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8:12:50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
2024 South African general election
Suid-Afrikaanse algemene verkiesing van 2024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9년 총선 2024년 총선
2029년 이내
차기 총선
}}}
투표율 58.64%[1] ▼ 7.41%p
선거 결과
<rowcolor=#2D3865,#CFA547> 정당 의석 의석율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8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아프리카 국민회의)] 159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a4a7a,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민주동맹)] 87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4aa46,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민족의 창)] 58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42a2a,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경제자유투사당)] 39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잉카타 자유당)] 17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88f3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애국동맹)] 9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702D,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전선 플러스)] 6석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b713,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ActionSA)] 6석
'''
기타 정당
'''
19석[A]

1. 개요2. 선거 전 상황3. 선거 결과4. 선거 후 상황5. 여담

[clearfix]

1. 개요

2024년 5월 29일에 실시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총선. 9개 주의 주의회 선거도 동시에 실시되었다. 1994년 이후 최초로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단독과반이 붕괴된 선거이다.

2. 선거 전 상황

3. 선거 결과

주요 정당 결과
(선출의석: 400석 / 과반의석: 201석)
<rowcolor=#fff> 정당 전국 득표 전국 득표율 권역 득표 권역 득표율 의석
아프리카 국민회의 6,459,683 40.18% 6,231,519 39.38% 159석 ▼71석
민주동맹 3,505,735 21.81% 3,439,272 21.74% 87석 ▲3석
민족의 창 2,344,309 14.58% 2,237,877 14.14% 58석 ▲신규
경제자유투사당 1,529,961 9.52% 1,556,965 9.84% 39석 ▼5석
잉카타 자유당 618,207 3.85% 688,570 4.35% 17석 ▲3석
애국동맹 330,425 2.06% 345,880 2.19% 9석 ▲9석
ActionSA 192,373 1.20% 219,477 1.39% 6석 ▲신규
기타 원내 정당 19석[A]
<rowcolor=#000> 전국단위 유효투표수 16,076,719표 권역단위 유효투표수 15,823,397표 의석수 400석
<rowcolor=#000> 선거인수 27,782,081명 투표율 58.64%(전국)
57.52%(권역)

4. 선거 후 상황

1994년 이후 최초로 집권 아프리카 국민회의(ANC)의 단독과반이 붕괴되면서 연정 구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제2당인 민주동맹(DA)과 제3당을 확보한 제이컵 주마 전 대통령의 신당 민족의 창(MK), 제4당 경제자유투사당(EFF)이 연정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민족의 창은 당연하게도 연정 구성을 하려면 사이가 나쁜 시릴 라마포사 현 대통령의 사임과 제이컵 주마 전 대통령의 사면을 요구할 것이고, 경제자유투사당(EFF)은 이미 지방정부 차원에서 연대한 경험이 있으나 대부분 좋지 않게 끝나 ANC 지도부가 원치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일단은 제2당에 오른 민주동맹(DA) 측에서 국민회의와의 연정 구성 가능성을 먼저 언급했으며, ANC 측도 원로들이 DA를 선호한다고 한다. 그웨데 만타셰 ANC 의장 역시 다른 정당들과 비공개로 연정 협상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6월 2일, 피킬레 음발룰라 ANC 사무총장이 선거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연정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공식화했으나 그 요구 조건이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의 퇴진인 경우는 배제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6월 4일 기준으로 ANC가 DA와 EFF 측 및 기타 소수 정당 3당과 연정 협상을 타진했지만 아직 긍정적인 단계까진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ANC는 특정 정당과의 연정보다는 거국내각의 형태를 띄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고 한다. 이틀 뒤에는 MK 역시 연정 협상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6월 12일, 잉카타 자유당이 연정 참여를 결정하였다.#

6월 14일 최종적으로 아프리카 국민회의(ANC)-민주동맹(DA)-잉카타 자유당(IFP)-애국동맹(PA)이 ANC가 제안한 '국민통합정부' 구성에 합의하여 연립내각을 수립했다. 이날 의회 본회의를 통해 라마포사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되었고, 18일. 군소 정당인 굿(GOOD)도 연정에 참여한다. 6월 19일에 공식 취임식을 할 예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여담



[1] 전국명부 투표 기준[A] 아프리카 기독민주당 3석, 연합민주운동 2석, Rise Mzansi 2석, Build One South Africa 2석, 아프리카 변혁운동 2석, 알자마아 2석, 컬러드 국민회의 2석, 범아프리카 아자니아 회의 1석, 통합아프리카변혁 1석, GOOD 1석[A]