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22:47:57

ASUS ROG 시리즈/헤드셋&오디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SUS ROG 시리즈
1. 개요2. ROG 제품 목록
2.1. 헤드폰
2.1.1. CENTURION2.1.2. THETA 7.1
2.1.2.1. THETA ELECTRET
2.1.3. DELTA / DELTA ORIGIN / DELTA S
2.1.3.1. DELTA CORE2.1.3.2. DELTA ANIMATE
2.2. 이어폰
2.2.1. CETRA / CETRA RGB / CETRA II
2.2.1.1. CETRA CORE / CETRA II CORE2.2.1.2. CETRA TRUE WIRELESS
2.3. 액세서리
2.3.1. THRONE / THRONE Qi / THRONE CORE2.3.2. Metal Stand
3. ROG STRIX 제품 목록
3.1. STRIX PRO / STRIX Wireless3.2. STRIX FUSION
3.2.1. FUSION 3003.2.2. FUSION 5003.2.3. FUSION 7003.2.4. FUSION Wireless
3.3. STRIX GO

1. 개요


파일:ASUS ROG 로고.svg파일:1px 투명.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립형 제품군 ▾
파일:asusAC_device_laptop.svg
노트북
파일:asusAC_device_phone.svg
스마트폰
파일:asusAC_device_desktop.svg
데스크톱
파일:asusAC_device_handheld.svg
게이밍 핸드헬드
파일:asusAC_device_xrmobile.svg
외장 그래픽 독
하드웨어 제품군 ▾
파일:asusAC_device_motherboard.svg
메인보드
파일:asusAC_device_gpu.svg
그래픽카드
파일:asusAC_device_display.svg
모니터
파일:asusAC_device_aio1.svg
쿨링
파일:asusAC_device_psu.svg
파워 서플라이
파일:asusAC_device_keyboard.svg
키보드
파일:asusAC_device_mice.svg 파일:asusAC_device_pads.svg
마우스 & 패드
파일:asusAC_device_headphones.svg 파일:asusAC_device_audioAcc.svg
헤드셋 & 오디오
파일:asusAC_device_network.svg
네트워크
파일:asusAC_device_chassis.svg
케이스
파일:asusAC_device_streamer.svg
스트리밍 키트
파일:asusAC_device_controler.svg
컨트롤러
파일:asusAC_device_storage.svg
스토리지
그 외 제품군 ▾
어패럴
액세서리
소프트웨어 & 서비스
///// FOR THOSE WHO DARE ///// }}}}}}}}}

2. ROG 제품 목록

2.1. 헤드폰

2.1.1. CENTURION

파일:ROG센츄리온.jpg
좌우 각각 5개씩, 10개의 유닛이 사용된 리얼 7.1채널 헤드셋이다. 제품에 동봉되어 나오는 오디오 스테이션이 외장형 사운드카드겸 앰프의 기능을 한다. 오디오 스테이션을 통해서 볼륨조절 및 사전에 설정된 오디오 프로파일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이 장점. 다만, 7.1채널 헤드셋답게 450g으로 상당히 크고 무거운 편이고, 출시된지 상당히 오래된 제품이라 AURA SYNC를 지원하지 않고 단순히 적색으로 단색 조명만 들어온다.

2.1.2. THETA 7.1

파일:ROG Theta.png
7.1채널 헤드셋이다. CENTURION 과 달리 드라이버 유닛의 숫자가 좌우 각각 4개씩 총 8개로 감소했는데, 사실 유닛이 8개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5.1채널 헤드셋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지만, ASUS측에서는 7.1채널이라고 말하고 있다. 유닛숫자가 감소한 대신 개별 유닛의 크기는 약간씩 커져서 한쪽당 30mm유닛이 3개, 40mm유닛이 1개로 구성되어 있다. ESS 9601 쿼드 DAC가 내장되어 있고, 마이크 쪽에도 Ai 노이즈 캔슬링이 적용되어 있다. 마이크는 DELTA처럼 3.5mm 잭이 달린 탈착식인데 서로 호환은 안 된다.

무게가 상당한데 600g이 넘는다. 대신 그 반대급부로 이어캡이 델타에 비해 상당히 커져서 머리나 귀가 큰 사용자들도 불편하지 않은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여담으로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 있어도 메인보드의 대기전력이 공급되어 RGB LED가 계속 점등된다.

이어쿠션은 두 가지가 기본 구성품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기본 장착된 것은 단백질 인조가죽 버전이며 하이브리드 메쉬 버전이 추가로 제공된다.
2.1.2.1. THETA ELECTRET
파일:ROG Theta Electret.png
제품외형은 THETA 7.1과 공유하나, DAC는 포함되어있지 않고 고중음역에 특화된 ELECTRET 드라이버를 탑재한 스트레오 아날로그 헤드셋이다. 제품 내부구조를 보면 기본 THETA 7.1모델에서 드라이버 유닛 3개가 차지하는 공간을 정전식 진동판인 ELECTRET 유닛이 넓게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순수 정전식 모델은 아니고 저음역부를 담당하는 우퍼 역할의 40mm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도 같이 들어가있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헤드셋이다.

2.1.3. DELTA / DELTA ORIGIN / DELTA S

파일:ROG델타.jpg

가상 7.1채널을 지원하는 스트레오 헤드셋. ESS 9218 쿼드 DAC가 내장되어 있다. 마이크는 착탈식이다. DELTA 기본모델과 DELTA ORIGIN의 차이는 기본모델은 AURA SYNC aRGB를 지원하는데, ORIGIN은 적색의 단색조명으로 변경되었다는 점 외에는 없다.
2021년에는 후속모델로 DELTA S가 출시되었는데,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고 DAC가 ESS 9218에서 9281로 향상되었고, 마이크가 THETA처럼 Ai노이즈캔슬링 마이크로 바뀌었다. 마이크가 아닌 헤드셋 본체 자체는 액티브 노이즈캔슬링을 지원하지 않는다.
2.1.3.1. DELTA CORE
파일:ROG Delta Core.png
DELTA와 디자인과 유닛은 동일하지만, DAC가 빠진 단순 3.5파이 아날로그 헤드셋이다.
2.1.3.2. DELTA ANIMATE

2.2. 이어폰

2.2.1. CETRA / CETRA RGB / CETRA II

파일:ROG Cetra.png
액티브 노이즈캔슬을 지원하는 USB C타입의 이어폰이다. 휴대폰등에 연결도 가능하고, PC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아머리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제어도 가능하다. 기본모델은 ROG마크가 적색의 단색으로 조명이 들어오고, RGB모델은 AURA SYNC지원으로 색상이 들어오는 차이만 있다. 후속모델인 CETRA II는 드라이버 유닛이 변경되고, 리모컨의 디자인이 바뀐 정도의 차이만 있다.
2.2.1.1. CETRA CORE / CETRA II CORE
위의 CETRA와 달리 3.5파이로 연결하는 아날로그 이어폰이다. 노이즈 캔슬이나 조명기능도 빠졌다. 후속모델인 CETRA II CORE도 동일하며 드라이버 유닛이 변경된 차이만 있다.
2.2.1.2. CETRA TRUE WIRELESS
ASUS ROG 시리즈 최초의 무선 이어폰.

2.3. 액세서리

2.3.1. THRONE / THRONE Qi / THRONE CORE

파일:ROG THRONE.png
THRONE은 헤드셋 스탠드이다. 단순히 조명들어오는 헤드셋 걸이는 아니고, ESS 9118 DAC와 앰프가 내장되어 있어서 일종의 외장형 사운드카드로 기능한다. 유통사의 의견으로는 사운드카드로의 기능은 사운드 블라스터 G5와 동급이라고 한다. 다만, 이 사운드카드 기능은 전면의 3.5파이에 연결했을 때만 활용할 수 있고 USB포트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스탠드의 DAC기능은 작동하지 않는다. 사실 ROG 라인업의 헤드셋은 대부분 헤드셋 자체에 DAC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THRONE을 사운드카드로 활용하려고 하면, DAC가 없는 아날로그 연결의 CORE모델 헤드셋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PC스피커에 연결하는 등으로 사용해야 한다. 아니면 10만원짜리 조명들어오는 헤드셋 걸이로 쓰거나

THRONE Qi는 Qi 무선 충전 기능이 있는 버전인데, 외형은 THRONE과 동일하지만 가격은 안드로메다로 간다.

THRONE CORE는 아무런 부가기능이나 조명이 없는 단순한 ROG마크 달린 헤드셋 스탠드이다.

2.3.2. Metal Stand

기능이라도 있는 THRONE과 달리 THRONE CORE처럼 아무런 기능도 없는 금속제 헤드셋 스탠드이다.

3. ROG STRIX 제품 목록

3.1. STRIX PRO / STRIX Wireless

파일:ROG STRIX PRO.png
가상 7.1채널을 지원하는 아날로그 헤드셋, 다른 제품들에 비해서 약간 큰 60mm짜리 유닛이 탑재되어있다. PRO모델은 3.5파이 유선연결이며, Wireless 모델은 USB 동글을 통해 연결한다.

3.2. STRIX FUSION

Wireless 모델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들은 가상 7.1채널을 지원하는 헤드셋이다. 마이크는 탈부착은 안되는 대신에 접이식으로 이어컵에 수납할 수 있다.

3.2.1. FUSION 300

파일:퓨전 300.jpg
DAC가 미포함된 아날로그 헤드셋이다. USB 또는 3.5파이로 연결한다. 가상 7.1채널은 지원한다. AURA Sync는 지원하지 않는 단색조명이다.

3.2.2. FUSION 500

파일:fusion-500.jpg
USB연결 만을 지원하는 유선모델. DAC 내장 모델이다.

3.2.3. FUSION 700

파일:퓨전 700.jpg
USB유선 및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는 모델. 블루투스 4.2를 지원하기 때문에 휴대폰 등의 기기에도 연결이 가능하다. DAC 내장모델이다.

3.2.4. FUSION Wireless

파일:퓨전 와이어리스.jpg
USB동글을 통한 무선연결만 지원하는 헤드셋. 위의 나머지 FUSION 시리즈와 달리 가상 7.1채널을 지원하지 않는 순수 스트레오 헤드셋이다. DAC도 미포함되어있으며, AURA Sync도 지원하지 않는다.

3.3. STRIX GO

파일:ROG STRIX GO.png
휴대성을 중시한 경량형 모델이다. 액티브 노이즈캔슬링 외에는 부가적인 RGB나 DAC, 가상 7.1채널 같은 기능들은 다 빠져있다. 경량화를 위해서인지 다른 모델들보다 약간 작은 40mm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기본 GO모델은 USB C타입, GO CORE는 3.5파이 AUX, GO 2.4는 USB RF 동글, GO BT는 블루투스 혹은 USB의 유무선 겸용으로 연결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