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idth: 600px; max-width: 700px; display: inline;" | <table bordercolor=#333e48><tablewidth=750><table align=center> 2025 OWCS 재팬 스테이지 1 정규시즌 경기 일람 | |||
1주 (1/27~29) | 2주 (2/3~5) | 3주 (2/10~12) | 4주 (2/17) |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1. 개요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재팬 스테이지 1 4주차, 2월 17일자 경기를 기록한 문서. 2025 OWCS 재팬 스테이지 1 그룹 스테이지 4주차 순위 | ||||||||||||||||||||||||||||||||||||||||||||||||||||||||||||||||
| ||||||||||||||||||||||||||||||||||||||||||||||||||||||||||||||||
| ||||||||||||||||||||||||||||||||||||||||||||||||||||||||||||||||
초록색: 플레이오프 진출 | 빨간색: 탈락 |
2. 대회 정보
- 2.14 미드시즌 패치 버전으로 진행된다.
3. 2월 17일
3.1. INF 3 : 0 HYG
정규시즌 28경기 (2025. 02. 17.) | ||||
| | | <colcolor=#fff> | |
사모아 | 눔바니 | 하바나 | ||
| 2 | 3 | 3 | 3 |
| 0 | 2 | 2 | 0 |
일본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 3세트=
, 문서명_선밴1=마우가, 초상화_선밴1=마우가, 팀로고_선밴1=Hayabusa_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1=파라(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파라, 팀로고_후밴1=InfernoJP_allmode.png
, 문서명_선밴2=겐지(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겐지, 팀로고_선밴2=Hayabusa_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2=메르시, 초상화_후밴2=메르시, 팀로고_후밴2=InfernoJP_allmode.png
, 문서명_선밴3=윈스턴(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윈스턴, 팀로고_선밴3=Hayabusa_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3=캐서디, 초상화_후밴3=캐서디, 팀로고_후밴3=InfernoJP_all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 하야부사 게이밍의 플레이오프 진출이 걸린 마지막 경기이다. 하야부사 게이밍이 만약 3-0 완승을 거둔다면 인페르노와 하야부사는 서로 1승 4패 득실 -8점으로 동률이 되므로, 승자승으로 하야부사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다. 반면 인페르노는 단 한 세트만 따더라도 플레이오프 진출이 확정된다.
- 인페르노가 첫 세트를 2-0으로 가져가며 하야부사의 플옵 진출이 좌절되었다. 하야부사는 비록 탈락했음에도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 분전했으나 인페르노 또한 방심하지 않고 게임에 임해 최종 결과 3-0으로 인페르노의 승리로 끝났다.
3.2. VL 3 : 0 VOR
정규시즌 29경기 (2025. 02. 17.) | ||||
| | | <colcolor=#fff> | |
오아시스 | 뉴 퀸 스트리트 | 리알토 | ||
| 2 | 1 | 4 | 3 |
| 1 | 0 | 3 | 0 |
일본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 3세트=
, 문서명_선밴1=에코(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에코, 팀로고_선밴1=VortexWolf_logo.png
, 문서명_후밴1=라마트라, 초상화_후밴1=라마트라, 팀로고L_후밴1=VARREL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1=VARREL_darkmode.png
, 문서명_선밴2=시메트라, 초상화_선밴2=시메트라, 팀로고_선밴2=VortexWolf_logo.png
, 문서명_후밴2=해저드, 초상화_후밴2=해저드, 팀로고L_후밴2=VARREL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2=VARREL_darkmode.png
, 문서명_선밴3=레킹볼(오버워치), 초상화_선밴3=레킹볼, 팀로고_선밴3=VortexWolf_logo.png
, 문서명_후밴3=파라(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파라, 팀로고L_후밴3=VARREL_lightmode.png, 팀로고D_후밴3=VARREL_dark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 B조 2위 결정전이다. 비록 플레이오프 진출이 이미 결정된 상황에서 펼쳐지는 대결이지만 엄연히 우승에 도전하는 팀이란 인식이 있는 두 팀의 대결인만큼 많은 주목을 모았다.
- 결과는 바렐의 3-0 압승. 에디슨과 칼리오스라는 리거 출신 한국인 용병들의 분전에도 바렐에게 무릎꿇고 말았다. 보텍스울프의 뒷라인이 너무 못했다는 게 중론이지만, 에디슨과 칼리오스의 이름값을 생각하면 이 둘이 좀 더 분전하여 통나무를 들어줬어야 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3.3. LNG 0 : 3 INS
정규시즌 30경기 (2025. 02. 17.) | ||||
| | | <colcolor=#fff> | |
남극 반도 | 뉴 정크 시티 | 뉴 퀸 스트리트 | ||
| 1 | 1 | 0 | 0 |
| 2 | 3 | 3 | 3 |
일본어 중계: |
[include(틀:오버워치 2/밴픽
, 3세트=
, 문서명_선밴1=시그마(오버워치), 초상화_선밴1=시그마, 팀로고_선밴1=LostNever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1=파라(오버워치), 초상화_후밴1=파라, 팀로고_후밴1=Insomnia Japanese Team lightmode.png, 팀로고_후밴1=Insomnia Japanese Team darkmode.png
, 문서명_선밴2=소전(오버워치), 초상화_선밴2=소전, 팀로고_선밴2=LostNever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2=라마트라, 초상화_후밴2=라마트라, 팀로고_후밴2=Insomnia Japanese Team lightmode.png, 팀로고_후밴2=Insomnia Japanese Team darkmode.png
, 문서명_선밴3=위도우메이커, 초상화_선밴3=위도우메이커, 팀로고_선밴3=LostNeverGaming_logo.png
, 문서명_후밴3=레킹볼(오버워치), 초상화_후밴3=레킹볼, 팀로고_후밴3=Insomnia Japanese Team lightmode.png, 팀로고_후밴3=Insomnia Japanese Team darkmode.png)]
Player of the Match | |
- 이번 스테이지 마지막 정규시즌 경기이자 각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이 걸린 단두대 매치이다. 3주차 종료 기준 서로 1승 3패 득실 -5점으로 동률인 상황이므로 이 경기를 잡은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인섬니아가 3-0으로 승리하며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라는 참사는 피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