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01:46:34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A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297d9, #0d6cb7, #18378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297d9> 대회 이전 예선 · 참가팀 정보
조별 리그 A조 B조 C조 D조
결선 토너먼트 8강 준결승 결승
}}}}}}}}}}}} ||

1. 개요2. 1경기: 우즈베키스탄 4 : 1 태국3. 2경기: 사우디아라비아 2 : 1 중국4. 3경기: 중국 1 : 2 우즈베키스탄5. 4경기: 태국 1 : 3 사우디아라비아6. 5-1경기: 태국 0 : 2 중국7. 5-2경기: 사우디아라비아 0 : 3 우즈베키스탄

1. 개요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3 2 0 1 5 5 0 6
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 1 0 2 4 4 0 3
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3 0 0 3 2 9 -7 0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조별리그 A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2강[1] 2약[2]이 드러나는 조이다. 중국같은 경우는 역대급 황금세대라 기대하였던 직전 U-20 대표팀이 정말 웃플정도로 U-20 월드컵 티켓을 또 놓치며 이번 U-17 연령에선 이를 갈고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U-17 아시안컵에서도 바로 직전 대회에서 안좋은 모습으로 조별리그 광탈을 하였기에 과연 월드컵 진출권이 8장으로 늘어난 이번 U-17 아시안컵에서 중국이 좋은 모습을 보여줄지는 미지수였지만 예상보다 경기력이 처참하여 2경기만에 8강 진출 실패 + U17 월드컵 예선 탈락을 확정지으면서 플레이오프 가능성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 중국 성인팀[3]을 제외한 모든 연령별 대표팀의 월드컵 진출(U23 대표팀은 올림픽 축구)이 무산되었다.

2. 1경기: 우즈베키스탄 4 : 1 태국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1경기
2025.04.03.(목) 18:00 (UTC+3)[A]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Mahmoud Al-Sawalmeh (요르단)
관중: -명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 : 1
파일: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 사드리딘 카사노프
13' 사르센바에프
80' 아실벡 알리예프
85' 슈쿠룰라예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40' 멕세스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3. 2경기: 사우디아라비아 2 : 1 중국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2경기
2025.04.03.(목) 20:15 (UTC+3)[B]
킹 파드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모하메드 알 사마리 (카타르)
관중: -명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흰색).svg
2 : 1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1' 압둘하디 압두 마타리
47' 오사마 알 다그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98' 웨이샹신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4. 3경기: 중국 1 : 2 우즈베키스탄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3경기
2025.04.06.(일) 18:00 (UTC+3)[C]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Venkatesh (인도)
관중: -명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2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33' 장 청루이 파일:득점 아이콘.svg 45+1' 사드리딘 카사노프
86' 아실벡 알리예프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중국이 먼저 골을 넣었으나 역전패당했다. 황금 세대라 평가받던 U17 대표팀마저 8강만 진출해도 월드컵 진출이 가능하도록 개편되었음에도 거짓말같이 2패로 조기 탈락을 확정지으며 중국은 20년째 전 연령대 대표팀의 월드컵 진출 무승을 이어가게 되고 말았다.

우에무라 겐이치(일본) 중국 U-17 축구대표팀 감독은 이 패배로 8강 진출에 실패함과 동시에 U17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했기에 경질될 가능성이 높다. 세르비아 출신인 데얀 두르제비치 감독이 후임이 되리라 전망 중인데 그는 중국 U-23, U-20 대표팀 감독을 맡은 바 있다.

5. 4경기: 태국 1 : 3 사우디아라비아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4경기
2025.04.06.(일) 20:15 (UTC+3)[D]
킹 파드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Nagamine 코키 (일본)
관중: -명
파일: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7' 폰산 파일:득점 아이콘.svg 29' 사브리 압두
75' 압둘라흐만 모하메드 수피야니
78' 무크타르 알리 바르나위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사우디아라비아는 이 경기에서 이기면서 8강 진출 및 36년만에 FIFA U-17 월드컵에 진출하였다.

6. 5-1경기: 태국 0 : 2 중국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5-1경기
2025.04.09.(수) 20:15 (UTC+3)[E]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김유정 (대한민국)
관중: -명
파일: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0 : 2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파일:득점 아이콘.svg 56' 부냐민 압두살람
59' 장 즈친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국내 중계
파일:SBS Sports 로고.svg
캐스터

유희종
해설자

이주현

이미 탈락이 확정된 두 팀 간의 경기로, 양 팀 모두 유종의 미라도 거두려 할 것으로 보인다.

후반전 초반에 중국이 태국에게 2득점을 넣은 것을 끝으로 추가 득점 없이 경기가 종료되었다. 태국보다 운이 조금 더 좋았던 중국이 2 : 0으로 승리하여 간신히 유종의 미를 남기고 대회 일정을 마감했지만 태국은 이번 경기에서 단 1득점도 넣지 못 하고 3전 전패로 광탈했다.

7. 5-2경기: 사우디아라비아 0 : 3 우즈베키스탄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A조 5-2경기
2025.04.09.(수) 20:15 (UTC+3)[E]
킹 파드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주심: 다니엘 엘더 (호주)
관중: -명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흰색).svg
0 : 3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조 1위 결정전이며, 8강 진출이 확정되어 본선행 진출이 확정된 두 팀의 경기이다. 8강전을 대비해 두 팀 모두 로테이션을 가동할 가능성이 크며, 만약 1위에 대한 욕심이 있다면 어느정도 열심히 할 것으로 예상한다.


[1]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2] 태국, 중국[3] 8경기 2승 6패(6점), 남은 2경기를 모두 승리 시 4승 6패(12점)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이 가능해진다.[A] 한국시각 4월 4일 00:00[B] 한국시각 4월 4일 02:15[C] 한국시간 4월 7일 00:00[D] 한국시간 4월 7일 02:15[E] 한국시간 4월 10일 02:15[E] 한국시각 4월 10일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