenta, 사이토 켄타)3.14. Ricky(리키, 鮫島力, Sameshima Ricky, 사메시마 리키)3.15. Washidai(와시다이, 鈴木大斗, Daito Suzuki, 스즈키 다이토)3.16. Cassin(카신, 김대희)3.17. Van (브앤, 김승후)3.18. Eugeo(유지오, 勝木丈裕, Takehiro Katsuki, 카츠키 타케히로)3.19. Ssol(쏠, 서진솔)
4. AXIZ CREST Academy1. 개요
AXIZ |
|
닛폰 테레비에서 100% 출자한 AXIZ 산하로, LJL 2019 Spring Split 부터 참가하며 두각을 드러낸 팀이다. 탑 라이너 Uinyan이 도쿄대학 재학 중 대학 생활과 프로 생활을 겸업하게 되어서 화제가 되었다.
이후 2023년 12월 6일, Crest Gaming Act와 합병하여 팀명을 AXIZ CREST로 변경했고# 양 팀이 합병하면서 LJL 팀의 운영은 AXIZ가, 아카데미 팀의 운영은 Crest Gaming이 담당하기로 했다.
그리고 2025년 1월 15일, Crest Gaming과 LoL팀 공동 운영을 종료하며, 다시 원래의 팀으로 돌아왔다.#
현재는 유일하게 LJL의 2025 시즌을 활동하고 있지 않고 원래의 팀으로 돌아온 공지를 뜬 이후 사실상 # 운영이 멈춘 상황으로 추측되고 있다.
2. 역사 및 역대 시즌
| | |
AXIZ | AXIZ CREST | AXIZ |
액시즈 | 액시즈 크레스트 | 액시즈 |
2019 ~ 2023 | 2024 | 2025 ~ |
3. 前 로스터
3.1. Ino(아이노, 合野史哉, Fumiya Aino, 아이노 후미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노 후미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노 후미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Honey(허니, 박보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보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보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Megumiin(메구미잉, 久保颯, Kubo Hayate, 쿠보 하야테)
AXIZ의 일본의 2001년생 前 미드 라이너.이노랑 비슷하게 약한 라인전을 다른 세부 능력으로 커버치는 느낌이 강한 미드 라이너이다. 갓 신인이다 보니 다져지지 않은 경기력과 부족한 경험. 가장 큰 문제는 수비적으로 하는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에게 쉽게 간파당하면서 패배의 원흉이 되곤 한다. 스프링 스플릿에서는 좋게 봐도 장점을 찾아볼 수가 없었고 크랙 자체도 없고 탑승형 미드 라이너의 이미지가 매우 강하다.
그런 무난 무난한 노망주 미드 라이너로 굳혀지는듯하였으나 서머 시즌에 들어서는 아지르라는 친구를 만나며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프링 시즌 황천질주로 꼴아박던 그 메구밍이 맞나 싶을 정도. 그러나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며 내년을 기약하게 되었다.
소환사명은 예전에 좋아했던 캐릭터에서 따왔다고 한다.
2023년 11월, 학업상의 이유로 은퇴를 발표했다.
3.4. Hoglet(호글렛, 김광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협(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협(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5. Valkyrie(발키리, 고준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협(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광협(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6. Dicey(다이시, 芦田大輔, Ashra Daisuke, 아시다 다이스케)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서포터.3.7. Nemoh(네모, 是澤啓介, Coressa Casecake, 코레사와 케이스케)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서포터.3.8. YellowYoshi(옐로우요시, 藤本良樹, Yoshiki Fujimoto, 후지모토 요시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지모토 요시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지모토 요시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9. Swamp(스윔, 황현식)
대한민국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정글러.3.10. Sangchu(상추, 박상준)
대한민국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바텀라이너.3.11. Cheoni(처니, 조승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승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승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 Ozuka (오주카, 山口和也 ,Yamaguchi Kazuya,야마구치 카즈야)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서포터3.13. Kentakki(켄타키, 斉藤健太, Saito Kenta, 사이토 켄타)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서포터 1군과 2군을 병행을 활동했던 경험이 있다.3.14. Ricky(리키, 鮫島力, Sameshima Ricky, 사메시마 리키)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탑라이너 2023 LJL 서머 시즌에서 합류하였다.3.15. Washidai(와시다이, 鈴木大斗, Daito Suzuki, 스즈키 다이토)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탑라이너 2021 시즌에 V3 Esports Academy로 탑라이너로 데뷔하며 두각을 드러냈고 2022 시즌에 1군으로 공식으로 콜업했던 탑 라이너였다. 이후 LJL 2022 Spring Split부터 데뷔를 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21전 전패라는 불명예를 마셨고, 이후 서머에서도 매치 15연패나 당하며, 매치 36연패 당하는 불명예 쓰러운 기록을 맞이했지만 이후 AXIZ 상대로 감격의 첫승을 거두며 눈물을 흘리며, 많은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이후 3승을 챙기면서 그래도 내년의 경험과 미래를 바라보지 않을까라는 전망이 많았지만 이후 2023 시즌에는 또다시 스프링과 서머에서 전패를 찍히면서 여전히 갈길이 멀다라는 느낌을 많이 받은 호구의 탑라이너가 되었다.시즌 종료하고 팀을 나오고 나서 2024 시즌에 AXIZ로 이적하면서 활동을 하게 되었지만 스프링과 서머에서 모두 플레이오프 직행을 실패하게 되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고, 2025 시즌을 앞두고 LJL의 큐티 디그로 이적하며 현재 2025 시즌을 활약하고 있다.
3.16. Cassin(카신, 김대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대희(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대희(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7. Van (브앤, 김승후)
대한민국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정글러 2023 시즌에 BCT에서 LJL에서 활동으로 데뷔하며 두각을 드러냈었다. 전 아이디는 EL 지금은 아이디를 Van으로 바꿨다. 하지만 스프링과 서머에서는 꼴찌로 마무리하며 1승을 거두지 못한 아쉬운 성적을 마무리하며 시즌 끝나고 이후 2025 시즌 현재는 큐티 디그로 이적하며 활동하는 중이다.3.18. Eugeo(유지오, 勝木丈裕, Takehiro Katsuki, 카츠키 타케히로)
일본의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AXIZ의 前 미드라이너 와시다이와 마찬가지로 V3 Esports Academy로 미드라이너 데뷔하며 두각을 드러냈으며, 역시 2022 시즌과 마찬가지로 스프링에서 전패를 찍혀버린 저점을 선보였고, 이후 2023 시즌을 앞두고 V3 Esports를 떠나고 GCA로 이적하게 되었다. 스프링에서는 3승 11패로 PO에 못갔지만 이후 서머에서는 4위로 PO 상위라운드에 직행했지만 결국 2번의 3대0으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며 시즌을 마무리하였고, 이후 AXIZ로 이적하며, 크레스트와 합작과 함께 2024 시즌에서 동행을 이어갔지만 원하는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그대로 2024 시즌 마무리하고 팀을 떠났다.3.19. Ssol(쏠, 서진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진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진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AXIZ CREST Academy
| ||||
<colbgcolor=#fff><colcolor=#000> 액시즈 크레스트 아카데미 | ||||
AXIZ CREST Acadmey | ||||
창단 | 2021년 8월 22일 | |||
해체 | 2025년 1월 15일 | |||
약칭 | AXCA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2021년 8월 22일, 새로 출범한 LJL Academy League를 위해 AXIZ 산하에 창설된 팀이다.
2004년생 정글러 안코쨩은 리신을 잡았다하면 플로리스가 빙의된건지 미친 Q적중률과 캐리력을 보여준다. 다만 뇌가 녹아내린듯한 뇌절이 문제.
2024년, Crest Gaming Act가 AXIZ의 아카데미 팀을 운영하게 되었다.
2025년 1월 15일, Crest Gaming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운영을 종료하면서 해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