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그룹 스테이지 | ||||
토너먼트 | 최하위 결정전 | 4강 진출전 | 4강 | 결승 | |
대회 이후 | 결산 |
1. 개요
2025년, 골 때리는 그녀들 프로그램 내에서 진행된 G리그에 참가한 10개 팀의 총 결산을 정리한 문서이다.2. 최하위 결정전 방출팀
<rowcolor=#000000,#000000> 2025 골 때리는 그녀들 G리그 최하위 결정전 방출팀 |
<rowcolor=#fff,#fff> 10위 (방출) |
|
FC 개벤져스 |
2.1. 10위: FC 개벤져스 (1승 5패 / 득실차 -11)
시즌 5 챌린지리그 방출팀으로 한 시즌 출전 정지를 겪고 이번 시즌 G리그를 앞두고 복귀한 개벤져스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탑걸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불나비, 액셔니스타, 국대 패밀리, 스트리밍파이터, 월드 클라쓰에게 모두 패배하면서 최종 1승 5패로 팀의 두 번째 방출을 마주하게 됐다. 외부에서 와일드카드 영입을 제안했으나 선수들과 감독의 논의 끝에 거부를 한 것이 나비효과로 돌아오게 됐는데, 이번 개벤져스의 방출을 통해 외부 시스템 개선과 방출 후 복귀 팀의 와일드카드 적극 영입과 더불어 복귀 전까지 선수들의 꾸준한 연습이 필요해 보인다.3. 최하위 결정전 잔류팀
<rowcolor=#000000,#000000> 2025 골 때리는 그녀들 G리그 최하위 결정전 잔류팀 | ||
<rowcolor=#fff,#fff> 7위 | 8위 | 9위 |
| | |
FC 스트리밍파이터 | FC 탑걸 | FC 월드 클라쓰 |
3.1. 9위: FC 월드 클라쓰 (3승 3패 / 득실차 -2)
지난 시즌 슈퍼리그 우승과 챔피언 매치 우승을 기록하면서 이번 시즌 G리그가 3연속 대회 우승에 도전하는 대회가 됐지만 그룹 스테이지에서 2승 2패 골득실 -2로 B그룹 4위를 기록하면서 최하위 결정전으로 빠지게 됐다. 이후 탑걸을 상대로도 패배하면서 역대 최초로 방출전까지 빠진 월드 클라쓰는 방출전에서 개벤져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다음 시즌 리그 생존에 성공했다. 최종 순위 9위로 급전직하한 월드 클라쓰는 다음 시즌 순위 반등이 절실해졌으며, 선수들이 각성해 이를 반드시 이뤄내야 하는 과제를 남기게 됐다.3.2. 8위: FC 탑걸 (1승 4패 / 득실차 -4)
지난 시즌 슈퍼리그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강팀으로 불렸던 탑걸이었으나, 이번 시즌 G리그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무승 4패로 A그룹 최하위에 머물렀고 우승 토너먼트가 아닌 멸망 토너먼트 일종인 최하위 결정전으로 빠지게 됐다. 하지만 최하위 결정전에서 지난 시즌 슈퍼리그 우승팀인 월드 클라쓰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다음 시즌 리그 생존에 성공했다. 최종 순위 8위를 기록한 탑걸은 다음 시즌 김태영 감독과도 이별하게 됐는데, 새 감독과 함께 순위 반등을 이뤄내야 하는 과제를 남기게 됐다.3.3. 7위: FC 스트리밍파이터 (2승 3패 / 득실차 -5)
2024 SBS컵 대회 우승과 지난 시즌 슈퍼리그 4위를 기록하면서 좋은 성적을 꾸준히 선보인 스트리밍파이터였으나, 이번 시즌 G리그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3경기 무득점을 포함해 1승 3패로 B그룹 최하위에 머물렀고 결국 우승 토너먼트가 아닌 멸망 토너먼트 일종인 최하위 결정전으로 빠지게 됐다. 하지만 최하위 결정전에서 개벤져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다음 시즌 리그 생존에 성공했다. 최종 순위 7위를 기록한 스트리밍파이터는 강팀의 반열에 올랐을 때와 마찬가지로 다음 시즌 시작까지 선수들의 득점력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를 남기게 됐다.4. 4강 진출전 탈락 팀
<rowcolor=#000000,#000000> 2025 골 때리는 그녀들 G리그 4강 진출전 탈락팀 | |
<rowcolor=#fff,#fff> 5위 | 6위 |
| |
FC 불나비 | FC 발라드림 |
4.1. 6위: FC 발라드림 (2승 3패 / 득실차 -2)
지난 시즌 챌린지리그 1위로 이번 시즌 슈퍼리그 승격이 예고됐으나 G리그 통합 시스템이 가동되면서 그룹 스테이지부터 경기를 진행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B그룹 2승 2패를 기록해 3위로 우승 토너먼트에 합류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월드 클라쓰, 스트리밍파이터를 상대로 패배를 기록했지만 같이 우승 토너먼트에 합류한 원더우먼, 구척장신에게 승리하면서 강팀에게 강하다는 모습을 보였지만, 4강 진출전에서 만난 액셔니스타의 벽에 막히며 결국 이번 시즌 G리그 일정을 마감하게 됐다. 발라드림은 이번 시즌 G리그에서 11득점과 13실점을 하면서 팀 역사상 가장 많은 득점과 많은 실점을 동시에 기록하게 됐는데, 다음 시즌에는 실점을 줄이고 득점을 늘리는 전략이 필요해 보이며, 꾸준히 선수들이 훈련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인다.4.2. 5위: FC 불나비 (2승 3패 / 득실차 -1)
지난 시즌 슈퍼리그 최하위로 이번 시즌 챌린지리그 강등이 예고됐으나 G리그 통합 시스템이 가동되면서 그룹 스테이지부터 경기를 진행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A그룹 2승 2패를 기록해 3위로 우승 토너먼트에 합류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개벤져스, 탑걸 상대로 승리, 국대 패밀리, 액셔니스타를 상대로 패배를 기록했고 4강 진출전에서 만난 구척장신의 벽에 막히며 결국 이번 시즌 G리그 일정을 마감하게 됐다. 불나비는 이번 시즌 G리그에서 9득점 10실점을 기록했고, 팀의 에이스로 등극한 강보람이 무려 7득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선수들이 저조한 성적을 보여주면서 4강 진출에 실패하게 됐다. 다음 시즌에는 선수들의 체력적인 보강이 절실해 보이며, 꾸준히 훈련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인다.5. 4강 탈락 팀
<rowcolor=#000000,#000000> 2025 골 때리는 그녀들 G리그 4강 탈락팀 | |
<rowcolor=#fff,#fff> 3위 | 4위 |
| |
FC 국대 패밀리 | FC 액셔니스타 |
5.1. 4위: FC 액셔니스타 (4승 2패 / 득실차 +5)
지난 시즌 슈퍼리그 3위를 기록하면서 꾸준히 강팀으로 분류되던 액셔니스타는 이번 시즌 G리그에서도 4강에 진출하는 업적을 이뤄냈으나, 4강전에서 또 다른 강팀으로 급부상한 원더우먼을 상대로 패배하며 이번 시즌 G리그 일정을 마감하게 됐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탑걸, 불나비, 개벤져스 상대로 승리, 국대 패밀리를 상대로 패배를 기록했고 4강 진출전에서 발라드림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등 나름 강팀의 모습을 많이 보여준 액셔니스타는 다음 시즌 백업 선수들의 기량 상승이 필요해 보이며, 팀의 에이스인 정혜인 - 박지안과 유기적인 호흡을 맞춰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인다.5.2. 3위: FC 국대 패밀리 (5승 1패 / 득실차 +7)
지난 시즌 챌린지리그 3위를 기록하면서 이번 시즌 챌린지리그 잔류가 예고됐으나 G리그 통합 시스템이 가동되면서 그룹 스테이지부터 경기를 진행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A그룹 불나비, 탑걸, 개벤져스, 액셔니스타를 상대로 모두 승리를 거두며 4승 무패, A그룹 1위로 곧장 4강전에 진출했다. 이번 시즌 G리그에서 유일하게 무패 행진을 이어가던 국대 패밀리는 4강전에서 구척장신을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아쉬운 패배를 하면서 이번 시즌 G리그 첫 패배가 곧 시즌 종료를 맞이하는 불운을 맞게 됐다. 4강전에서 패배했으나, 액셔니스타에 승패에서 앞서며 최종 3위를 차지한 국대 패밀리는 이번 시즌 보여준 김민지의 공격력, 황희정의 득점력을 바탕으로 다음 시즌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4강전에서 부상을 당한 황희정, 김수연 등 선수들의 부상 회복 여부가 매우 중요해졌다고 보인다.6. 결승 진출 팀
<rowcolor=#000000,#000000> 2025 골 때리는 그녀들 G리그 결승 진출 팀 | |
<rowcolor=#fff,#fff> 우승 | 준우승 |
| |
FC 구척장신 | FC 원더우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