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21:09:53

2025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2025 세계 믹스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
2025 World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p
장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프레데릭턴
(윌리 오리 플레이스)
기간 2025년 4월 26일 ~ 5월 3일
금메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은메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동메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 개요
1.1. 참가 팀1.2. 참가 선수 명단1.3. 예선 리그전
1.3.1. A조1.3.2. B조
1.4. 강등 플레이오프1.5. 결선 토너먼트

1. 개요

2025년에 열린 세계선수권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 남녀 4인 단체에 대한 내용은 2025 세계컬링선수권대회 문서 참조.

대회 방식은 20개 팀이 10팀씩 2개 조로 나눠 풀리그를 치러서 각 조 3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토너먼트 단계에서는 A조 3위와 B조 2위, B조 2위와 A조 3위간 준준결승을 벌인 뒤, 준준결승 승자가 준결승에서 각 조 1위와 만나 겨뤄 준결승 승자끼리 결승, 패자끼리 동메달 결정전을 거쳐서 금, 은, 동메달을 가리게 된다. 한편 예선에서 각 조 7위 이내에 들면 다음 202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진출 자격을 자동 획득하며, 8 ~ 9위의 경우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팀만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총 16팀이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확보하게 된다. 강등 플레이오프 탈락 팀과 각 조 10위를 차지한 4팀은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며, 다음 대회에 진출하려면 2025년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 상위 4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본 대회까지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출전 포인트가 주어진다.

1.1. 참가 팀

진출 자격 진출팀 목록
2024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16)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024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 (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2. 참가 선수 명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여성] 리센카 보마스
[남성] 바우터르 회스헌스
[여성] 크리스틴 스카슬린
[남성] 망누스 네드레고텐
(부부)
[여성] 제시카 스미스
[남성] 벤 스미스
(남매)
[여성] 김경애
[남성] 성지훈
[여성] 야스민 홀테르만
[남성] 헨릭 홀테르만
(부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여성] 피아리사 숄
[남성] 조슈아 주토
[여성] 코리 티시
[남성] 코리 드롭킨
[여성] 안나 하셀보리
[남성] 오스카르 에릭손
[여성] 알리나 패츠
[남성] 스벤 미셸
[여성] 제니퍼 도즈
[남성] 브루스 모왓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성] 오이하네 오타에기
[남성] 미켈 우나누에
[여성] 마리 칼드비
[남성] 해리 릴
[여성] 스테파니아 콘스탄티니
[남성] 아모스 모사네르
[여성] 마츠무라 치아키
[남성] 타니다 야스마사
[여성] 한위
[남성] 왕지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여성] 줄리 체링로바
[남성] 비트 차비코브스키
[여성] 조셀린 피터먼
[남성] 브렛 갤런트
(부부)
[여성] 딜사트 일디즈
[남성] 빌랄 외메르 차크르
[여성] 로타 임모넨
[남성] 마르쿠스 시필라
[여성] 탈리 길
[남성] 딘 휴잇
월드 컬링 팀 랭킹[1]
국가 순위 포인트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마리 칼드비 / 해리 릴) 1위 207.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리스틴 스카슬린 / 망누스 네드레고텐) 2위 163.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탈리 길 / 딘 휴잇) 3위 162.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조셀린 피터먼 / 브렛 갤런트) 5위 127.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제니퍼 도즈 / 브루스 모왓) 8위 122.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마츠무라 치아키 / 타니다 야스마사) 11위 115.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코리 티시 / 코리 드롭킨) 20위 86.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알리나 패츠 / 스벤 미셸) 21위 86.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김경애 / 성지훈) 41위 53.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한위 / 왕지위) 44위 51.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줄리 체링로바 / 비트 차비코브스키) 48위 49.8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안나 하셀보리 / 오스카르 에릭손) 50위 47.3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야스민 홀테르만 / 헨릭 홀테르만) 55위 39.8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오이하네 오타에기 / 미켈 우나누에) 64위 3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딜사트 일디즈 / 빌랄 외메르 차크르) 74위 28.7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로타 임모넨 / 마르쿠스 시필라) 77위 27.7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피아리사 숄 / 조슈아 주토) 92위 19.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제시카 스미스 / 벤 스미스) 96위 17.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리센카 보마스 / 바우터르 회스헌스)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스테파니아 콘스탄티니 / 아모스 모사네르) - -

1.3. 예선 리그전

1.3.1. A조

순위 국가 W L 승자승 DSC[DSC]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9 0 - 17.86
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7 2 1-0 27.93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7 2 0-1 26.44
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6 3 - 22.22
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5 4 - 42.18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 5 - 36.74
7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 7 2-0 50.94
8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 7 1-1 31.90
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 7 0-2 31.46
1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 8 - 34.43
순위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1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5-9 5-7 7-5 4-9 3-10 5-8 3-5 3-7 3-6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9-5 6-4 8-4 6-9 10-7 4-9 4-7 6-11 6-8
8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7-5 4-6 1-7 4-5 3-7 5-8 6-5 4-6 3-10
7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5-7 4-8 7-1 6-8 1-7 3-10 7-6 5-10 6-12
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9-4 9-6 5-4 8-6 6-7 4-6 10-5 6-8 7-3
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0-3 7-10 7-3 7-1 7-6 4-7 8-5 8-7 9-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8-5 9-4 8-5 10-3 6-4 7-4 8-2 7-5 10-3
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5-3 7-4 5-6 6-7 5-10 5-8 2-8 4-9 7-9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7-3 11-6 6-4 10-5 8-6 7-8 5-7 9-4 13-2
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6-3 8-6 10-3 12-6 3-7 2-9 3-10 9-7 2-13

1.3.2. B조

순위 국가 W L 승자승 DSC[DSC]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 1 - 19.91
2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6 3 1-1 20.29
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 3 1-1 22.61
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6 3 1-1 24.09
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5 4 2-0 35.32
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5 4 1-1 22.13
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5 4 0-2 21.41
8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3 6 - 33.74
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1 8 - 63.01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0 9 - 46.88
순위 국가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0-6 3-9 3-8 10-2 10-9 8-5 9-8 7-4 7-8
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6-10 2-10 8-7 13-5 4-8 6-3 7-5 8-5 5-7
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3 10-2 9-5 10-2 6-7 6-8 6-3 11-3 7-10
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8-3 7-8 5-9 10-1 6-4 7-6 6-7 9-3 3-7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10 5-13 2-10 1-10 5-6 1-9 2-6 6-8 3-8
2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9-10 8-4 7-6 4-6 6-5 10-8 6-5 9-2 4-7
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5-8 3-6 8-6 6-7 9-1 8-10 7-6 9-3 7-4
8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8-9 5-7 3-6 7-6 6-2 5-6 6-7 8-3 2-7
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4-7 5-8 3-11 3-9 8-6 2-9 3-9 3-8 2-10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7 7-5 10-7 7-3 8-3 7-4 4-7 7-2 10-2

1.4. 강등 플레이오프

◎ 표시는 후공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 2 2 1 1 1 X X 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0 0 0 0 0 0 X X 0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0 2 0 1 1 0 2 1 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 0 2 0 0 2 0 0 5

1.5. 결선 토너먼트

2025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 결선 토너먼트
<colbgcolor=#87ceeb><colcolor=#FFFFFF> 메달
결정전
결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
동메달 결정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
준결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7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9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6
준준결승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7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
예선
A1
B2
A3
B1
A2
B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표시는 후공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 0 0 2 0 0 1 0 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0 1 1 0 1 1 0 1 5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 0 0 3 0 2 1 0 7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0 1 1 0 2 0 0 1 5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0 1 1 1 0 1 0 X 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0 0 0 3 0 2 X 8
1 2 3 4 5 6 7 8 9 최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노르웨이 1 0 1 0 3 0 1 0 1 7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0 2 0 2 0 1 0 1 0 6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0 2 1 0 1 0 2 0 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 0 0 5 0 1 0 2 9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0 1 0 1 0 0 X X 2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 0 1 0 4 1 X X 9
1 2 3 4 5 6 7 8 최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 0 1 2 1 0 4 X 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0 1 0 0 0 3 0 X 4


[1] 대회 개최 직전[DSC] 드로우 샷 챌린지(Draw Shot Challange)의 약자. 시합 개시 전 각 팀이 한번씩 스톤을 던지는 것을 라스트 스톤 드로(Last Stone Draw, LSD)라고 하는데, 이 라스트 스톤 드로한 결과가 하우스 정중앙으로부텨 몇 cm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가 DSC이다. 승률과 승자승이 같은 경우 모든 경기의 DSC 평균치로 순위를 가리며, 하우스 정중앙에 가깝게 드로우할수록 좋으므로 작은 수여야 좋다.[DSC] 드로우 샷 챌린지(Draw Shot Challange)의 약자. 시합 개시 전 각 팀이 한번씩 스톤을 던지는 것을 라스트 스톤 드로(Last Stone Draw, LSD)라고 하는데, 이 라스트 스톤 드로한 결과가 하우스 정중앙으로부텨 몇 cm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가 DSC이다. 승률과 승자승이 같은 경우 모든 경기의 DSC 평균치로 순위를 가리며, 하우스 정중앙에 가깝게 드로우할수록 좋으므로 작은 수여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