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5 LoL Championship Pacific Season Kickoff 정규시즌 경기를 기록한 문서.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2 | | CFO | 3 | 0 | 6-2 | +4 | 3승 | |
1 | | TLN | 3 | 0 | 6-0 | +6 | 3승 | |
3 | | MVKE | 2 | 1 | 5-2 | +3 | 2승 | |
4 | | TSW | 2 | 1 | 4-2 | +2 | 1승 | |
6 | | DFM | 1 | 2 | 2-5 | -3 | 1패 | |
5 | | GAM | 1 | 2 | 3-5 | -2 | 2패 | |
7 | | CHF | 0 | 3 | 1-6 | -3 | 2패 | |
7 | | SHG | 0 | 3 | 1-6 | -5 | 3패 | |
파란색: 퀄리파잉 시리즈 R2 진출 | 초록색: 퀄리파잉 시리즈 R1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2. 대회정보
정규시즌 | 패치 버전 | 25.S1.1 |
글로벌 밴 | - |
4개 리그에서 뽑힌 8개팀이 한 리그에 모여 경쟁하며, 싱글 라운드 로빈 Bo3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후, 상위 6개팀은 퀄리파잉 시리즈에 진출하고, 하위 2개팀은 탈락한다. 이때 최상위 2개팀은 퀄리파잉 시리즈 2라운드에 직행한다.
물론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진행된다.
25.S1.1[5] 버전의 협곡은 아이템과 챔피언의 큰 변화는 없었으나, 새롭게 추가된 시스템인 무력 행사와 새로운 에픽 몬스터 아타칸의 등장으로 인해 과거 시즌의 시작을 알린 대격변 패치 못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다.
3. 1주차
1/17일, 1/18일, 1/19일에 2경기씩 총 6경기가 예정되어 있다.3.1. 1경기 MVKE 1:2 CFO
MVKE | 1 | 2 | CFO | ||||
○ | × | × | × | ○ | ○ | ||
1패 | 결과 | 1승 |
두 팀 모두 VCS의 최강자인 GAM과 PCS의 최강자인 TLN에 밀려 콩라인의 모습을 보여줬던 만큼 예측이 쉽지 않은 매치업이다.
3.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17
, bteam=CFO, bresult=LOSS, rteam=MVKE, rresult=WIN, time=41:35
, bkill=10, bdeath=17, bassist=19, rkill=16, rdeath=10, rassist=40
, bgold=71.4, rgold=79.1)]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Cloud,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Cloud
, reddragon3=Cloud, reddragon4=)]
MVKE가 레드진영에서 승리했다.
3.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17
, bteam=CFO, bresult=WIN, rteam=MVKE, rresult=LOSS, time=30:35
, bkill=17, bdeath=5, bassist=38, rkill=5, rdeath=17, rassist=9
, bgold=63.0, rgold=48.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Ocean
, bluedragon3=Ocean,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3.1.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정규시즌 1경기 3세트, year=2025, month=01, day=17
, bteam=MVKE, bresult=LOSS, rteam=CFO, rresult=WIN, time=37:11
, bkill=15, bdeath=18, bassist=26, rkill=18, rdeath=15, rassist=51
, bgold=62.4, rgold=69.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Infernal, bluedragon4=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Infernal, reddragon4=)]
LCP가 출범을 한 순간부터 PCS가 더 리그 수준이 높은지, VCS가 더 리그 수준이 높은지에 대한 이야기는 꾸준하게 논쟁이 되었었다.
그러나 PCS에서 2팀이 LCP에 참가하는 반면, VCS에서는 3팀이 LCP에 합류하면서 서러움이 커졌던 PCS의 팬들에게 PCS의 CFO가 VCS의 MVKE를 잡아내면서 그 서러움을 조금이나마 달래는데 성공했다.
3.2. 2경기 SHG 1:2 GAM
SHG | 1 | 2 | GAM | ||||
× | ○ | × | ○ | × | ○ | ||
1패 | 결과 | 1승 |
전 시즌 VCS 1위로 월즈에 진출해 괜찮은 성적을 남기며 LCP의 희망으로 불리는 베트남의 GAM의 대결.
SHG는 로스터도 일부 바뀐데다, GAM은 LEC의 MDK도 잡을 정도로 폼이 좋았었기에 GAM의 우세가 예상된다.
3.3. 3경기 TSW 2:0 DFM
TSW | 2 | 0 | DFM | ||||
○ | ○ | - | × | × | - | ||
1승 | 결과 | 1패 |
LJL의 유일한 월즈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이라는 과거의 영광을 등에 업고 LCP에 합류한 일본의 DFM의 대결.
최근 시즌을 통틀어 DFM이 힘도 못쓰고 무력하게 지던 경기가 많은걸 감안하면 TSW의 승리가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