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idth: 600px; max-width: 700px; display: inline;" | <table bordercolor=#333e48><tablewidth=450><table align=center>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1 정규시즌 경기 일람 | ||||
1주 (1/24~26) | 2주 (1/31~2/2) | 3주 (2/7~9) | 4주 (2/14~16) | ||
결산 | |||||
플레이인 경기 일람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1. 개요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 스테이지 1 2주차,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의 경기를 기록한 문서.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1 정규시즌 2주차 순위표 | ||||||||||
<rowcolor=#ffffff>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1 | | CR | 4 | 0 | 12-2 | +10 | 4승 | |||
2 | | FLC | 4 | 0 | 12-3 | +9 | 4승 | |||
3 | | T1 | 3 | 1 | 11-4 | +7 | 2승 | |||
4 | | WAY | 3 | 1 | 9-5 | +4 | 1승 | |||
5 | | FTG | 2 | 2 | 9-7 | +2 | 1승 | |||
6 | | ZETA | 2 | 2 | 8-10 | -2 | 1패 | |||
7 | | NE | 0 | 4 | 3-12 | -9 | 4패 | |||
8 | | PF | 0 | 4 | 2-12 | -10 | 4패 | |||
9 | | VEC | 0 | 4 | 1-12 | -11 | 4패 | |||
초록색: 시드 결정전 진출 | 노란색: LCQ 진출 | 빨간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2. 대회 정보
- 2.14 미드시즌 패치 버전으로 진행된다.
3. 1월 31일
3.1. T1 3 : 1 PF
정규시즌 10경기 (2025. 01. 31.) | |||||
| | | | <colcolor=#fff> | |
오아시스 | 파라이수 | 이스페란사 | 수라바사 | ||
| 2 | 3 | 0 | 3 | 3 |
| 0 | 1 | 1 | 1 | 1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4세트=
, 문서명_선밴1=레킹볼(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레킹볼, 팀로고L_선밴1=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1=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1=벤처(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벤처, 팀로고_후밴1=T1 로고.svg
, 문서명_선밴2=애쉬(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애쉬, 팀로고L_선밴2=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2=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2=바티스트(오버워치), 초상화_후밴2=바티스트, 팀로고_후밴2=T1 로고.svg
, 문서명_선밴3=소전(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소전, 팀로고L_선밴3=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3=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3=메르시, 초상화_후밴3=메르시, 팀로고_후밴3=T1 로고.svg
, 문서명_선밴4=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선밴4=트레이서, 팀로고_선밴4=T1 로고.svg
, 문서명_후밴4=해저드, 초상화_후밴4=해저드, 팀로고L_후밴4=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후밴4=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Player of the Match | |
- T1은 경기 내내 불안한 모습을 보여줬다. 약팀으로 평가받는 포페를 상대로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포페는 잘 이기다가도 뒷심이 부족해 패하는 경우가 잦았다. 이는 포페 선수들이 대부분 신인이라 경험이 부족해서 그런듯하다.
- 경기는 포페의 패배로 끝났지만, 포페 딜러 SP1NT의 실력이 여과 없이 드러난 경기였다. 중요한 순간마다 교환을 내주며 팀을 이끌었다.
3.2. FTG 2 : 3 ZETA
정규시즌 11경기 (2025. 01. 31.) | ||||||
| | | | | <colcolor=#fff> | |
남극 반도 | 왕의 길 | 뉴 정크 시티 | 이스페란사 | 감시 기지: 지브롤터 | ||
| 2 | 1 | 2 | 1 | 2 | 2 |
| 0 | 3 | 3 | 0 | 3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5세트=
, 문서명_선밴1=주노(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주노, 팀로고_선밴1=FTG_allmode.png
, 문서명_후밴1=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트레이서, 팀로고L_후밴1=ZETA DIVISION.svg, 팀로고D_후밴1=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선밴2=윈스턴(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윈스턴, 팀로고L_선밴2=ZETA DIVISION.svg, 팀로고D_선밴2=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후밴2=메이(오버워치), 초상화_후밴2=메이, 팀로고_후밴2=FTG_allmode.png
, 문서명_선밴3=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에코, 팀로고_선밴3=FTG_allmode.png
, 문서명_후밴3=라마트라, 초상화_후밴3=라마트라, 팀로고L_후밴3=ZETA DIVISION.svg, 팀로고D_후밴3=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선밴4=D.Va, 초상화_선밴4=디바, 팀로고_선밴4=FTG_allmode.png
, 문서명_후밴4=아나(오버워치), 초상화_후밴4=아나, 팀로고L_후밴4=ZETA DIVISION.svg, 팀로고D_후밴4=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선밴5=브리기테, 초상화_선밴5=브리기테, 팀로고L_선밴5=ZETA DIVISION.svg, 팀로고D_선밴5=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후밴5=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후밴5=트레이서, 팀로고_후밴5=FTG_all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 제타 디비전의 힐러 Viol2t이 몸 상태로 인해 결장하였고 딜러인 AlphaYi가 힐러로 출전했다.
- 힐러 알파이가 예상 외로 선전했다. 루시우, 아나 등을 기용하며 1인분씩해서 팀의 마이너스가 되지는 않아 주었다. 다만 바이올렛의 부재는 꽤 컸다. 힐러 연습이 전무했던 알파이의 힐러는 팀합을 맞추기 어려웠고, 대부분의 승이 나머지 네 선수의 차력쇼로 따낸 승이었다. 제타 입장에서는 3:0 승리가 될만했던 경기가 풀세트 승이 되어 아쉬울 따름이다.
- FTG 입장에서는 바이올렛의 부재를 기회삼아 승리를 노려볼만했던 경기였다. 다만 후반으로 갈수록 지속되는 희성의 뇌절과 팀합 및 조합 상성 차이로 패했다.
3.3. VEC 1 : 3 FLC
정규시즌 12경기 (2025. 01. 31.) | |||||
| | | | <colcolor=#fff> | |
리장 타워 | 콜로세오 | 수라바사 | 눔바니 | ||
| 0 | 0 | 3 | 2 | 1 |
| 2 | 1 | 1 | 3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4세트=
, 문서명_선밴1=겐지(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겐지, 팀로고_선밴1=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1=마우가, 초상화_후밴1=마우가, 팀로고L_후밴1=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1=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선밴2=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트레이서, 팀로고L_선밴2=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2=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2=해저드, 초상화_후밴2=해저드, 팀로고_후밴2=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3=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에코, 팀로고L_선밴3=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3=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3=루시우(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루시우, 팀로고_후밴3=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4=키리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4=키리코, 팀로고_선밴4=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4=D.Va, 초상화_후밴4=디바, 팀로고L_후밴4=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4=VEC_24_dark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 팔콘은 결국 다시 약팀으로 평가받는 VEC에게 한 세트를 내어주게 되었다. 필더의 주노 숙련도 이슈와 딜러진의 캐리가 없으면 위태로워지는 전략의 문제가 컸다. 이 문제점이 2일에 있을 제타전 이전에 해결되지 않으면 팔콘의 디펜딩은 위태로울 것으로 보인다.
4. 2월 1일
4.1. NE 0 : 3 T1
정규시즌 13경기 (2025. 02. 01.) | ||||
| | | <colcolor=#fff> | |
사모아 | 하바나 | 뉴 정크 시티 | ||
| 1 | 1 | 0 | 0 |
| 2 | 2 | 3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3세트=
, 문서명_선밴1=바티스트(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바티스트, 팀로고_선밴1=T1 로고.svg
, 문서명_후밴1=애쉬(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애쉬, 팀로고L_후밴1=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1=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선밴2=라마트라, 초상화_선밴2=라마트라, 팀로고L_선밴2=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2=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2=아나(오버워치), 초상화_후밴2=아나, 팀로고_후밴2=T1 로고.svg
, 문서명_선밴3=둠피스트, 초상화_선밴3=둠피스트, 팀로고L_선밴3=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3=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3=에코(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에코, 팀로고_후밴3=T1 로고.svg)]
Player of the Match | |
- 뉴 에라가 1세트 사모아 1라운드를 승리하며 꼴찌팀의 반등이 오나 싶었지만,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말렸다. 결국 2세트 하바나는 입구막까지 당하며 패배했다.
4.2. WAY 0 : 3 CR
정규시즌 14경기 (2025. 02. 01.) | ||||
| | | <colcolor=#fff> | |
남극 반도 | 뉴 정크 시티 | 왕의 길 | ||
| 0 | 2 | 1 | 0 |
| 2 | 3 | 2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3세트=
, 문서명_선밴1=아나(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아나, 팀로고_선밴1=team_way_logo.png
, 문서명_후밴1=라마트라, 초상화_후밴1=라마트라, 팀로고_후밴1=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2=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트레이서, 팀로고_선밴2=team_way_logo.png
, 문서명_후밴2=주노(오버워치), 초상화_후밴2=주노, 팀로고_후밴2=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3=윈스턴(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윈스턴, 팀로고_선밴3=team_way_logo.png
, 문서명_후밴3=겐지(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겐지, 팀로고_후밴3=Crazy Raccoon 로고.svg)]
Player of the Match | |
4.3. FTG 3 : 1 PF
정규시즌 15경기 (2025. 02. 01.) | |||||
| | | | <colcolor=#fff> | |
리장 타워 | 뉴 정크 시티 | 파라이수 | 이스페란사 | ||
| 0 | 3 | 3 | 1 | 3 |
| 2 | 2 | 1 | 0 | 1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4세트=
, 문서명_선밴1=파라(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파라, 팀로고L_선밴1=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1=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1=라이프위버, 초상화_후밴1=라이프위버, 팀로고_후밴1=FTG_allmode.png
, 문서명_선밴2=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에코, 팀로고_선밴2=FTG_allmode.png
, 문서명_후밴2=마우가, 초상화_후밴2=마우가, 팀로고L_후밴2=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후밴2=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선밴3=애쉬(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애쉬, 팀로고L_선밴3=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3=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3=해저드, 초상화_후밴3=해저드, 팀로고_후밴3=FTG_allmode.png
, 문서명_선밴4=소전(오버워치), 초상화_선밴4=소전, 팀로고L_선밴4=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팀로고D_선밴4=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 문서명_후밴4=라마트라, 초상화_후밴4=라마트라, 팀로고_후밴4=FTG_all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5. 2월 2일
5.1. CR 3 : 0 VEC
정규시즌 16경기 (2025. 02. 02.) | ||||||
| | | <colcolor=#fff> | |||
리장 타워 | 콜로세오 | 수라바사 | ||||
| 2 | 1 | 3 | 3 | ||
| 1 | 0 | 1 | 0 |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3세트=
, 문서명_선밴1=레킹볼(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레킹볼, 팀로고L_선밴1=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1=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1=라이프위버, 초상화_후밴1=라이프위버, 팀로고_후밴1=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2=아나(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아나, 팀로고L_선밴2=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2=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2=해저드, 초상화_후밴2=해저드, 팀로고_후밴2=Crazy Raccoon 로고.svg
, 문서명_선밴3=루시우(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루시우, 팀로고L_선밴3=VEC_24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3=VEC_24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3=겐지(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겐지, 팀로고_후밴3=Crazy Raccoon 로고.svg)]
Player of the Match | |
- 라쿤은 실수가 잦고, 무리한 픽[1]을 하여 경기 내내 불안함을 보여줬지만, 라쿤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나게 됐다. 다만, 슈가 POTM 인터뷰에서 VEC를 놀아줬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하며 역시 라쿤은 라쿤이라는 걸 증명했다.
- 라쿤이 이번 경기에서 기용한 시메톨비 조합은 즉흥적으로 꺼낸 양학 조합이었지만, 다음날부터 이어진 일본 지역의 원챔팀 PNHB이 해당 조합으로 3연승을 거두자 천상계 경쟁전에서 시메톨비가 유행하게 됐다. 이 스노우볼은 3주차의 메타가 급변하는 결과를 낳았다.
5.2. NE 2 : 3 WAY
정규시즌 17경기 (2025. 02. 02.) | ||||||
| | | | | <colcolor=#fff> | |
오아시스 | 리알토 | 이스페란사 | 파라이수 | 수라바사 | ||
| 2 | 0 | 0 | 3 | 0 | 2 |
| 1 | 1 | 1 | 2 | 3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5세트=
, 문서명_선밴1=라마트라, 초상화_선밴1=라마트라, 팀로고L_선밴1=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1=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1=키리코(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키리코, 팀로고_후밴1=team_way_logo.png
, 문서명_선밴2=루시우(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루시우, 팀로고_선밴2=team_way_logo.png
, 문서명_후밴2=시그마(오버워치), 초상화_후밴2=시그마, 팀로고L_후밴2=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2=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선밴3=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에코, 팀로고L_선밴3=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3=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3=마우가, 초상화_후밴3=마우가, 팀로고_후밴3=team_way_logo.png
, 문서명_선밴4=D.VA, 초상화_선밴4=디바, 팀로고L_선밴4=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선밴4=New_Era_darkmode.png
, 문서명_후밴4=에코(오버워치), 초상화_후밴4=에코, 팀로고_후밴4=team_way_logo.png
, 문서명_선밴5=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선밴5=트레이서, 팀로고_선밴5=team_way_logo.png
, 문서명_후밴5=레킹볼(오버워치), 초상화_후밴5=레킹볼, 팀로고L_후밴5=New_Era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5=New_Era_dark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5.3. ZETA 1 : 3 FLC
정규시즌 18경기 (2025. 02. 02.) | |||||
| | | | <colcolor=#fff> | |
오아시스 | 뉴 정크 시티 | 이스페란사 | 왕의 길 | ||
| 2 | 1 | 0 | 2 | 1 |
| 1 | 3 | 1 | 3 | 3 |
한국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4세트=
, 문서명_선밴1=정커퀸, 초상화_선밴1=정커퀸, 팀로고L_선밴1=ZETA DIVISION.svg, 팀로고D_선밴1=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후밴1=소전(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소전, 팀로고_후밴1=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2=솜브라, 초상화_선밴2=솜브라, 팀로고_선밴2=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후밴2=D.Va, 초상화_후밴2=디바, 팀로고L_후밴2=ZETA DIVISION.svg, 팀로고D_후밴2=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선밴3=트레이서(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트레이서, 팀로고L_선밴3=ZETA DIVISION.svg, 팀로고D_선밴3=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후밴3=D.Va, 초상화_후밴3=디바, 팀로고_후밴3=Team_Falconslogo_square.webp
, 문서명_선밴4=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4=에코, 팀로고L_선밴4=ZETA DIVISION.svg, 팀로고D_선밴4=ZETA DIVISION_white.svg
, 문서명_후밴4=아나(오버워치), 초상화_후밴4=아나, 팀로고_후밴4=Team_Falconslogo_square.webp)]
Player of the Match | |
- 11경기와 마찬가지로 제타 디비전의 힐러 Viol2t의 결장으로 딜러인 AlphaYi가 힐러로 출전했다.
- 팔콘의 딜러진 프로퍼, 스토커의 차력쇼였다. 두 선수 모두 컨디션이 최고점이었으며 제타 딜러진을 압도했다. 팔콘 측에서 먼저 잘리고 시작한 한타에서 두 명씩 교환을 내며 한타를 승리로 이끌었다. 제타는 바이올렛의 결장에도 불구하고 한 세트를 따내며 분전했다. 특히 펠리칸은 세최겐의 포스를 입증하고 클러치 능력을 돋보이며 팀을 여러 위기에서 구해냈으나, 플로라의 경우 아쉬운 판단으로 한타를 놓치는 그림이 나오기도 했다.
6. 2주차 결산
2주차 TOP 5 플레이 |
2주차 영웅 픽률 및 밴픽 데이터
1~2주차 영웅 밴픽 데이터
1~2주차 팀별 영웅 밴픽 데이터
지난 주에는 해저드의 너프가 메타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연구가 조금 더 진행되어 다른 모습을 보여준 2주차였다. T1은 해저드의 덤벼들기 쿨이 5초에서 6초로 증가해 기동성으로 윈스턴을 이길 수 없다는 점을 파고들어 포커페이스의 해저드 조합을 윈루키 조합으로 파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 해저드와 디바간의 상성 관계가 더 강해지며 해저드를 디바로 카운터치는 모습도 자주 보였다. 이렇게 디바가 해저드의 카운터로 자주 나오자 디바의 카운터인 라마트라 조합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팔콘은 한빈의 라마트라를 이용한 조합을 많이 보여줬다. 팔콘의 메타 해석이 옳았는지는 아직 미지수.
한편 순위표에선 CR-팔콘이 나란히 4연승으로 1~2위를 차지하며 굳건함을 과시하는 중이다. 이어지는 3위엔 T1이 상대적으로 약팀으로 평가받는 포커페이스-뉴 에라를 잡아내고 자리를 지켜냈지만, 3주차에 예정되어있는 CR-팔콘과의 연전을 어떻게 버텨내느냐가 앞으로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4위엔 T1과 마찬가지로 3승 1패의 WAY가 자리하고 있지만, 이번 주에 CR에게 3:0으로 무력하게 패배한데다 하위권 뉴 에라에게 패배 직전까지 몰렸다는 점에서 중위권 싸움에서의 주도권을 다소 잃은 것이 아니냐는 평가를 받고 있다.
5위는 FTG가 차지하고 있는데, 바이올렛이 결장한 제타를 상대로 끝내 승리를 잡아내지 못해 끗발이 모자르다는 평가를 반전시키진 못했다. 이어서는 코리아 3강의 일각인 제타가 2승 2패로 6위를 기록하고 있다. 작년에 보여준 성적을 생각하면 낮은 순위이지만 1~2주차에 CR-팔콘-T1-FTG의 전통적 강팀과 신흥 강팀을 모두 겪고도 2승 2패를 만들어냈음을 생각하면 결코 낮은 성적이라 보긴 힘들다. 게다가 바이올렛이 이번 주 건강 이슈로 인해 결장했음에도 FTG를 상대로 승리하며 고난의 1~2주차를 마무리짓는데 성공했다. 물론 제타 입장에서 알을 깨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상대인 팔콘전이 바이올렛의 부재로 싱겁게 막을 내린 것은 아쉬운 포인트이다.
7-9위엔 0승 4패 라인의 세 팀, 뉴 에라-포커페이스-VEC가 아직까지 1승을 신고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이들 모두 최대한 승점 관리를 해내고는 있다. 뉴 에라는 WAY를 상대로 풀세트까지 끌고 가며 승점을 최대한 방어해냈고, VEC는 무려 팔콘을 상대로 1점을 따냈고, 포커페이스 또한 T1과 FTG를 상대로 1점씩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특히 포커페이스는 다가오는 3주차에서 이번 대회 최연소 선수인 Heiser가 생일을 맞이해 출전 제한이 풀리기 때문에 온전한 전력을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6.1. 정규시즌 2주차 POTM 순위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1 정규시즌 2주차 POTM 순위표 | |||||||||||||
<rowcolor=#ffffff> 순위 | 이름 | 포지션 | 팀 | 횟수 | 연속 | ||||||||
1 | Stalk3r | Damage | | FLC | 3 | 2 | |||||||
1 | DONGHAK | Tank | | T1 | 3 | 2 | |||||||
3 | LIP | Damage | | CR | 2 | 0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순위 | 이름 | 포지션 | 팀 | 횟수 | 연속 | |||||||
4 | WhoRu | Damage | | WAY | 1 | 0 | |||||||
4 | Proper | Damage | | FLC | 1 | 0 | |||||||
4 | Heesang | Damage | | CR | 1 | 0 | |||||||
4 | Ade | Damage | | WAY | 1 | 0 | |||||||
4 | Viol2t | Support | | ZETA | 1 | 0 | |||||||
4 | SeonJun | Damage | | FTG | 1 | 0 | |||||||
4 | Pelican | Damage | | ZETA | 1 | 1 | |||||||
4 | vindaim | Support | | FTG | 1 | 1 | |||||||
4 | Shu | Support | | CR | 1 | 1 | |||||||
4 | PEPPI | Tank | | WAY | 1 | 1 | }}}}}}}}} |
[1] 레킹볼, 토르비욘, 시메트라 조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